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각 스님.
역사교과서 한 귀퉁이에서나 접했던 그 기억의 편린을 화두로 부여잡은 스님이 있다. 범각(梵覺) 스님. 전남 해남군 두륜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大興寺)의 주지인 스님은 서산대사 재조명 작업에 진력하고 있다. 특히 조선 정조 때 왕명으로 시작됐다가 구한말 흥선대원군에 의해 폐지된 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그 자취조차 희미해진 서산대사에 대한 국가적 제향(祭享)의 복원과 의승군(義僧軍) 명예회복을 위해 각계각층에 ‘서산대사 제대로 알기’를 전파하고 있다.
대흥사는 맥이 완전히 끊겼던 서산대사 국가제향을 서산대사 탄신 제492주년을 맞은 지난해 4월 16일 ‘호국(護國) 대성사(大聖師) 서산대제’라는 이름으로 200여 년 만에 재현하는 등 서산대사의 유지(遺志) 계승에 힘을 쏟고 있다.
9월 9일 서울 종로구 견지동 조계사 인근에서 만난 범각 스님은 “서산대사는 반드시 국가적 차원에서 재조명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스님은 1968년 전남 구례 화엄사에서 지암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1984년 경남 합천 해인사에서 자운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으며, 조계종 사회국장 및 초·재심호계위원을 지냈다. 2008년 대흥사 주지로 임명됐고, 2011년 6월 주지에 재선됐다.
사찰 안에 유교식 사당

서산대사 휴정 진영(眞影).
“2008년 대흥사 주지로 부임하면서 서산대사 국가제향 복원 노력을 구체화하기 시작했어요. 그때만 해도 매년 대흥사 스님들끼리만 조용히 서산대사 제향을 지내왔습니다. 박정희 대통령 재임 시절이던 1978년에 대흥사에 건립된 서산대사 유물관도 세월과 함께 노후해 유물의 도난이나 훼손, 화재 위험성에 심각한 수준으로 노출돼 있더군요. 대흥사가 호국의 상징적 인물인 서산대사의 유의처(遺意處)임을 감안할 때 재건립은 필수 과제였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4월 대흥사 성보박물관으로 재개관했고, 이때 대흥사가 소장한 지정·비지정 유물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서산대사 제향이 조선 정조가 파견한 예조(禮曹) 관리와 전라도 경양찰방(京陽察訪), 장흥·낙안(순천)·흥양(고흥)·해남·진도 등 인근 5개 고을 수령이 모두 예제관(禮祭官)으로 참여한 대규모 국가제향이었음을 입증하는 정조의 사액시제문(賜額時祭文)을 발견했어요.
또한 정조 18년(1794년)에 서산대사의 공훈을 인정해 왕명으로 서산대사를 기리는 유교식 사당인 표충사(表忠祠)를 해남 대흥사 안에, 수충사(酬忠祠)를 묘향산 보현사 안에 건립하고 국가제향 봉행을 해마다 봄·가을로 정례화할 것을 지시한 ‘정조 친필 서산대사 화상당명(西山大師 畵像堂銘)’ 등 국가제향을 입증하는 많은 문헌을 확인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잊히거나 축소된 호국 의승들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서산대사 국가제향을 복원해 민족 정체성을 되찾겠다는 원력(願力·부처에게 빌어 원하는 바를 이루려는 마음의 힘)을 세우게 된 겁니다.”
표충사는 대흥사 경내에 있는 사액(賜額)사당이다. 정조 재위 당시 대흥사의 계홍(戒洪), 천묵(天默) 두 스님이 서산대사의 구국 공훈을 기리기 위한 사당 건립 청원을 올렸는데, 그 결과 전라도 및 평안도 관찰사의 검증을 거쳐 왕명으로 국가제향을 위한 사당을 만든 것. 사액사당은 임금이 친필로 편액을 내린 사당을 뜻한다. 불교 사찰 안에 유교식 사당이라니, 특이하다.
▼ 대흥사엔 서산대사의 어떤 유품이 모셔져 있습니까.
“1604년 묘향산 원적암에서 입적한 서산대사의 유품이 대사의 뜻에 따라 3년 뒤 대흥사에 모셔졌어요. 1602년 선조가 대사께 당상관 정2품과 증호를 내린 교지와 교지통, 의승대장 황금연가사(義僧大將 黃錦緣袈裟), 옥발(玉鉢, 발우) 및 벽옥발(碧玉鉢) 3좌, 당혜(唐鞋, 신발) 2쌍, 호박 염주 및 단주 등이 모두 선조의 하사품으로 일괄 보물 1357호입니다.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精選四家錄)은 보물 1667호입니다. 서산대사 친필인 정선사가록은 중국의 마조, 백장, 황벽, 희운 조사의 어록을 간추린 것으로, 조선 전기 고승으로선 극히 드문 필적이며 구국 의승장의 필적이라는 면에서 더욱 빛을 발합니다. 이밖에도 많은 유품이 있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