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5·16 당시 청와대 대변인이 40년만에 털어놓은 군사쿠데타의 숨겨진 진상<2>

이한림의 울분 “박정희가 말뼈다귀냐 개뼈다귀냐”

  • 김준하

이한림의 울분 “박정희가 말뼈다귀냐 개뼈다귀냐”

1/8
40년 전의 청와대는 오늘날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당시의 청와대 건물은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헐렸지만 서울시청 본관 건물 3분의 1 크기의 개인 집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1급 별정직인 비서실장 밑에 두 명의 이사관과 두 명의 서기관이 각각 총무 공보 정무 등을 맡아 일을 했다. 가구나 책상 등 모든 비품은 이승만 대통령이 사용하던 그대로였다. 악명 높았던 경무대 경찰서는 장면 내각 수립 이후 즉각 해체되고 시경 산하 100여 명의 경찰관이 청와대 경비를 담당하고 있었다. 청와대 경비 문제로 청와대와 총리실 사이에 분쟁이 일기도 했다. 대통령 취임 후 어느날 돌연 시경국장 명의의 공문이 왔다.

청와대 경비원 전원 교체 공문

청와대 경비원 전원을 교체한다는 내용이었다. 대통령은 물론 비서실에 일언반구 사전 연락도 없었다. 섭섭하게 생각한 대통령은 장면 총리를 만나 경비원 전원을 원상 복귀토록 조처할 것을 내게 지시했다. 장총리는 나에게 시경국장을 만나보라고 했다. 시경국장은 “경무대 경호원들은 모두 4·19 때 발포한 경찰관들이니 마음대로 하라”고 불평을 늘어놓고 나서 하루 만에 ‘전원교체’를 ‘전원복귀’로 바꿨다.

또 경비대 문제로 골치 아픈 일이 생겼다. 대통령은 경비대장으로 조병옥(趙炳玉) 내무장관 때 총경이었던 민정기(閔貞基) 씨를 내정해 총리가 임명하도록 요청한 바 있었다. 며칠이 지나도 감감소식이었다. 나중에 알아보니 민정기씨가 민주당 구파 소속으로 장면씨의 총리인준을 반대한 게 원인이 되어 청와대 경비대장 임명이 불가하다는 것이었다. 장면 정권에서 ‘신·구파’의 갈등을 상징하는 사건이기도 했다.



4·19혁명으로 하야한 이승만 대통령이 이화장(梨花莊)으로 이사 한 후 오랫동안 비어 있던 경무대(景武臺)는 문자 그대로 빈 집이었다. 공과 사의 구별 없이, 심지어 일부 커튼까지 이화장으로 옮겨졌고 대장에 기록된 많은 기물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청와대 뒤편에 자리잡았던 화원에서는 꽃 한 송이도 찾아볼 수 없었다. 주위환경이 난장판이었다. 윤대통령이 청와대 주인이 된 후 안국동 자택 화원의 꽃과 나무를 모두 청와대로 옮긴 후에야 옛 모습을 되찾을 수 있었다.

대통령은 헌법상 정당에 가입할 수 없었고 행정부의 장관들이 대통령에게 업무를 보고할 의무가 없었기 때문에 ‘세상 돌아가는 정보’는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신문이나 방송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윤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이후 청와대를 국무총리 공관으로 이용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상징적인 직위인 대통령이 경비원이 많이 필요한 청와대에 거주할 이유가 없지 않으냐는 생각에서였다. 더욱이 장총리가 조선호텔을 총리공관으로 이용하려 하자 조선호텔과 반도호텔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청와대를 떠나 대통령 공관을 덕수궁 ‘석조전’이나 안국동 자택으로 옮길 생각까지 했다.

윤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청와대를 일반에서 공개, 일반 시민들에 더욱 가까이 다가갔다. 그러나 내각책임제하의 청와대는 조용하고 한가한 상징적 권부였을 뿐 5·16을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허약한 체질을 가지고 있었다.

이기붕 비서 출신의 구조 요청

윤대통령과 나의 인연은 3대 국회에서 시작됐다. 3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처음으로 국회에 등장한 국회의원 윤보선씨는 특출하게 눈에 띄는 정치가는 아니었다. 당시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였던 나는 조용하고 신사적이며 단정한 윤대통령을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신익희(申翼熙) 조병옥(趙炳玉) 장택상(張澤相) 이기붕(李起鵬) 의원 등이 리드하던 당시의 국회는 초선의원인 윤대통령을 부각할 만큼 한가롭지 않았다. 4대 국회에 들어서서 윤대통령이 민주당 최고위원에 당선되고 안국동 자택에서 최고위원회가 자주 개최되었기 때문에 그와 접촉할 기회가 생겼다.

최고위원이었던 윤대통령은 민주당 내 구파에 속했지만 언제나 중도파로 구분 됐다. 신·구파가 극렬히 대립하는 국면이 벌어지면 중재를 담당하는 자리에는 으레 윤최고위원이 있었다. 7·29선거(5대 국회의원 선거)를 2개월 앞둔 어느날 나는 안국동에서 열리는 민주당 최고위원회에 불려갔다. 뜻하지 않게 최고위원 전원의 찬성으로 내가 민주당 공천자로 결정됐다는 것이다.

그 후 고향인 철원(鐵原)에서 출마했으나 실패하고 나는 졸지에 실업자가 됐다.

그러던 어느날, 자유당 시절 이기붕 국회의장 비서였던 전영배씨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당시 전씨는 4·19혁명세력이 색출과 체포 대상으로 지목했던 인물이기도 했다. 4·19혁명으로 이기붕 의장 내외가 돈암동에 있던 그의 집에서 잠시 은신했던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는 필사적인 도피생활을 하다가 나에게 전화를 걸었던 것이다. 그는 “김형! 나는 시내 모처에 숨어 있는데 이제 먹을 것도 떨어지고 허기를 못 참고 우는 어린아이들 보기에도 지쳤습니다. 이젠 죽느냐 사느냐 하는 막판 기로에 섰습니다” 하며 애원했다. 옛정을 생각해서 살려달라는 부탁이었다.

그의 말은 자기 처가가 온양에 있으며 거기에 가면 양식을 살 돈을 구할 수 있는데 온양까지 가는 것이 문제가 되니 자기를 살려주는 셈치고 동행 해달라는 것이 요지였다.

1/8
김준하
목록 닫기

이한림의 울분 “박정희가 말뼈다귀냐 개뼈다귀냐”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