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양숙 여사가 청와대 관저에서 본관으로 출근하는 노대통령을 배웅하고 있다.
청와대 생활 6개월을 맞은 권여사는 주부와 어머니로서의 평범하고 소박했던 일상사를 그리워하는 듯했다. 행동거지 하나하나, 말 하나하나가 공식적인 것이 되는 생활이어서인지 약간은 답답해 한다는 느낌도 전해졌다.
“일요일 아침만큼은 직접 차려요”
권여사는 가장 하고 싶은 일을 묻자 주저하지 않고 자녀문제를 꺼냈다. “1년도 안 돼 아이 둘 다 결혼을 했잖습니까. 결혼 전에는 내가 아이들을 계속 챙겨줬는데…. 아이들이 어떻게 사나 감독하고 싶고, 궁금한데 간섭이라고나 할까 그런 걸 못 해봅니다.”
한 기자가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총리 재임시절 딸집에 가서 도배를해줘 호평을 받았다며 바깥 출입을 권유하자, 권여사는 “그렇지 않아도 꼭 한번 가보고 싶습니다. 며느리가 아이를 낳으면 핑계를 대고 한번 가보고 싶어요”라고 했다. 대통령 취임 직전 대통령의 아들 건호씨와 결혼식을 올린 배정민씨는 현재 임신 4개월이다.
매주 일요일 아침식사를 하러 청와대에 들어오는 며느리와 딸에게 어머니로서 무엇을 당부하는지를 물었다. 권여사는 “잔소리 비슷한 것을 합니다. ‘부부는 신뢰해야 한다,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그런 이야기를 해요. 둘 다 신혼이어서 아마 지금 내 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 같아요. 하지만 자주 듣다보면 ‘부부는 믿는 거다’란 생각을 갖게 될 것 아니겠어요”라고 했다.
그러면서 권여사는 가족과 함께하는 일요일 아침식사에 각별한 의미를 뒀다. “일요일 아침만큼은 직접 지어먹습니다. 일하시는 분이 준비를 다 해놓으니까 힘들지는 않아요. 오전 8시든, 9시든 편한 시간에 편하게 입고 식사합니다. 굉장히 편안하고 좋습니다. 다른 날에는 정확하게 오전 7시면 밥을 먹습니다. 그런데 하루 세끼를 단정하게 입고 먹으니까 좀 섭섭합디다. 규칙이라는 게 편한 점도 있습니다만,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지금은 몸에 익었습니다만.”
권여사는 정확한 민심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도 안타까워했다. 노대통령이 후보 시절 청와대에 입성하면 여당 속의 야당으로, 대통령에게 정확한 민심을 전달하겠다고 다짐했던 권여사이기에 그 안타까움이 더한 듯했다.
“일반인 속에서 느끼는 민심과 언론보도를 보고 느끼는 민심은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사저에 있을 때 TV와 신문을 빼놓지 않고 봤는데, 그때는 시장도 가고 여러 사람을 만나고 했잖아요. (그걸 못해서인지) 여기에서는 조금 더딘 느낌입니다. 좀처럼 느낌이 가슴에, 피부에 와 닿지 않습니다. 청와대 밖으로 나가 다니고 싶은 생각은 많은데, 한번 나가는 게 쉽지 않네요. 아이들을 통해서나, 가끔 접하는 사람들을 통해서 듣습니다만 부족하죠.”
아울러 권여사는 청와대 생활이 상당히 긴장감 있게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요즘 비가 너무 많이 와서 큰일입니다. 그런데 여기(청와대) 와서는 뉴스를 보더라도 마음 졸일 때가 한두 번이 아닙니다. 비가 너무 많이 오면 안 되는데, 사고가 나기라도 하면 안 될 텐데…. 긴장이 됩니다.”
남편인 노대통령에 대한 염려도 상당했다. 측은해 한다고 할까. 권여사의 얼굴 표정과 목소리에선 그런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남편이 본래 밖에서는 얘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집에 와서는 얘기를 잘 안하는 편입니다. 바깥일을 집에서 시시콜콜하게 얘기하는 스타일이 아니에요. 시간이 없어서겠죠. 그게 아내로서는 불만이었습니다. 지금도 그 점에 있어서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이해가 갑니다. 워낙 긴장해서 일을 하다보니까 집에 오면 쉬고 싶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