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네트웍스가 25% 지분을 갖고 있는 호주 스프링베일 광산 전경.
SK네트웍스는 지난 2월 이미 대(對)호주 석탄 개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SK이노베이션에서 석탄사업부를 인수하고 조직을 재정비한 상태다. 이후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석탄과 철광석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호주는 SK네트웍스의 석탄 사업의 중심 지역이다. 스프링베일(지분율 25%), 앵거스플레이스(25%), 샤본(5%), 클레어런스(15%) 등 기존에 SK네트웍스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4개 석탄 생산광구의 연간 생산량은 약 1000만t에 달한다.
SK는 물량 가운데 투자 지분만큼 이익을 가져간다. 한국 기업이 해외 자원에 투자했다고 해서 그것을 다 한국으로 가져가지는 않는다. 수요와 공급 상황을 따져서 필요한 만큼 가져갈 수 있고, 또 제3국에 팔 수도 있다. 앵거스 플레이스 광구에서 생산된 석탄은 모두 인근 발전소에 팔고 있다.
호주를 포함해 SK네트웍스가 갖고 있는 석탄광구 가채 매장량(可採埋藏量)은 국내 종합상사 가운데 가장 많은 2.1억t에 달한다. 또 우리나라 전력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전력의 5개 발전 자회사에 연간 500만t의 발전용 석탄을 공급하는 등 국내 내수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SK네트웍스의 자원 개발 투자규모는 약 1조원에 달한다. 브라질 유력 철광석 기업인 MMX에 국내 철광석 개발 역사상 최대 규모인 7억달러를 투자해 연간 900만t을 20년 이상 장기로 확보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 규모는 국내 연간 소비량의 17%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SK네트웍스의 광물 자원 개발 역사는 2005년부터이지만 ㈜선경 시절이던 1980년 자원 개발의 대표기업이자 정유사였던 유공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자원 기업으로 도약했다. 또 그 이전에는 제1, 2차 석유파동으로 석유 제품의 가격이 폭등하고 공급이 중단되는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대규모의 안정적 석유 공급 약속을 받아낸 유일한 기업이기도 했다. 그런 SK네트웍스가 호주를 기반으로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SK네트웍스는 올해 자원 개발에서만 600억원의 이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가운데 호주의 석탄 광구에서만 절반 가까운 액수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호주법인의 올해 예상 매출은 1억2000만 호주달러다.
자원 개발 이익 절반은 호주에서

호주 석탄광산을 방문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왼쪽에서 두 번째).
호주법인도 소수(4명) 인력이지만 그런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다. 2009년 3월 호주법인을 맡은 김현수 법인장은 1995년 호주지사가 만들어진 이후 네 번째 법인장이다. 호주 자원법인의 자본금은 2850만 호주달러(약 328억원). 김 법인장은 “지금은 광구를 직접 운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광산 운영도 직접 하게 되면 더 많은 사람이 필요할 것이다. 우선 회사가 광구 운영 등을 포함해 빠르게 성장하기 위해 작은 회사들의 지분을 많이 확보해서 대주주로서 경영에 참가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며 인수합병(M·A)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한국 기업들은 호주와 자유무역협정(FTA)이 맺어지면 자원 거래가 더욱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런 차원에서 SK도 호주에서의 활동을 특별한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대표적인 자원부국이자 자원선진국인 호주에 자원 개발을 위한 안정적 거점을 확보했다는 점은 SK네트웍스가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 선진역량의 습득, 자산 레버리지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김현수 법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