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스포츠 화제

소아마비형 가방들어주며 무쇠팔 키웠다

한국 테니스계의 희망 이형택 스토리

  • 글: 김종석 kjs0123@donga.com

소아마비형 가방들어주며 무쇠팔 키웠다

1/3
  • 1월11일 한국 선수로는 사상 처음으로 세계 남자테니스투어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는 쾌거를 일군 이형택. 비록 1월15일 세계 랭킹 2위 안드레 아가시에게 지긴 했지만, 그는 한국 테니스를 짊어질 대들보로 우뚝 섰다. 라켓 하나에 모든 것을 걸어온 이형택의 도전과 야망.
소아마비형 가방들어주며 무쇠팔 키웠다
꿈★은 이루어졌다.

누구도 감히 예상 못했지만 마침내 기적처럼 세계 정상에 우뚝 섰다.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버지를 여읜 뒤 라켓 하나에 희망을 걸었던 강원도 횡성 소년 이형택(27·삼성증권). 그가 한국인 선수로는 그 누구도 밟지 못한 남자프로테니스협회(ATP)투어 챔피언에 올랐다.

1월11일 오전, 호주 시드니의 뜨거운 태양볕 아래서 이형택은 반짝이는 아디다스인터내셔널대회 크리스털 우승트로피를 번쩍 치켜들었다. 한국 테니스 100년 역사의 오랜 숙원이 풀리는 순간이었다. 공부보다 운동을 좋아한 산골소년이 테니스 라켓을 잡은 지 17년 만에, 프로의 길로 들어선 지 8년 만에 큰일을 해낸 것이다.

시상식에서 이형택은 인사말의 대미를 “나는 시드니를 사랑합니다(I love Sydney)”로 장식했다. 그럴 만도 했다. 이형택에게 시드니는 평생 잊지 못할 황금의 땅으로 기억되고도 남았다.

“I love Sydney”



지난해 한·일월드컵에서 한국축구의 4강 제물은 스페인이었다. 한국은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120분간의 사투를 마감하며 감동적 승리를 맛봤다. 당시 홍명보가 마지막 승부차기 키커로 나서 골망을 흔든 뒤 두 팔을 벌리고 그라운드를 질주하며 지어보인 해맑은 미소는 4700만 국민의 머리 속에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공교롭게도 이형택이 결승에서 만난 선수 또한 스페인 출신인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23). 월드컵에서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40위인 한국이 세계 8위의 강호 스페인과 맞섰듯 이형택과 페레로의 대결 역시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었다. 이형택은 당시 세계 85위에 불과했고 페레로는 세계 4위의 스페인 최강. 20대 초반의 나이에도 단식 우승을 7차례나 차지한 신예 페레로는 ‘모기’란 별명처럼 쉴새없이 코트를 뛰어다니며 맹렬히 상대를 공략하는 스타일로 이름을 날렸다.

하지만 이형택은 첫 세트를 내준 불리한 상황을 딛고 일어나 오히려 더욱 공격적인 플레이와 끈질긴 투혼으로 2시간43분의 사투 끝에 짜릿한 역전 우승을 일궈냈다. 이형택도 홍명보처럼 두 팔을 번쩍 들며 활짝 웃었다.

이 대회에서 이형택의 활약은 눈부셨다. 지난해 대회에서 8강전까지 올랐던 그는 랭킹이 낮아 예선 3경기를 모두 이겨야 하는 부담 속에서도 파죽의 3연승을 거두고 본선 티켓을 따냈다. 1회전부터는 ‘산 넘어 산.’ 첫 판에서 세계 29위 니콜라스 라펜티(에콰도르)를 제친 뒤 16강전에선 세계 10위 앤디 로딕(미국)마저 잠재우는 돌풍을 일으켰다. 통산 상대전적에서 5전 전패의 수모를 안겼던 로딕에게 ‘5전6기’의 승리를 거둔 데 이어 8강전에서 세계 3위 마라트 사핀(러시아)에게 기권승하는 행운까지 따랐다.

사상 첫 예선 통과자 우승

1968년부터 오픈대회로 치러진 이 대회 사상, 예선 통과자가 우승한 경우는 이형택이 처음. 예선을 거치면 체력 부담이 많아 정상으로 가는 길이 험난한 탓이다. 그러나 이형택은 지칠 줄 몰랐다. 이형택의 우승에 전세계 언론의 찬사가 쏟아졌다. AP는 “이형택은 온갖 역경을 딛고 프로테니스 플레이어로 입문한 선수”라며 “놀라운 백핸드 스트로크로 페레로를 잠재웠다”고 칭찬했다. 로이터도 “감자를 기른 농부의 아들이 한국 테니스 역사를 다시 썼다”고 전했으며, 호주 언론들도 일제히 “대회 117년 역사상 최대 사건”이라고 대서특필했다. 결승 상대였던 페레로도 기자회견에서 “내가 패한 게 아니라 그가 이긴 것”이라며 박수를 아끼지 않았다.

이형택은 얼마나 대단한 사건을 일으킨 것일까. 남자 테니스대회에서는 국제테니스연맹(ITF)과 ATP가 공동주관하는 호주오픈·프랑스오픈·윔블던·US오픈의 4대 메이저대회가 최상급. 다음으로 ATP가 주관하는 마스터스컵과 마스터스시리즈가 있으며 보통 200만달러 이상의 상금 규모를 갖고 있다. 그 아래엔 총상금 30만∼100만달러인 인터내셔널대회가 있다. 이형택이 우승한 대회도 여기에 속한다. 굳이 서열을 따지면 세 번째 수준이지만, 호주오픈 개막을 앞둔 전초전이어서 비록 상금은 적어도 세계 ‘톱10’에 드는 선수가 6명이나 출전한 A급 대회였다.

1년에 열리는 60여 개의 투어대회 가운데 한 번이라도 우승한 선수는 30여 명에 불과하다. 전세계에 랭킹을 보유한 남자 테니스 선수는 무려 1600명. ‘별들의 전쟁’에서 최후의 승자로 남은 이형택은 ‘바늘구멍에 들어간 낙타’였다.

남자 테니스는 백인의 전유물로 불린다. 엄청난 파워, 스피드, 강인한 체력을 요구하는 데다 역사와 선수층, 신체조건 등 모든 면에서 동양 선수들은 절대 열세다. 현재 세계 랭킹 100위 안에 드는 아시아 선수는 파라돈 스리차판(태국·세계 14위)과 이형택(세계 67위) 둘뿐. 이형택과 우승을 다툰 페레로의 모국 스페인만 해도 100위권 안에 13명의 선수를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선수로 투어대회 우승은 이형택이 여섯 번째.

테니스 투어대회 1승은 미국 프로골프(PGA)투어 1승과 맞먹는다고 한다. 오히려 나흘 동안 승부를 겨루는 골프는 하루를 못 쳐도 만회할 기회가 주어지지만 테니스의 경우 ‘부진=패배’를 의미하므로 더욱 힘들다. 그래서 국내 테니스인들은 이형택의 정상 등극을 지난해 최경주의 미국 PGA투어 우승에 버금가는 쾌거로 평가한다.

1/3
글: 김종석 kjs0123@donga.com
목록 닫기

소아마비형 가방들어주며 무쇠팔 키웠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