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전사가 된 여인들

뮬란 vs 박씨부인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전사가 된 여인들

1/4
  • 뮬란.
  • 너는 아버지 갑옷을 훔쳐 입고
  • 집에서 몰래 도망쳐 나와
  • 군인 행세를 했다. 지휘관을 속이고
  • 황군의 명예를 파괴했다.
  • 그리고 나의 궁전까지 파괴했다….
  • 그리고 우리 모두의 목숨을 구했구나.
  • -애니메이션 ‘뮬란’ 중에서
1 환영받지 못하는 신붓감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전사가 된 여인들
“여자가 가문을 빛낼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 멋진 상대 만나 시집가는 길뿐! ”

애니메이션 ‘뮬란’의 한 대목이다. 여성의 사회 진출을 허용하지 않던 시절, ‘바람직한 신붓감’의 마지노선을 통과하지 못한 여성 앞에는 어떤 삶이 기다리고 있었을까. 중국과 한국의 옛이야기, ‘목란사(木蘭辭)’와 ‘박씨부인전’에는 ‘신붓감 콘테스트’에 통과하지 못한 여인들의 파란만장한 라이프스토리가 펼쳐져 있다. ‘목란사’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에서 여인네들은 노래한다.

“남자는 전쟁터에서 싸우고, 여자는 집에서 자식을 낳고! ”

그런 시대에 살았던 소녀 파뮬란(花木蘭)은 도깨비보다 더 무섭다는 중매쟁이에게 퇴짜를 맞고 아예 맞선 자리에 나가지도 못한 채 집안 망신을 시키는 천덕꾸러기가 된다. 뮬란은 우아하고 조신하게 행동하지 못하는 자신의 말괄량이 기질을 숨기지 못한다. 우리의 박씨부인은 어떤가. 그녀는 좋은 가문에 태어나 일단 시집을 가기는 했으나 ‘추한 외모’로 남편에게 푸대접을 받는다. 남편 이시백은 ‘외모보다는 재주와 인덕을 보라’는 아버지의 충고를 따르려 하지만, 막상 그녀의 천하박색을 마주하니 도저히 사랑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았다.



이시백이 마음을 가다듬어 다시 박씨 방에 들어가니 눈이 절로 감기고 얼굴을 본즉 기절할지라. 아무리 마음을 강잉(强仍)하자 한들 그 괴물을 보고 어찌 감동하리오.

-‘박씨부인전’ 중에서

파뮬란과 박씨부인은 ‘좌절된 여성성’을 어떻게 되찾을 수 있을까. 그녀들에게는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오는데 바로 ‘전쟁’이다. 철부지 말괄량이 소녀 파뮬란은 아픈 아버지를 대신해 아버지의 갑옷을 몰래 훔쳐 입고 남장을 한 채 전쟁터로 나가 공을 세워 금의환향한다. 박씨부인의 영웅서사는 더욱 놀라운 모험으로 가득 차 있다. 그녀는 병자호란이라는 조선 역사상 최고의 치욕적인 패배를 설욕하는 환상 속의 영웅으로 거듭난다. 적장 용골대의 동생(가상인물)을 죽이고 병조판서인 남편이 무사히 자신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최고의 참모진 역할을 수행한 것. 게다가 천하의 추녀였던 박씨부인은 절세가인의 미녀로 변신해 남편을 ‘유혹’하는 데 성공(?)하기까지 한다.

파뮬란과 박씨부인은 동양의 옛이야기에 나오는 전형적인 희생적 여성상과는 거리가 멀다. 원작 ‘목란사’에서 파뮬란은 무려 12년 동안이나 남장을 하고 전쟁터를 전전했지만 아무도 그녀가 여자임을 알아내지 못했다. (애니메이션 ‘뮬란’은 극적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해 이야기 중간 그녀가 여성임이 밝혀져 군대에서 축출당하는 내용을 넣었다.) 파뮬란의 극적 변신이 ‘남장’이었다면 박씨부인의 극적 변신은 ‘천하박색’에서 ‘천하일색’으로 변신하는 것이었다. 아주 뛰어난 능력을 지닌, 그러나 누가 봐도 못생겨서 핍박받은 여인 박씨부인의 일생은 기구하기 짝이 없다. 박씨부인은 인현왕후 같은 요조숙녀가 아니고 성춘향처럼 드라마틱한 신분상승의 주인공도 아니다. 그렇다고 ‘심청전’의 뺑덕어멈이나 ‘콩쥐팥쥐’의 팥쥐 엄마 같은 악녀-추녀 계열도 아니다. 박씨부인은 ‘청순가련형 미인’이나 ‘극악무도한 추녀형’ 캐릭터와는 전혀 다른 길을 보여준다. 그녀가 추녀로 위장하고 있었던 이유가 걸작인데, 남편의 글공부와 출세에 방해가 될까봐 자신의 미모를 감추었다는 것이다. 박씨부인은 “내가 그동안 박색으로 지낸 것은 남편이 공부에 전념토록 하기 위해서였다! ”고 선언한다.

신부의 용모를 본즉, 곰보에 더러운 때가 줄줄이 맺혀 얽은 구멍에 가득하여, 눈은 달팽이 구멍 같고, 코는 심산궁곡에 험한 바위 같고, 이마는 너무 벗어져 태상노군(太上老君) 이마 같고, 키는 팔척장신이요, 팔은 늘어지고 한쪽 다리는 절룩이니, 그 외모를 차마 똑바로 보지 못할러라.

- ‘박씨부인전’중에서

1/4
정여울│문학평론가 suburbs@hanmail.net
목록 닫기

가족을 지키기 위해 전사가 된 여인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