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간디와 민족독립 교감한 최초의 신문 경영인

주제발표 ④ 인촌과 언론

간디와 민족독립 교감한 최초의 신문 경영인

1/2
간디와 민족독립 교감한 최초의 신문 경영인

동아일보 창간호.

인촌 김성수 선생의 언론과 교육운동은 한말 애국계몽운동을 계승한 것이었다. 이를 ‘문화적 민족운동’이라 한다. 인촌이 구축했던 언론의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한국 언론에 뿌리내리고 있다.

김성수는 대표적인 신문 경영인이었다. 총독부는 1920년 1월6일 3개의 민간지 동아일보, 조선일보, 시사신문의 발행을 허가했다. 30세 청년 김성수는 이때부터 동아일보를 안정된 경영 상태에서 제작 발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아무리 훌륭한 논객과 취재기자들이 모인 신문사라도 경영이 부실하면 유지될 수 없다. 독자에게는 취재와 편집의 우수성 여부가 신문의 성패를 가르는 것으로 비치지만 경영이 뒷받침되지 않는 신문은 존립이 불가능하다. 김성수는 안정된 경영으로 언론인들이 좋은 신문을 만들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최초로 성공한 신문 경영인

김성수는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를 졸업한 엘리트였고, 신문의 대중적인 보급과 광고를 통한 수입, 인쇄의 근대화, 경리 등 일본식 및 서구식 운영기법으로 신문을 경영했다. 동아일보와 같은 때에 창간된 조선일보는 1933년 1월에 방응모가 신문을 인수할 때까지 경영면에서 안정을 기하지 못하여 경영진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24년에 최남선이 창간한 시대일보는 참신한 지면 구성으로 인기가 있었고, 최남선도 문인으로서 명망이 높았으나 경영난을 타개하지 못하여 1년도 버티지 못하고 신문 경영을 포기했다.

김성수도 처음부터 신문 사업에 선뜻 나서지는 않았다. 망설이지 않을 수 없었던 이유는 조선에서 언론의 사명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시대 상황이 첫째였고, 둘째로는 경제적인 어려움이었다. 30세 청년 김성수가 아직 ‘경제상 수지상상(收支相償)이 못되어 유지책이 곤란할 것’이 분명한 신문 사업에 손대기는 조심스러웠던 것이다. 그러나 일단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심한 다음에는 적극적인 태도로 발 벗고 나섰다.



동아일보의 발행 허가가 나오자 그는 서울 화동 138번지 중앙학교 교사에 ‘동아일보창립사무소’ 간판을 내걸고 자본금 100만원을 목표로 주식 모금에 나섰다. 동아일보가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사람이 김성수다. 그는 재력도 있었지만 신의의 인간성과 인재를 아끼는 경영 원칙으로 신문사를 이끈 것이다.

김성수는 신문 경영인으로 누구와도 비교할 상대가 없을 정도로 확고한 위치에 서 있었다. 어려운 여건에서 신문을 창간하여 언론인과 문인들을 당시로서는 첨단적인 신문사에 포용하여 일제 강점의 암흑기, 광복 후 건국과 전쟁의 혼란기에 민족 언론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했다.

인재의 집결, 건국세력 형성

일제강점기에 신문은 인재의 집결처였다. 김성수는 언론인과 문인들을 신문사라는 선진적이고 첨단적인 조직에 포용하여 암흑기와 혼란기의 한국 사회에 민족 언론이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했고, 광복 후에는 이들이 정계를 비롯하여 학계와 문화계 등 각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주었다. 3대 민간 신문 중에서도 경영이 상대적으로 안정되어 있었던 동아일보에는 가장 많은 인재가 모여 있었고, 거쳐 갔다.

김성수는 조선 최고의 명석한 지식인들을 논설진과 보도진으로 포용했다. 신문사는 명예로운 일자리였다. 동아일보의 주요 제작진 가운데는 당시에, 또는 후에 사회주의자로 활약하는 사람도 상당수 있었다. 장덕수에 이은 제2대 주필 겸 편집국장 홍명희(1924.5~1925.4), 이광수에 이은 제4대 편집국장 김준연(1927.10~1928.5), 영업국장 홍증식(1921.9~1924.5)을 비롯하여 기자들 가운데도 적지 않은 사회주의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1924년과 그 이듬해에 대부분 조선일보로 옮겨갔다.

광복 후 동아일보 인맥은 한민당을 결성하여 대한민국 건국을 주도했다. 한민당의 수석총무는 송진우였다가, 송진우가 암살당한 후에는 김성수가 맡았다. 동아일보는 한민당의 정치노선을 지지하는 논조로 발행되었다. 광복 이후 좌익지가 언론계의 기선을 잡았을 때에 동아일보는 우익지로 분류되었다.

김성수는 동아일보를 사상과 토론의 마당으로 제공했다. 신문과 잡지는 외국의 새로운 사상을 국내에 소개하는 매개자였고, 외국과의 연계를 통해서 독립의 방안을 모색하고 논전을 벌이는 지식인들의 광장이었다.

1/2
정진석|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언론사
목록 닫기

간디와 민족독립 교감한 최초의 신문 경영인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