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영철 기자의 건강萬事

비급여 축소, 비용 절감해 100만 원대 인공관절 수술

제일정형외과병원의 ‘반값 수술’ 도전

  • 최영철 기자 │ ftdog@donga.com

비급여 축소, 비용 절감해 100만 원대 인공관절 수술

1/3
비급여 축소, 비용 절감해 100만 원대 인공관절 수술
2년 전쯤의 일이다. 후배 김 군이 회사로 찾아왔다. 어머니의 관절염 치료 ‘민원’이 용건이었다. “효도도 돈이 있어야 한다”며 도움을 요청하던 김 군의 그때 모습을 떠올리면 지금도 마음 한구석이 편치 않다.

“선배, 저희 어머니가 10여 년 전부터 한쪽 다리에 관절염이 와서 고생이 심하신데요. 병원에선 ‘관절이 다 닳아버렸으니 인공관절로 바꿔 끼워야 한다’고 했답니다. 수술비가 500만 원쯤 든다는데, 휴…. 아시다시피 제 수중에 돈이 별로 없어요. 선배가 병원을 많이 아시니까 싸게 수술받을 방법이 없을까요? 여동생 돈까지 박박 긁어모아도 당장 만들 수 있는 돈이 200만 원밖에 안 됩니다. 통증이 너무 심해 숫제 다리를 질질 끌고 다니시는데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

김 군의 어머니는 경북 김천에서 아픈 다리를 끌며 쌀농사를 짓고 계신다. 친환경농법으로 지은 쌀은 밥맛이 일품이다. 상황이 워낙 딱해 이리저리 전화를 걸었다. 5개 병원에 전화를 걸었는데, 인공관절 수술비용은 병원마다 제각각이었다. 환자가 부담해야 할 병원비는 350만~500만 원. 로봇 수술을 하는 곳은 800만 원을 훌쩍 넘겼다. 병원장들은 한결같이 “다른 수술은 모르겠는데 인공관절 수술은 재료값이 비싸서 할인을 많이 못해 준다”고 손사래를 쳤다. 최고로 배려해 준 가격도 300만 원이 넘었다. 결국 김 군은 어머니의 무릎 수술을 포기했다.

“수술비에 거품 많았다”

지난 2월 중순 서울 강남의 제일정형외과병원 신규철 병원장과 점심 약속이 있었다. ‘신동아’에서 연재하고 있는 ‘척추관절학개론’ 칼럼과 관련해 의논하는 자리였다. 그런데 신 병원장이 놀라운 얘기를 들려줬다. 제일정형외과병원은 노인성 질환인 척추 및 관절 관련 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병원으로 과잉진료나 검증되지 않은 시술·수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균 기대수명이 남녀 모두 80세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이젠 얼마나 오래 사느냐보다 노년을 얼마나 행복하게 보내느냐가 더 중요한 시대입니다. 무릎 관절은 내구 연한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평생 쪼그려 앉아 생활을 해온 할머니들은 인공관절 수술을 받는 게 흔한 일이 됐죠. 그런데 지금껏 인공관절 수술비용에 거품이 너무 많았어요. 그래서 병원 내 관절 분야 원장님들과 논의한 끝에 환자 본인이 내야 할 치료비용을 절반 이하로 떨어뜨리기로 했어요. 몸 상태가 좋은 분은 100만 원만 내면 되고, 무통치료를 받거나 정밀한 진단을 받아도 150만 원이면 충분합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저희 병원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싶습니다.”

‘반값 아파트’ ‘반값 등록금’ ‘반값 임플란트’ 이야기가 나오더니 이제 반값 인공관절 수술이 등장한 것이다. 인공관절 수술비용이 100만 원대라면 반값보다 더 낮다. 더구나 ‘반값 인공관절 수술’은 국가 복지정책의 일환이 아니라 한 민간병원의 자발적 시도라 의미가 남다르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60세 이상 노인 중 80% 이상이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으며,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건수는 2001년 1만4887건에서 2010년 7만5434건으로 10년도 못돼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수술받은 환자의 대부분이 60~70대이며 70대는 2006년 1만3212건에서 2010년 2만4751건으로 4년 만에 187% 증가했다. 80대도 2010년 2928건으로 2006년보다 261% 늘었다. 퇴행성 관절염이 백내장처럼 나이가 들면서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반려질환’임을 감안하면 앞으로 인공관절 치환 술 건수는 더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무릎 관절 사이에서 쿠션 작용을 해주는 연골이 나이가 들면서 닳거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찢어져 발생하며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초기와 중기에는 약물치료, 내시경 수술, 줄기세포술 등 다양한 치료법으로 통증을 제거할 수 있지만 연골이 다 닳아 뼈와 뼈가 부딪칠 정도가 되면 인공관절 치환술 말고는 치료법이 없다. 60대 이상 노인 중 다리가 O자형으로 변한 사람들은 연골이 얼마 남아 있지 않을 확률이 높다.

비급여 항목 크게 줄여

70대는 물론, 80대 노인들 사이에도 인공관절 수술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기술 발전과 함께 수술의 절개 부위가 작아지고 척추마취 대신 부분마취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덕분에 요즘은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들도 수술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인공관절의 수명도 늘어나 되도록 쪼그려 앉지 않고 의자 생활을 하면 15~20년도 거뜬하게 쓸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인공관절의 회전 반경도 늘어나 웬만한 동작은 자연스럽게 소화할 수 있게 됐다.

국민건강보험 통계에 따르면 2011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518만4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0.5%를 차지한다. 이는 2004년 대비 38.3% 증가한 수치. 노인 인구 증가보다 더욱 눈에 띄는 것은 노인 의료비 증가폭이다. 2011년 노인 의료비는 15조3893억 원으로 7년 사이 약 300% 급증했다.

1/3
최영철 기자 │ ftdog@donga.com
목록 닫기

비급여 축소, 비용 절감해 100만 원대 인공관절 수술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