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모함과 거짓말로 기부정신 훼손 진실에 눈감은 판결 억울하다”

부산大 305억 기부약정하고 곤욕 치르는 송금조 회장 부부

“모함과 거짓말로 기부정신 훼손 진실에 눈감은 판결 억울하다”

2/6
부산대의 모욕과 폄훼

“모함과 거짓말로 기부정신 훼손 진실에 눈감은 판결 억울하다”

2007년 3월 20일 기부목적을 ‘양산캠퍼스 부지대금’으로 명시하고 부산대학교의 로고와 직인이 찍힌 정식 약정서(왼쪽). 오른쪽은 그해 5월 18일 부산대학교발전기금이사회 이사 10명이 만장일치로 송금조 회장 부부의 기부금이 양산캠퍼스 부지 대금임을 확인하고 이 기금이 다른 용도로 사용된 것을 확인한 의결서.

하지만 이런 모든 행동은 몇 개월 남지 않은 총장선거에서 기부금 사건으로 수세에 몰린 김 총장과 측근들의 연기였을 뿐임이 바로 드러났다. 한 달 후인 6월, 총장선거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일부 교수들이 학교 집행부의 기부금 유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자 김 총장과 선거참모 교수들은 우리와 정식 약정서를 쓰고 의결서를 만들어 보낸 사실을 숨긴 채 교내 통신망이나 각종 매체를 통해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

우리가 3월에 작성한 정식 약정서를 공개하자 김 총장과 측근 교수들은 “두 번째 약정서(정식 약정서)는 기부자가 갑자기 변심해서 기부목적을 바꾸어달라고 해 예우 차원에서 부득이 바꾸어준 것”이라며 “2003년 10월에 작성된 약정서(임시 약정서)가 유일한 약정서이며 이를 근거로 기부금을 지출한 것은 합법적이었다”고 주장을 바꿨다. 또한 약정서 작성과정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자 약정서를 자신들이 작성해 가지고 와서 임시로 서명을 받아간 것임에도 “약정서는 기부자가 작성하여 대학에 주는 것이지 대학이 작성해주는 것이 아니다”라고 거짓말을 했다.

우리는 김 총장과 집행부가 쓴 의결서 내용까지 공개했다. 그랬더니 김 총장과 측근 교수들은 이번에는 언론 보도자료와 통신망, 회의 발언 등을 통해 “남은 기부금을 내기 싫어서 억지를 부린다” “총장선거에 개입해 김인세 총장을 낙선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기부한 돈이) 탈세한 돈이다. 더러운 돈이다”라는 둥 입에 담기도 부끄러운 궤변을 늘어놓기 시작했다. 이런 변명과 거짓말이 통하지 않자 김 총장과 선거참모 교수들은 “서류상으로는 기부목적을 캠퍼스 건설 및 연구기금으로 했지만 심정적으로는 양산캠퍼스 부지대금으로 이해한 것 같다”라고 말을 바꾸기도 했다.

우리는 그래서 공식 통로를 통해 “기부자로서 기부목적을 제대로 밝히고 그에 따라 기부금을 쓰라고 촉구하는 것에 대해 총장선거 개입으로 매도하는 것은 너무나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구순을 바라보는 노령에 일점혈육도 없는 우리 부부는 총장선거에 개입할 이유도 없고 개입한 사실도 없었음은 물론 부산대학교에 영향력을 행사할 필요나 의도는 더더욱 없었다”고 밝혔지만 기부자에 대한 비난과 비판은 오히려 더해만 갔다.



그해 6월 초 어느 밤에는 김 전 총장의 측근 교수가 집으로 전화를 해 “송 회장이 기부한 돈은 탈세한 것 아니냐, 세무조사 받아야 하지 않느냐”고 막말을 퍼부어 그 말을 전해 들은 송 회장이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한평생을 법 없이도 살아왔고 정직하게 살려고 노력한 기부자의 가슴에 대못질을 한 것이다. 송 회장은 “참 나쁜 사람들이다. 내가 그 돈 모으려고 얼마나 고생했는데, 얼마나 피땀 흘려 고생했는데, 부산에서 소득세 납세자 1위로 선정되기도 했는데…”하며 슈퍼마켓에서 사온 소주 두 병을 그 자리서 다 마셔버렸다. 그만큼 화가 난 것이다. 우리는 도대체 이런 고생을 우리가 왜 해야 하는지 몰랐다. 이민 갈 생각까지 했다.

9월 김 총장이 재선에 성공하자 부산대 일부 교수들은 우리에게 “(김 총장이 재선됐으니) 더 이상 기부금 문제를 거론하지 말라”는 취지의 보도자료를 언론에 뿌리는가 하면 직접 e-메일을 보내왔다. 일부 교수는 “더러운 돈”이라며 기부금을 돌려줄 것을 주장하기도 했다. 우리는 일반 구성원들까지 김 총장과 측근들의 주장에만 귀를 열고 우리의 순수한 기부 취지를 훼손하자 깊은 절망감에 빠졌다.

재선된 김 총장은 발빠르게 움직였다. 우리가 기부금 유용에 대한 이의제기를 멈추지 않자 LH공사와의 양산캠퍼스 부지 매매계약을 변경해 2013년 12월 27일까지로 되어 있던 부지대금 잔금 납입기한을 2009년 12월 27일로 당겨버렸다. 김 총장은 3월 정식 약정서를 쓰면서 약속한, 또한 5월 18일 의결서를 통해 공식화한 “195억 원 중 다른 곳에 전용한 75억 원은 곧 채워놓은 후 9월 말까지 별도 계좌로 관리하겠다”는 약속도 지키지 않았다.

얼마 후 벌어진 재판 과정에서 “195억 원 중 75억 원을 전용했다”는 김 총장의 주장조차 거짓으로 드러났다. 양산캠퍼스 부지대금 1차분 34억 원을 제외하고 161억 원이 건물 신축, BK21 대응 투자금, 교수연구 지원비 등으로 전용된 것이 확인됐다. 이는 지난해 부산대와 부산대 교수회의의 자체 조사결과 사실로 밝혀진 내용이다.

기부자 명예훼손

2008년 6월 16일에는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부산의 한 월간지에서 ‘부산대 기부금 소란, 통큰 기부정신이 요구된다’는 제목 아래 ‘송금조 회장 부부가 양산캠퍼스 부지 일부(5000평)를 경암교육문화재단 명의로 등기할 것을 요구했다’ ‘부산대 총장선거에 사실상 개입했다’ ‘경암 동상 건립 위치를 변경할 것을 요구했다’ ‘부산대학교 60년사 첫 면에 송금조의 기부 사실과 사진 등을 배치할 것을 요구하는 등 사실상 대학 행정에까지 개입하려 했다’ ‘각종 비하 발언으로 부산대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취지의 기사를 낸 것이다.

이 월간지의 발행인은 김 총장의 대학동기이자 친구였고, 자료는 정황으로 보아 김 총장의 측근 중 측근이었던 모 교수가 준 게 뻔해 보였다. 그래서 우리는 바로 명예훼손혐의로 소송을 걸었다. 3심까지 올라간 대법원의 재판 결과 이 모든 사실이 거짓말임이 확인됐고 그 월간지는 위에 밝힌 사실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는 정정보도를 게재했다. 월간지 대표와 기자에게 각각 500만 원씩의 벌금형이 내려졌다. 정정보도 게재 후 한 달도 안돼 부산대 김 총장은 이 월간지 대표에게 ‘자랑스러운 부산대인 상’을 수여했다.

2/6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목록 닫기

“모함과 거짓말로 기부정신 훼손 진실에 눈감은 판결 억울하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