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서울대 장수연구팀의 세계 장수촌연구

100세인들, 콩 해초 돼지고기 즐긴다

  • 전경수 <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 > korancks@snu.ac.kr

100세인들, 콩 해초 돼지고기 즐긴다

2/11
2000년 말 현재 제주도청에서 파악한 제주도의 노인인구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에서 65세 이상의 인구(4만3334명)는 전체인구(54만3368명)의 7.98%를 차지하고 있다. 그중에서 65세 이상 남자(1만3113명)는 남자 전체(26만9126명)의 약 5%인데 반해 65세 이상 여자(3만221명)는 여자 전체(27만3242명)의 11%를 약간 웃돈다. 그리고 65세 이상 인구 중 약 70%가 여자다. 즉 65세 이상을 기준으로 할 때, 제주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도 배 이상 많다.

장수라는 차원에서 생각한다면, 85세 이상의 분포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85세를 기준으로 한 것은 의학적으로 85세가 넘으면 그 이하의 연령보다도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떨어진다는 보고에 근거하고 있다. 제주도의 85세 이상 노인은 3849명이다. 그중에서 남자는 504명, 여자는 3345명이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제주도를 나누어볼 때, 85세 이상자가 산북(山北) 2568명, 산남(山南) 1281명이다. 인구비율로 보면, 산남과 산북의 차이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제주도에서 85세 이상의 인구는 1만 명당 약 71명이다(전국평균으로 볼 때, 제주도가 85세 이상의 생존율이 가장 높다). 그중에서 여자가 86%가 넘고, 남자는 약 14%로, 여자가 남자보다도 6배 이상의 높은 장수율(長壽率)을 보인다.

65세 이상 여자는 약 70%인데, 85세 이상 여자는 86%가 넘는다. 즉 여자의 여명(餘命)이 훨씬 길다는 얘기다. 100세가 넘어가면 여자의 비율이 거의 100%다. 제주도청 사회복지과에서 파악한 자료(제주도에서는 100세가 되는 노인에게 ‘天壽牌’를 증정한다. 그것은 철저하게 주민등록증 나이에 따른 것이다. 사실상의 나이가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렇지 않은 것을 증명할 수 있는 문서기록이 없기 때문에, 주민등록상의 나이에 따른다. 따라서 사실상 나이가 백세가 되지 않은 분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시행하는 수밖에 없다고 한다.)에 의하면, 100세 이상이 총 47명이며, 그중에서 남자는 1명밖에 없다. 인구 10만 명당 100세 이상 비율은, 약 9명 정도다.

그러나 제주도의 100세인에 대한 직접 면접을 두 번(2001년 봄과 여름)에 걸쳐서 실시한 결과 남자 1명과 여자 30명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주도의 100세인은 2001년 여름 현재 31명이며, 최고령은 107세고, 인구 10만 명당 100세인의 숫자는 6명 정도로 계산해낼 수 있다. 세계 최장수국인 일본의 경우는 10만 명당 100세인이 8명이며, 한국의 경우는 4명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공문서 기록의 연령과 실제 연령이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이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나이의 계산법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세계적인 100세인 연구가 만 나이를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법은 세는 나이라는 차이점에서 비롯된다. 둘째는 고령일수록 주민등록이나 호적 등에 기록된 나이가 실제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셋째 100세인에 대해 정부가 관심을 보이니까 당사자와 주변의 사람들이 착오로 기록된 당사자의 나이를 정정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강하다.

100세인의 특징을 개인과 가족 그리고 사회의 세 가지 차원에서 분석한다. 그동안 100세인 연구는 100세인의 개인적인 특징에 초점을 맞춘 것이 하나의 흐름이었다. 100세인이라는 사회적 현상이 갖는 문화적 함의가 어떠한 것인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100세인을 둘러싸고 있는 가족과 사회 그리고 그러한 단위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해서 고려해보아야 한다.

2/11
전경수 <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 > korancks@snu.ac.kr
목록 닫기

100세인들, 콩 해초 돼지고기 즐긴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