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강현실을 활용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스페인어를 영어로 자동 번역해주는 워드 렌즈(Word Lens).\'
스마트폰 시장이 1년 만에 10배 이상 성장한 것은 1년에 2000만대나 판매되는 한국 휴대전화 시장 규모 덕분이다. 소비자가 신형 휴대전화를 구매할 때 주로 스마트폰을 선택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이 이렇게 빨리 성장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2010년 전 국민이 보유하고 있는 전체 휴대전화 5000만대의 14%인 700만대를 훌쩍 넘는다.
스마트폰 2000만대 시대
이러한 추이로 볼 때 올해 스마트폰은 전체 휴대전화 판매대수인 2000만대의 6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고가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외에 저가형 보급 스마트폰의 판매량이 늘면서 스마트폰의 저변이 일반 사용자로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폰 보급대수는 올 3월 1000만대를 넘어 연말에는 20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 판매량이 2000만대를 넘어가면서 모바일 시장은 진입기를 넘어 성장기에 접어들 것이다. 이러한 속도라면 스마트폰이 본격 보급된 2009년 12월 이후 약 3년 만에 판매량이 3000만대를 넘어 PC와 TV를 넘어서는 주력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스마트폰의 모바일 운영체제(OS)별 점유율은 안드로이드가 50% 이상으로 가장 높고 아이폰, 바다 혹은 윈도폰7이 차례로 뒤를 이을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위치기반서비스(LBS), 무선 동기화(Sync), 음성·음악·사물 검색, QR코드 등의 서비스는 이미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2~3년 후에는 판도가 어떻게 달라질까? 이미 트렌드가 된 기술은 내년과 내후년이면 대중화돼 있을 것이다. 이후 트렌드를 내다보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해야 미래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모바일의 미래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몸 안에 투입할 수 있는 의료용 RFID.
그렇지만 증강현실이 실질적 편의성을 높이는 서비스와 접목되기 시작하면서 실용성이 강화되는 추세다. 거리 위 정보를 찾는 포장성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자동으로 책 위의 단어를 검색하거나(http://goo.gl/CXai), 자동으로 단어를 번역하거나(http://goo.gl/7NYxU), 가상계의 디지털 가구를 집안 인테리어와 어울리는지 볼 수 있고(http://goo. gl/9JNl), 디지털 인터넷 거울을 보며 운동을 할 수 있는(http://goo.gl/omVC) 기능도 등장했다. 지속적인 편의성을 높이는 증강현실 서비스가 생활 속으로 깊숙이 들어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