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의 명가 명택 8|전남 진도 양천 허씨 운림산방

5대째 화가 배출한 한국최고의 예맥(藝脈)

  • 조용헌 < 원광대 동양학대학원 교수 >

5대째 화가 배출한 한국최고의 예맥(藝脈)

1/4
  • “진도의 양천 허씨들은 빗자락 몽둥이만 들어도 명필이 나온다”는 유행어의 근원지인 운림산방. 내리 5대째 유명화가를 배출한 이 산방의 비밀은 과연 무엇일까?
5대째 화가 배출한 한국최고의 예맥(藝脈)
당대발복(當代發福)에 끝나지 않고 그 발복의 가업을 대를 이어 나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조부대에 하던 일을 손자대에서까지 계속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한국의 근세 100년처럼 자신들의 전통과 민속이 총체적으로 단절되고 해체되는 과정을 겪어야 했던 나라에서 선대에 하던 일을 손자대가 계승하는 경우는 희귀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그 희귀한 사례가 이번에 찾아가는 운림산방(雲林山房)이다. 전남 진도에 자리잡은 운림산방을 중심으로 하여 5대째 내리 화가를 배출한 집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진도에 사는 양천 허씨(陽川 許氏) 집안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아마 5대째 계속해서 예술가를 배출하는 집안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그리 흔치 않을 것이다.

1대는 소치 허련(小痴 許鍊:1808∼1893), 2대는 미산 허형(米山 許瀅:1861∼1938), 3대는 남농 허건(南農 許楗:1908∼1987)과 그 동생인 임인 허림(林人 許林:1917∼1942), 4대는 임인의 아들인 임전 허문(林田 許文:1941∼현재), 5대는 남농의 손자인 허진(許塡:1962∼현재)으로 이어지고 있다. 허진 이외에도 같은 5대 항렬로는 허재, 허청규, 허은이 화가의 길을 가고 있다. 그런가 하면 무등산 춘설헌(春雪軒)의 의재 허백련(毅齋 許百鍊:1891∼1977)도 진도에서 태어난 양천 허씨로 같은 집안이다.

30여 명의 화가 배출

허씨들은 원래 경기도에서 살다가 진도로 내려왔다고 한다. 진도에 처음 들어와서 살기 시작한 입도조(入島祖) 허대(許垈)는 임해군의 처조카였다. 광해군 즉위 후 임해군이 역모로 몰리면서 임해군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진도로 들어왔다가 그대로 눌러앉은 것이다.



허대의 장남 득생은 용,순,방 세 아들을 두었는데 순의 후손이 소치, 미산, 남농이고 막내 방의 후손이 의재 허백련이다. 의재는 혈연으로 따지면 소치의 종고손(從高孫)이 되고 법연으로 보면 소치의 아들인 미산으로부터 직접 그림수업을 받은 제자다.

의재 집안에서도 화가가 상당수 배출되었다. 의재의 넷째 동생인 목재 허행면(木齋 許行冕:1906∼1966)은 근대 회화사에 비중이 큰 화가였고, 목재의 아들인 허대득(작고), 목재의 조카인 허의득(작고), 의재의 장손자인 직헌 허달재(直軒 許達哉:1952∼현재), 목재의 손자인 허달용(36세), 허의득의 아들인 허달종(35세)이 모두 화가다.

이외에도 미대를 졸업하고 미대 대학원에 재학중인 예비화가까지 포함하면 허씨 집안에서 배출된 화가는 30명을 넘나든다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필자는 이 집안의 가계도를 살펴보면서 어떻게 이처럼 많은 화가가 나올 수 있었나, 어떻게 5대를 계속해서 예술가가 배출될 수 있는가, 또 한 가지 결정적인 의문은 바둑으로 따지면 좌하귀라고나 할 한반도의 서남쪽 구석 척박한 섬에서 어떻게 이러한 예술 명문이 형성될 수 있었나 하는 의문을 지울 수 없었다.

