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하락하자 정부는 해외수요의 침체를 국내 경제활동 자극과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해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7월 1차로 22억 싱달러에 이르는 경기부양정책을 시행했다. 싱가포르는 경제의 개방도가 높아 금융정책이나 재정정책의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에 경기부양책은 예산과 직접 관계 없는 재정분야의 정책으로 나타났는데 상업용이나 공업용 부동산에 대한 재산세를25% 감면하는 등의 안이 포함돼 있었다. 이때만 해도 정부는 미래의 경기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 확신하지 못하고 일시적인 조치로서 경기부양을 했던 것이다.
그러나 1차 부양책 이후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미국 테러사태로 싱가포르 경제에 미치는 타격이 더 커지자 정부는 곧 위기 탈출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10월12일 정부는 GDP의 7%인 총 113억 싱달러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기업이나 개인에게 조세 및 수수료환급과 감면, 국내기업 지원, 부동산 시장 조치, 인프라건설 촉진, 고용지원, 저소득층과 실업자 대책, 신싱가포르(New Singapore Share) 국민주 분배, 임금비용 관련 조치 등이 그것이다. 예컨대 2001년 법인세의 경우 2만5000 싱달러까지는 50%를 인하하고, 그 이상의 조세에 대해서는 5%를 인하하기로 했다. 2002년의 경우 법인세에 대해 5%를 감하기로 했고, 개인소득세에 대해서도 10% 줄여주기로 했다. 유류에 부과하던 세금도 40%에서 35%로 인하했다. 또한 항공기 착륙비용도 10% 인하했다. 이들은 모두 기업과 개인의 거래비용을 줄여줌으로써 경제활동을 자극하자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부동산 대책으로는 부동산시장의 침체에 직면해 토지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는 정부가 토지매각을 중단하기로 했는데 2001년과 2002년의 매각프로그램을 재검토하기로 한 것이다. 또한 부동산 투기금지조치에 따라 보유 3년 이내의 부동산 양도차익에 부과하던 양도소득세를 폐지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내국인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내국기업금융제도(Local Enter prise Finance Scheme:LEFS)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 제도를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금리를 1% 인하하고, 은행의 LEFS 프로그램에 의한 신규대출에 대해서는 정부의 위험분담률을 70%에서 80%로 올려 은행의 대출을 촉진하기도 했다. 특히 흥미로운 정책은 국민주 형태로 국민 전체에게 27억 싱가포르달러 상당의 신싱가포르주식을 나눠주기로 한 것이다. 이 국민주는 몇 년간 배당을 보장한 것으로서 11월의 총선을 앞두고 국민에게 선심정책으로 사용한 측면이 짙다. 1996년 말 총선을 앞둔 당시에도 정부는 싱가포르 전 인구에게 국민주 형태로 우량기업의 주식을 분배한 바 있었던 것이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