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산이 울렸다<br>할레드 호세이니, 왕은철 옮김, 현대문학, 1만4800원
여기에서 선역사란 19세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미국을 대표하는 소설가들의 작품이 해당된다. 이들을 ‘그리고’라는 괄호 안에 넣고 할레드 호세이니의 소설을 만나는 것은, 작가론에 준하는 선행 정보들을 공유한다는 의미가 전제되어야 한다. 첫째 그는 아프가니스탄 카불 출신이라는 것, 둘째 그는 현직 의사라는 것, 셋째 그는 서사문학의 원류인 이야기(스토리텔링)에 강한 작가라는 것, 넷째 그것으로 21세기 세계 소설 독서계를 열광시키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것으로 현재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라는 것.
영어를 공용어로 다인종-다언어-다민족 이민자들로 구성된 미국의 현대소설은 딱히 하나로 정의 내릴 수 없는 특수한 환경이다. 최근 10년 동안 새롭게 등장한 미국 소설을 통해 파악한 바로는, 다인종-다언어-다민족 이민자 공동체에 뿌리를 둔 이민자 작가들의 약진이 주목할 만하다. 인도 뱅갈 출신의 줌파 라히리(‘이름 뒤에 숨은 사랑’, 2000), 도미니카 출신의 주노 디아스(‘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 2007), 그리고 아프가니스탄 출신의 할레드 호세이니(‘연을 쫓는 아이’, 2003)가 그들이다. 신분이 다른 열두 살 동갑내기 두 사내아이의 우정 이야기를 아프가니스탄의 불행한 역사 현실 속에 녹여낸 할레드 호세이니는, 일찍이 발자크가 꿈꾸었던바, 한 명의 작가가 소설(펜)을 무기로 세상에 떨칠 수 있는 감동(영향력)의 최대치를 보여주었다.
나는 1975년의 어느 춥고 흐린 겨울날, 지금의 내가 되었다. 그때 나는 열두 살이었다. 나는 그날, 무너져가는 담장 뒤에서 몸을 웅크리고 얼어붙은 시내 가까이의 골목길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오래된 일이다. 사람들은 과거를 묻을 수 있다고 얘기하지만, 나는 그것이 틀린 말이라는 걸 깨달았다. 과거는 묻어도 자꾸만 비어져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나는 지난 26년 동안 아무도 없는 그 골목길을 내내 들여다보고 있었던 것 같다.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왕은철 옮김, 현대문학
‘21세기의 경이’
소설이란 주인공이 자신이 품고 있는 이상과 맞지 않는 현실에 맞서다가 고난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인식하는 과정(여행)을 기본 틀로 삼는다. ‘연을 쫓는 아이’는 소설에 대한 20세기 루카치의 고전적 명제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지금의 내’가 되기까지의 여정이 소설의 핵심을 이루는 것. 이는 소설 독자에게 가장 익숙하고, 안정적인 구조다.
‘21세기의 경이’라고 불릴 정도로 그가 탁월한 이야기꾼(스토리텔러)으로 인정받게 된 데에는 그의 소설이 인류의 서사 원형 가운데 하나인 ‘천 하루 밤 이야기(千一夜話)’의 원리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세헤라자드가 매일 밤 왕에게 새로운 이야기(에피소드)를 들려줌으로써 하루하루 목숨을 구한 ‘천 하루 밤 이야기’는, E. M. 포스터의 견해에 따르면, 인간의 기본적인 정서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토리(이야기)’의 세계를 대변한다.
문학 장르에 대한 전문적인 구별 없이 오락으로 소비하는 독자에게 소설은 ‘꾸며낸 재미있는 이야기’일 뿐이다. 동시에 입에서 입으로 전하는 구어(口語)의 세계다. 어린 시절, 잠들기 전에 자장가 삼아 할머니나 어머니에게 청해서 수없이 들었으되, 아무리 들어도 질리지 않던 ‘옛날 옛적 어느 마을에’로 시작되는 옛이야기 유가 그것이다. 신작 ‘그리고 산이 울렸다’에서 호세이니는 이 방식을 아예 비석처럼 첫 장에 드러낸다.
그래, 얘기를 해달라니 해주마. 그러나 딱 하나만이다. (…) 아득히 먼 옛날에 아유브라는 이름의 농부가 살고 있었단다. 그는 마이단 사브즈라는 작은 마을에서 가족과 함께 살고 있었단다. 그런데 아유브에게는 먹여 살려야 할 가족이 많아서 날마다 힘들게 일을 해야 했다. (…) 그래도 아유브는 스스로를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어. 그 무엇보다도 소중한 가족이 있었기 때문이야. (…) 아유브는 자식 모두를 사랑했지만, 속으로는 막둥이인 카이스를 특히 좋아했단다. 막내는 이제 막 세 살이었어. (…) 그런데 참, 세상일이란 게 얘들아, 아유브의 행복한 나날은 곧 막을 내리고야 말았다. 어느 날, 악마가 마이단 사브즈 마을에 왔단다. (…) 가족은 이튿날 새벽까지 한 아이를 내줘야 했단다.
