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실을 밝혀낸 뒤 왜 보복하지 못했습니까.
“북한은 사거리가 짧은 미사일은 전방에, 중간 정도 되는 것은 그 뒤에, 전략 미사일은 종심의 깊은 후방에 배치해놓았습니다. 그런 미사일을 다 잡아야 북한이 대응하지 못하게끔 제대로 보복할 수 있어요. 북한 미사일을 잡을 수 있는 무기는 미사일과 공군기입니다. 그중에서도 좋은 게 공군기입니다. 종심 깊은 곳에 있는 북한의 전략 미사일을 잡으려면 F-15K 같은 대형 전투기를 출격시켜야 합니다.
명령을 받은 F-15K는 많은 폭탄과 미사일 달고 출격하므로 기체가 무거워 이륙 때 연료를 많이 소비합니다. 그런데 많은 무장을 탑재하느라 보조 연료탱크를 장착하지 못해 북한 종심까지 침투할 수 없어요. 그때 급유기가 하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연료를 공급해 종심 침투를 지원하는 겁니다. 작전을 마친 F-15K는 애프터버너까지 켜면서 전속력으로 귀환해야 하므로 금방 연료가 떨어집니다. 그때도 휴전선 남쪽에 급유기가 떠서 기다리고 있다가 급유를 해줘야 후방 기지에 무사히 착륙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꼭 필요한 공중급유기가 없어요.”
▼ 급유기는 1993년 소요를 결정하고 2000년 사업에 착수했는데 계속 순연됐습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급유기 도입을 거부했습니다. “미군 것을 빌려 쓰면 된다”면서….
“(이 대통령은)기업을 오래 경영했기 때문인지 경제적인 면을 중요시하는 측면이 있어 그렇게 한 것 같습니다. 정치하는 분들은 한미동맹으로 풀 수 없는 문제가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미군 급유기로 급유를 받는 건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에요. 오랜 훈련을 통해 자격이 있는 조종사만 할 수 있어요. 우리도 급유기를 갖고 있어야 급유 훈련을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실전이 벌어지면 급유기가 동원되는 종심 타격은 미군 전투기만 하고, 우리 공군기는 급유기가 없어도 할 수 있는, 침입한 적기를 잡는 방어 요격 작전만 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어떻게 보복을 합니까. 우리는 준비가 안 돼 있어요.”
PAC-3 도입 반대한 DJ 정부
▼ 우리 미사일로 보복을 할 수는 없나요.
“종심 깊은 곳의 북한 미사일은 제대로 격파하지 못하니, 오히려 북한이 미사일 공격을 할 수 있는 빌미만 줍니다. 그렇다면 날아오는 적 미사일을 요격하는 PAC-3(최신 개량형 패트리어트 미사일)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도입하지 않았습니다. 우린 말로만 국방을 했어요.”
▼ 김대중 정부 때 PAC-3 도입을 놓고 논쟁이 있었지요. 김대중 정부는 PAC-3를 사면 미국이 주도하는 미사일 방어체제(MD)에 들어가게 된다며 반대했습니다. PAC-3를 도입하면 북한이 우리를 의심해서 남북관계가 경색될 거라고도 했습니다.
“MD는 적 미사일이 발사됐을 때 요격하는 것, 적 미사일이 대기권 밖으로 나가 비행하고 있을 때 요격하는 것, 그리고 대기권 안으로 다시 들어와 표적지역에 떨어질 때 요격하는 것 세 단계로 나뉩니다. 미국이 MD를 구축한 것은 중국을 의식해서인데, 지정학적 여건상 한국은 중국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 단계에서 요격하는 기지가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도입하려던 PAC-3는 세 번째, 즉 종말(終末) 단계의 요격 미사일입니다. 한반도는 종심이 짧아 북한이 쏜 미사일은 바로 떨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발사 단계 요격이나 대기권 요격 같은 것을 할 필요가 없어요. PAC-3 도입은 미국 MD에 들어가는 게 아닙니다. 김대중 정부는 중국을 너무 의식했습니다. ‘중국과는 무관하다, 북한의 미사일 위협 때문이다’고 하면서 PAC-3를 도입했어야 해요.
PAC-3를 갖고 있어도 북한이 미사일 쏜 것을 알아야 대응할 수 있습니다. 그건 미국의 조기경보위성인 DSP나 SBIRS로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MD망에 어느 정도는 연결돼 있어야 합니다. 그때 우리는 북한의 심기를 건드리는 것을 중국의 심기를 건드리는 것으로 표현한 것 같습니다. 북한을 지원하더라도 우리에게 필요한 건 갖춰가면서 했어야죠.”
▼ 김대중 정부에 이은 노무현 정부가 국방개혁법으로 육군 의무병의 복무기한을 18개월로 줄이기로 한 것은 어떻게 봅니까.
“북한의 병력은 여전히 119만입니다. 안보 위협은 줄어들지 않았는데 정치인들은 국방비, 병력, 복무기간 줄이는 것을 국방개혁이라고 생각합니다. 급속히 줄어들던 의무병 복무기간을 이명박 대통령이 천안함 사건 후 21개월로 멈춰 놨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다시 18개월로 줄인다고 했습니다. 정치인들은 표 때문에 국방비나 복무기간을 늘리자고는 못해요. 복지예산은 늘리자고 해도…. 북한 병사들은 12년 복무합니다. 우리는 18개월로 하겠다고 하고요. 12년을 뛴 선수와 18개월짜리 선수는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예요. 그런데 프로는 119만 명이고 아마추어는 50만 명으로 줄인다고 했으니, 프로 선수 11명을 아마추어 선수 6명으로 맞서 싸우라는 얘깁니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