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을 쓰시나 보죠?’
동료들의 장난이라고 생각한 S기자는 주위 사람들에게 물었지만 “웬 뜬금 없는 소리냐”는 면박만이 돌아왔다. 그러고 보니 내용도 이상했다. 기사를 쓰고 있는 줄 뻔히 아는 동료들이 논문 운운할 리가 없지 않은가. 이상한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시간에 쫓긴 S기자는 기사를 끝내기 위해 자리에 앉았다. 그 순간 S기자는 모골이 송연해졌다.
‘아하, 기자이신 모양이군요.’
키보드를 건드리지도 않았는데 누가 치기라도 하는 것처럼 글자들이 하나씩 화면에 떠오르는 것이 아닌가. 흡사 귀신의 장난 같았다. 이게 도대체 무슨 일이란 말인가.
‘많이 놀라셨나요? 뭐라고 말 좀 해보세요.’
놀란 마음을 가까스로 진정시킨 S기자는 자판을 두드렸다.
‘당신 누구요? 지금 무슨 장난을 치고 있는 겁니까? 남의 컴퓨터에 함부로 들어오는 것은 범죄 아닙니까?’
‘평소에 바이러스 체크를 잘 안 하시나 보죠? 조심하시는 게 좋을 겁니다.’
그걸로 끝이었다. 남의 컴퓨터에 마음대로 글을 써대던 유령 같은 불청객은 그 말만을 남기고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 서둘러 회사의 전산담당자를 불러 구멍난 보안시스템을 재점검했지만 찜찜한 기분은 가시지 않았다.
인터넷 바다의 ‘식인상어’
워드프로그램에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은 자신의 컴퓨터 화면을 단순히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대로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소리였다. 그뿐인가. 메일 박스를 열어보는 것은 물론 자기 이름으로 메일을 보낼 수도 있고, 인터넷 히스토리 파일을 열어 자신이 어느 사이트를 돌아다녔는지도 확인할 수 있을 터였다. 혹시 자신의 계좌로 등록한 인터넷 뱅킹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었다.
컴퓨터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그에게 자신의 컴퓨터를 누군가가 자기처럼 쓸 수 있다는 것은 단순히 기분나쁜 차원에서 끝날 일이 아니었다. 마음만 먹으면 한 개인을 완전히 파멸시킬 수도 있는 무서운 일이었다. S기자의 등줄기에 식은땀이 흘러내렸다.
대부분의 컴퓨터 사용자에게 이제 인터넷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된 지 오래다. 인터넷 바다에 연결돼 있는 컴퓨터 한 대만 있다면 입출금을 위해 은행에 갈 필요도, 증권거래를 위해 객장에 나갈 일도 없다. 외국 지사에 있는 직원들과 실시간으로 화상회의를 하거나 이메일을 이용해 중요한 문서들을 전달하는 것도 일상사가 되었다.
그러나 바다에 식인상어가 있듯 인터넷에도 당신을 노리는 이들이 즐비하다. 해킹은 더 이상 신문방송에서만 접할 수 있는 남의 일이 아닌 것이다. 초고속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내 컴퓨터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뜻도 되지만 외부에서 내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되기 때문이다. 해킹 기술이 소수 전문가들의 것이었던 예전과 달리 이제는 개인 사용자도 언제 어디서 해킹으로 피해를 입게 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최근 해커들의 공격기법 분석에 따르면 전에는 주된 공격 대상이 기업이나 대학 전산망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수천 수만의 독립된 개인 컴퓨터를 드나들거나 이를 향후 다른 해킹 공격의 경유지로 사용하고 있다. 개인 사용자들을 공격의 중간 지점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분산서비스거부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과 웜/바이러스들이 쏟아져나오고 있는 것.
S기자가 당한 ‘원격조작’의 경험은 이른바 ‘트로이의 목마(Trojan Horse)’ 프로그램을 통한 해킹이다. 백 오리피스 등 이러한 방식의 공격은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고 사용법이 간단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해킹하고 싶은 상대방에게 트로이의 목마 프로그램이 저절로 가동되도록 설정해 이메일을 보내면, 상대방이 메일을 여는 순간 프로그램이 하드에 자동으로 다운되는 것이다.
S기자가 만난 해커의 경우는 컴퓨터를 특정해 공격한 것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에게 해킹 프로그램을 뿌렸거나 이미 뿌려진 해킹 프로그램을 통해 침입한 것으로 보이지만, 트로이의 목마 프로그램이 특정인을 상대로 사용될 경우 피해는 훨씬 더 심각해진다. 대상에게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해커를 고용해 경쟁업체 컴퓨터에 침입해 정보를 빼내거나, 원한을 품고 잠입하는 경우 문제는 전화도청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진다.
눈치 빠른 독자들은 이미 알아챘겠지만 ‘트로이의 목마’라는 프로그램 이름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나오는 ‘트로이의 목마’에서 나온 말이다. 휴전과 친선의 의미로 만들었다고 믿었던 커다란 목마에서 그리스 군사들이 나와 승리의 기분에 취한 트로이 성을 함락시켰듯, 트로이의 목마 프로그램도 상대편이 눈치채지 못하게 몰래 숨어든다는 뜻으로 이름 붙여진 해킹 프로그램인 것이다.
트로이의 목마 프로그램은 대개 합법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거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형태로 다른 프로그램의 내부에 숨어 있다.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독립된 프로그램 속에 흩어져 숨어 있다가, 사용자가 의심없이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본색을 드러내 해커가 컴퓨터에 침입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준다.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법. 트로이의 목마로부터 당신의 컴퓨터를 지키기 위해서는 우선 트로이의 목마가 어떻게 활동하는지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