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1월 6일 청와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큰 화두가 아닐까 싶다. 적어도 국민의 20%, 1000만여 사람이 박 대통령의 소통 방식에 ‘넌더리’를 내고 있으니 말이다.
사실 박 대통령의 소통 문제는 시사 이슈이면서 사회과학적 탐구 대상이기도 하다. 일단 ‘소통(communication)’이라는 어휘 자체의 ‘내공’이 간단치 않다. ‘커뮤니케이션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이룰 정도로 다양한 담론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언론은 박 대통령과 대척점에 있는 어느 일방의 논리에 편승해 박 대통령의 소통 문제를 피상적으로 보도해온 면이 있다. 이에 ‘신동아’는 깊이 있고 통찰력 있게, ‘대통령의 태도 변화’라는 유용성을 염두에 두고 이 문제를 다뤄보고자 한다.
박 대통령과 같은 정당 소속으로서 국정 철학을 공유하고 정치적 연륜도 갖춘 새누리당 상임고문 5명에게 ‘박근혜 식 소통’을 진단하게 했다. 답변에 응한 고문은, 가나다 순으로 김동욱 전 의원(기업인 출신·4선), 김용환 전 재무부 장관(관료 출신·4선), 박관용 전 국회의장(정치인 출신·6선), 신경식 전 의원(언론인 출신·4선), 유흥수 전 의원(경찰 출신·4선)이다. 이들은 박 대통령의 소통 현장을 비교적 생생하게 관찰한 것으로 보였다.
‘세상에 없던 새로운 화두’ 던져
박 대통령 측 원로그룹인 ‘7인회’ 멤버이기도 한 김용환 상임고문은 “대통령이 원칙을 지키는 가운데에 나름대로 (소통하려) 노력한다”고 말했다.
▼ ‘소통이 조금 더 필요하지 않나’ 하는 시각도 있는데요. 예컨대 야당과의 소통이라든지.
“야당 이야기를 꼭 들어주어야 소통인 것은 아니지 않나요?”
▼ 그러면 어떤 것을 소통이라고 보나요?
“(1월 6일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이 국민의 기대치보다 훨씬 많은 이야기를 했어요. 이것이 국민을 상대로 한 소통 아니겠어요.”
‘국민의 기대치보다 훨씬 많은 이야기’라는 건, 박 대통령이 이날 제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474(성장률 4%, 고용률 70%, 국민소득 4만 달러)’ ‘통일은 대박’ 같은 새로운 국정 의제를 제시한 것을 의미한다.
소통학자인 로이드 비처에 따르면 대통령은 어떤 불리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세상에 없던 새로운 화두’를 던짐으로써 이 국면을 돌파하고 국민의 지지를 결집할 수 있다. 이 역시 소통의 한 영역이다. 박 대통령은 이러한 ‘의제 설정’과 관련된 소통에서만큼은 능수능란하다고 평가될 수 있다.
한국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1월 6일 기자회견 직후 박 대통령 지지율은 48%에서 53%로 5%포인트 상승했다. 박 대통령의 ‘경제혁신’ ‘통일’ 의제에 대중이 공감했다는 방증이다. 여론도 “두 개의 굵은 점을 찍었다” “집중력이 살아 있다”(중앙일보)며 박 대통령의 의제설정 능력에 호의적 평가를 내린다.
잘하는 소통 vs 못하는 소통
대통령의 소통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는 ‘솔깃해하고 믿을 만한 의제(비전·주장)를 제시하는가’다. 주장 자체가 황당하거나 하나 마나 하면 소통이 될 리 없다. 둘째는 ‘반대의견을 잘 수렴 하는가’다. 적어도 박 대통령은 첫 번째인 ‘의제설정 소통’을 잘하며 그의 비교적 높은 지지율도 여기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법과 원칙’ ‘비정상의 정상화’ 같은 ‘박근혜 캐치프레이즈’도 여기에 속한다. 박 대통령에게 소통의 문제가 자꾸 제기되는 건 두 번째인 ‘의견수렴 소통’과 관련해서일 것이다.
김용환 상임고문을 뺀 김동욱, 박관용, 신경식, 유흥수 상임고문은 박 대통령의 의견수렴 소통에 미흡한 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동욱 상임고문은 “박 대통령이 지금까지 애를 많이 썼고 잘하고 있지만 소통과 포용에 더 관심을 갖고 노력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지는 김 상임고문과의 대화 내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