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대한민국 40代 | 정치 성향

강한 결속력으로 김대중·노무현·이명박 당선에 기여…박근혜·안철수 지지하고, 특정 정당 지지하지 않아

  • 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강한 결속력으로 김대중·노무현·이명박 당선에 기여…박근혜·안철수 지지하고, 특정 정당 지지하지 않아

1/3
  •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한 1987년 제13대 대선부터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된 2007년 제17대 대선까지, 현재의 40대들은 자신의 손으로 대통령을 선출해왔다.
  • 이들의 투표 행태를 추적해 정치 성향을 들여다 봤다. 아울러 2012년 대선에서 누구를 지지할 건지도 물어봤다.
강한 결속력으로 김대중·노무현·이명박 당선에 기여…박근혜·안철수 지지하고, 특정 정당 지지하지 않아

1997년 제15대 대선 선전 벽보. 이 선거에서 현재 40대의 지지를 받은 김대중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오늘의 40대, 이른바 ‘386세대’는 명명(命名) 이래로 늘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돼왔다. 한편에서는 ‘진보의 상징’으로 추어올렸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실체 없는 허구”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신동아’는 그동안 피상적으로 규정돼온 ‘386세대’의 정치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10월6일부터 11일까지 전국 40대 남녀 500명을 전화면접조사하는 방식이었다. 역대 대선에서 이들이 어떤 후보에게 투표했는지 파악한 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선거 분석 자료와 비교해 전국 평균치와 구별되는 ‘현재 40대’만의 특징을 찾았다.

조사 결과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하고 지금의 40대가 처음으로 투표권을 갖게 된 1987년부터 2007년까지 5번의 대선에서 이른바 ‘386세대’가 가장 많이 지지한 정치인은 김대중(13·14·15대), 노무현(16대), 이명박(17대) 후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는 1997년 제15대 김대중 대통령, 2002년 제16대 노무현 대통령, 2007년 제17대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대중, 두 번의 패배

1987년 제13대 대선 당시 오늘의 40대는 16~25세였다. 조사 응답자 500명 중 302명만 투표권을 갖고 있었다. 이들 중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의 34.0%가 김대중 평화민주당 후보를 지지했다고 밝혔다.

제13대 대선은 박정희 대통령과 김대중 신민당 후보가 맞붙은 1971년 제7대 대선 이후 16년 만에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은 선거였다. 당시 20대였던 오늘의 40대가 주축을 이룬 ‘6·10항쟁’ 등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뤄졌다. 그러나 야권은 분열했고, 기존 여당이던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다. 선관위 자료에 따르면 제13대 대선에서 노태우 후보가 얻은 득표율은 유효 투표수의 36.6%다. 김영삼 통일민주당 후보(28.0%), 김대중 후보(27.1%)가 2, 3위로 뒤를 이었다. 반면 이른바 ‘386세대’ 유권자의 지지율 1위는 DJ였다. 이번 조사 결과 당시 ‘양김’ 가운데 YS에게 투표했다는 응답은 29.6%로, 노태우 민정당 후보에 대한 지지율(30.3%)보다 낮았다.



오늘의 40대들은 김영삼 민주자유당 후보가 당선된 1992년 제14대 대선 때도 김대중 후보를 더 많이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이들은 21~30세로 모두 선거 가능 연령이었다. 이 가운데 45.0%가 김대중 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밝혔다. 김영삼 후보를 지지했다고 답한 이는 41.3%였고, 박찬종 신정당 후보가 6.6%의 지지율로 3위에 올랐다. 선관위 자료에 따르면 14대 대선 당시 김영삼 후보의 득표율은 42.0%다. 김대중 후보는 33.8%로 2위였다. 현재 40대들의 당시 DJ에 대한 지지율은 전국 평균 득표율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던 셈이다. 한편 이번 조사 응답자 가운데 당시 16.3%의 득표율을 보인 정주영 국민당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답한 이는 6.0%에 불과했다.

‘바람’의 등장

강한 결속력으로 김대중·노무현·이명박 당선에 기여…박근혜·안철수 지지하고, 특정 정당 지지하지 않아

2002년 노무현 대통령을 만드는 데 앞장선 ‘노사모’회원들이 개표 결과를 보며 환호하고 있다.

현재의 40대들은 1997년 제15대 대선에서 또 한 번 DJ에게 표를 몰아줬다. 투표에 참여한 10명 중 6명(59.2%)이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를 지지했다고 밝혔다. 경쟁자였던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응답은 33.6%에 그쳤다. 선관위 자료에 따르면 제15대 대선에서 당선자 김대중 후보(40.3%)와 2위 이회창 후보(38.7%) 사이의 득표율 격차는 1.6%포인트에 불과하다. 당시 26~35세이던 현재의 40대들이 압도적으로 DJ를 지지한 것이 팽팽한 승부의 무게추를 한쪽으로 기울였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 선거 이후 줄곧 오늘의 40대들은 특정 후보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몰아주며 ‘바람’을 일으키는 투표 행태를 보였다. 2002년 제16대 대선이 치러졌을 때 31~40세가 된 이들은 ‘노무현 열풍’의 중심에 섰다. ‘노무현을 사랑하는 모임(노사모)’이 자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02년 당시 전체회원 중 80년대에 대학을 다닌 30대, 즉 ‘386세대’가 차지한 비중은 49%였다. 이 무렵부터 30대 연령, 80년대 학번, 60년대 출생자를 뜻하는 ‘386세대’라는 말이 사회적으로 화제를 모았고, 이들의 힘은 대선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선관위 자료에 따르면 제16대 대선에서 노무현 민주당 후보는 48.9%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됐다. 2위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46.5%)와 2.4%포인트 차이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6.8%가 당시 노무현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답했다. 이회창 후보를 지지했다는 답변은 32.0%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학력·경제력 초월하는 세대 결속력

눈여겨볼 것은 제16대 대선 당시 유권자를 연령별로 나눌 경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30대(25.1%)라는 점이다. 뒤이어 20대(23.2%), 40대(22.4%), 50대(12.9%)의 순이다. 이처럼 가장 큰 유권자 그룹이 노무현 후보에게 절대적인 지지를 쏟음으로써 보수층의 결집된 지지를 받은 이회창 후보가 낙선한 것으로 보인다.

1/3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강한 결속력으로 김대중·노무현·이명박 당선에 기여…박근혜·안철수 지지하고, 특정 정당 지지하지 않아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