예술가는 미를 통해서 자유인이 되기를 갈망하는 인간이고, 돈과 권력이 아닌 자유를 갈망할 정도의 인식 수준에 도달하려면 먼저 돈과 권력과 같은 세속적 가치를 충분히 향유한 다음에나 가능하다는 설이 있다.

독일의 소설가 토마스 만의 작품에 ‘붓덴부르그 일가(一家)’라는 소설이 있는데, 3대에 걸친 가족 변천사가 주제다. 할아버지대는 소위 ‘개같이 돈을 번’ 세대이며, 아버지대는 이 돈을 밑천으로 삼아 권력 집단에 진입한다. 국회의원, 시장과 같이 사진액자에 들어갈 만큼 출세한 인물들이 배출된다. 그런 다음 손자대에 가서야 비로소 예술가가 나타난다는 줄거리다.

돈도 벌어보고 권력도 잡아보았는데 그것이 결코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손자대에서야 깨닫고는 무엇에도 구속받지 않는 자유로운 삶을 희구하는 예술가가 출현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허씨 집안도 이러한 공식을 대입시켜 설명할 수 있는가? 물론 아니다. 한반도 좌하귀의 구석진 곳, 그것도 돈·권력과는 거리가 먼 진도라는 섬에서 예술혼이 시작되었을 뿐이다. 이처럼 불리한 여건에서 5대째 예맥(藝脈)을 이어갈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

먼저 허씨 집안의 본향인 진도가 어떤 배경을 지닌 섬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유배(流配)라는 형벌이 있었으며, 유배지로는 서울로부터 거리상 멀리 떨어진 곳이 선택됐다. 한반도의 좌하귀라 할 수 있는 진도도 이러한 유배지 중의 하나였다. 게다가 육지와 격리된 섬이어서 유배지로 적합했던 것이다.

문인들의 유배지, 진도

전라남도에서 유배지로 유명한 섬이 두 군데 있는데, 하나가 진도이고 다른 하나는 완도라고 한다. 진도는 주로 붓을 다루던 문인(文人)들의 유배지였고, 완도는 칼을 다루던 무인(武人)들의 유배지였다. 진도는 완도에 비해 농토가 많기 때문에 책만 읽던 문인들이 유배 와서도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게 했고, 완도는 산과 바다뿐인 척박한 지형이라서 상대적으로 힘 센 무인들을 보내서 개척하게 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유배형을 받은 사람 가운데는 일반 잡범이 아닌 정치범이 많다. 정치범은 정치적 소신 때문에 형을 받은 사람이니, 그러한 소신을 가질 정도의 철학과 고집 그리고 인문적 교양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진도는 지리적으로는 비록 외딴 섬이었지만, 그곳에는 단순히 섬사람들이 아니라 나름의 식견을 가진 문사들이 우글거렸다고 해도 과장은 아닐 것이다.

그런데 능력과 자질이 있는 사람이 정치적으로 출세할 길이 막혔을 때 선택하는 탈출구는 통상 두 가지가 아닐까 싶다. 첫째는 예술가의 길이고, 둘째는 종교인의 길이다. 두 길 가운데 진도 사람들은 예술 쪽으로 많이 간 것 같다. 이 부분은 토마스 만이 제기한 예술가의 길을 가는 수순과는 다르다.

현재 진도 출신 화가는 160여 명이라고 한다. 이 수는 국전이나 도전에 입상한 경력을 가진 사람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입상하지 않고 활동하는 화가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난다고 한다. 아무튼 인구 5만 명도 안 되는 섬에서 이 정도의 화가가 배출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물론 그 밑바탕에는 허씨 집안과 운림산방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음은 말할 나위 없다. 그래서 진도에는 이런 말이 있다. ‘진도에서는 개도 붓을 물고 다닌다’ ‘진도에 가서 글씨, 그림, 노래 자랑하지 말라’ ‘허씨들은 빗자락 몽뎅이만 들어도 명필이 나오고, 문씨들은 짜구만 들어도 목수가 나온다’ 등등이다.

1/4
조용헌 < 원광대 동양학대학원 교수 >
목록 닫기

5대째 화가 배출한 한국최고의 예맥(藝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