-‘그리고 산이 울렸다’ 중에서
강렬한 서사성과 울림
소설의 출발점인 이 첫 대목은 소설 전체를 감싸는 메아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치는 자주 눈에 띄는데, 김영하의 ‘너의 목소리가 들려’(2011)와 호세이니의 ‘그리고 산이 울렸다’에서 확인된다. 가난한 마을의,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살던 한 가족이 악마의 요구에 아이를 내주고, 아비가 아이를 찾으러 목숨을 걸고 악마와 싸우러 갔을 때, 아이는 놀랍게도 가족과 집을 깨끗이 잊고 먹을 것이 넘치는 향기롭고 평화로운 악마의 집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다. 아비는 집보다 나은 환경에서 아들이 살아가도록 할 것인지 그래도 아이를 데려가 비참한 현실 속에 자라게 할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아비가 아이를 포기하고 돌아서자 악마는 약을 한 병 내민다. 약을 마시고 돌아온 아비는 아이를 잊고 남은 가족을 돌보며 열심히 살아가지만, 아들을 묻은 망각의 늪은 없는 듯 그러나 불현듯 그의 삶을 지배한다. 헌사의 의미로 쓰인 이 첫 장의 에피소드는 이후 전개될 압둘라와 파리 남매 이야기로 옮겨져 전개된다.
아버지가 이를 악물고 말했다.
“집에 가라.”
파리가 위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압둘라의 귀에 들렸다. (…) 아버지가 다시 한 번, 더 세게 때렸다. (…) 얼굴이 얼얼했고, 눈물이 더 났다. 왼쪽 귀가 울렸다. 아버지가 몸을 굽히고 몸을 기울였다. 너무 가까이 기울이는 바람에 그의 어둡고 주름진 얼굴에 사막과 산과 하늘이 가려졌다. (…)
“너, 포기 안 할 셈이구나.”
수레 안에서 파리가 후다닥 손을 뻗어 압둘라의 손을 잡았다. (…) 압둘라 오빠가 옆에 있는 한, 어떤 나쁜 일도 자기에게 일어나지 않을 것처럼, (…) 압둘라는 파리의 손을 꼭 쥐었다.
-‘그리고 산이 울렸다’ 중에서
할레드 호세이니의 소설은 인터넷 매체 환경의 초단자화한 사회구조 속에 더 이상 서사적 전통을 기대할 수 없으리라는 전망을 보기 좋게 배반한다. 강렬한 서사성과 울림을 특장으로 한 그의 소설들은 열두 살 사내아이들의 어긋난 우정과 재회의 이야기라든지(‘연을 쫓는 아이’), 한 남자에게 종속된 젊은 두 여자의 기구한 운명과 우정 이야기라든지(‘천개의 찬란한 태양’), 가난 때문에 자기 목숨보다 아끼던 어린 여동생과 생이별을 해야 했던 남매의 처절한 사랑 이야기 등, 가족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는 내용에 기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출신 작가
그러나 강한 흡인력과 울림은 작가의 문체에서 기인한다. 문체는 보다 근원적인 것, 곧 작가의 심성과 태도에 관계된다. 여기에 그가 취하는 소설 양식이 모두 장편이라는 점, 이들 소설의 중심 무대가 태생지이자 산악지대인 아프가니스탄이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번에 발표한 신작 ‘그리고 산이 울렸다’에서 아프가니스탄을 벗어난 공간들(파리, 그리스, 미국)이 펼쳐지기도 하지만, 서사의 중심은 제목이 암시하는 대로 산이 많은 아프가니스탄 카불과 카불에서 멀리 떨어진 샤드바그라는 가상공간, 유년의 공간으로 되돌아온다.
햇살이 화사한 오후다. 그들은 다시 한 번 어린아이로 돌아가 있다. 오빠와 동생. (…) 그들은 꽃이 화사하게 핀 사과나무 그늘의 웃자란 풀밭에 누워 있다. 그들의 등에 와 닿는 풀이 따스하다. 햇살이 흐드러진 꽃들 사이로 반짝이며 그들의 얼굴에 와서 닿는다. (…) 그녀가 얼굴을 돌려 그를 바라본다. (…) 그러나 얼굴이 너무 가까이 있어서 얼굴 전체를 다 볼 수가 없다. (…) 그러나 괜찮다. 그의 옆에 있는 것만으로, 그와 함께 있는 것만으로 충분히 행복하니까.
-‘그리고 산이 울렸다’ 중에서
고대 아라비아의 왕비 세헤라자드는 매일 밤 새로운 이야기로 천 하루 밤의 목숨을 연장했지만, 현대사회에서 소설은 이야기 전달력으로만 독자의 호기심(생명력)을 지속시킬 수 없다. 작가가 전작 두 편에서 이야기하기에 집중했다면, ‘그리고 산이 울렸다’에서는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에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곧 ‘이야기’에서 한 차원 높은 미적 형식(플롯)인 ‘소설’로 진입한 셈이다.
그리하여 이 소설은 압둘라와 파리 남매의 생이별을 중심축으로, 1949년부터 2010년까지의 세월을 각기 다른 화자들이 등장해 다양한 시점으로 이야기한다. 카불이든 샤드바그든 파리든 그리스든 이들이 살고, 떠나고, 넘고, 돌아보고 다시 이어가는 각 장은 하나하나가 산이고, 산들은 골짜기(행간)마다 메아리를 품고 있다. ‘그리고’의 선(先)역사처럼, 부메랑으로 돌아오는 메아리의 정처(定處)는 사랑이 되기도 하고, 도리에 대한 죄의식(윤리)이 되기도 하고, 향수(鄕愁)가 되기도 한다. 산이 깊을수록 메아리는 깊고 크다. 이것이 할레드 호세이니의 신작 ‘그리고 산이 울렸다’의 본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