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0월호

해후(邂逅)와 재회의 순간들

  • 입력2004-09-23 10:5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후(邂逅)와 재회의 순간들
    우리가 힘겨운 생의 여정(旅程)을 살아가는 동안 가장 아쉽고 고통스럽지만 애틋하고 아름답게 기억되는 감정은, 한때 깊은 정을 나누었으나 오랫동안 잊혀진 사람을 길 위에서 해후(邂逅)하거나 재회하는 순간에 얻을 수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우리들은 모두 ‘자기 앞의 생(生)’을 살아가면서 어느 누구를 만나 무덤까지 함께 가거나, 아니면 깊은 정을 나누었지만 헤어져야만 하는 비극적인 슬픔으로 괴로워해야 할 운명에 놓여 있다.

    ‘해후’는 서로 만나 깊은 정을 나누었으나 피할 수 없는 운명 때문에 이별을 한 뒤 ‘만남은 이별을 낳고 이별은 새로운 만남을 기약하듯’,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숱한 기다림 속에서 낯설지만 친숙한 얼굴을 다시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가 그리워하면서도 부딪치는 삶의 파도에 떠밀려 배반 아닌 배반으로 헤어져 수많은 세월 동안 가슴에 묻고 있던 사람을 거리에서나 혹은 어느 유리벽 찻집에서 만나게 되면, 그 고마움이야 무엇으로 다 표현할 수 있으랴.

    그러나 ‘해후’가 가져다주는 찰나적인 놀라움 속에 느끼는 순수한 만남의 환희가 해질녘의 찬란한 빛처럼 사라지고 나면, 서로의 변한 모습에 절망하게 된다. 낯선 장소에서 서로가 마주앉아 다가선 모습을 찬찬히 바라보다가 발견한 어두운 낯섦이 세월의 파도가 스쳐간 자국이든지 아니면 홍진(紅塵)이 묻은 상처이든지 간에, 그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진정 중요한 것은 물처럼 흘러간 시간의 간격이 가져온 변화의 아픔이다. 그래서 “옛 애인을 만나지 말아야 한다. 만나면 그 모습은 누더기와 같다”는 옛말이 생겨나지 않았을까.

    프루스트도 이와 유사한 감미롭고 쓰라린 경험을 어느 산문(散文)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는 몸이 약하고 상상력이 지극히 조숙한 열 살의 소년을 알고 있다. 그는 자기보다 나이 많은 소녀에게 순진한 사랑을 바쳤다. 그는 소녀가 지나가는 것을 보려고 언제나 창가에 서 있었다. 그는 소녀를 보지 못하면 울고, 보면 또 봤대서 울었다. 그가 소녀 곁에서 지내는 순간은 지극히 드물고 지극히 짧았다. 그러던 그가 침식(寢食)을 잊어버린 어느 날 창에서 몸을 던졌다. 사람들은 처음에 그가 죽은 것은 소녀에게 가까이 갈 수 없는 것을 절망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제로 그가 죽은 시점은 소녀와 장시간 이야기를 나눈 뒤였다. 소녀는 그에게 지극히 친절히 대해주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이렇게 상상했다. 그는 소중히 간직하던 도취의 감정을 되돌릴 기회가 없을 것이라 여겨 삭막한 여생(餘生)을 버린 것이라고. 그러나 그가 동무들에게 때때로 고백한 바로 미루어보면, 그는 소위 그 ‘꿈의 여왕(女王)’을 만날 때마다 일종의 기만을 느꼈다고 생각된다.



    물론 어느 누구든지 다시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그리워했던 사람을 우연히 만나게 되면 지나간 시간의 괴리가 가져온 상처 때문에 절망한다. 물론 재회의 경우는 해후와는 다르지만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젊은 시절 서로가 순수한 마음으로 깊은 정을 나누며 서로의 마음에 깊은 우물을 팠지만, 운명의 여신이 서로의 만남을 허락하지 않아서 이국(異國)땅이나 또는 먼 곳에 떨어져서 독립된 삶을 살게 된다. 그 결과 한때 열병(熱病)처럼 뜨거웠던 감정은 식고 그들은 이성적이고 현실적인 생활인으로 변신해서 성숙한 인간으로서 주어진 일상적 삶을 살아가게 된다.

    그러나 프루스트의 말처럼 감수성이 예민한 시적(詩的)인 인간이 아니라도 사람들은 한때 자신과 행복한 시간을 보냈던 그리운 이의 모습이 기억 속에서 물안개처럼 피어오르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잃어버린 시간 속에 묻혀버린 사람들에 대한 애틋함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이다. 그래서 그들은 애정을 표백한 후 친근한 우정만 남은 감정으로 옛날 깊은 정을 나누었던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하고 또 만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객지(客地)에서 오랫동안 유랑을 하던 사람들이 고향을 그리워한 나머지 자기가 자라난 옛집을 찾는 것과 마찬가지다.

    해후(邂逅)와 재회의 순간들
    그러나 이국땅이나 도시에서 오랜 세월을 보낸 사람이 작아지거나 폐허가 된 고향집을 다시 찾았을 때 실망하고 좌절하는 것처럼, 만나는 순간 그들은 모두 다 잃어버린 시간 속에서 상처 입거나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한 모습에 절망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절망의 두려움 때문에 그렇게도 그리웠던 얼굴을 외면하거나 그로부터 도망치려 한다면, 그것은 그의 삶을 인간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더욱 비참하게 만드는 것이다. 능동적인 참된 삶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성취하거나 그리움으로 이루어지는 아름다운 시간의 연속이 아닐까.

    너무나 오랫동안 마음속 깊이 새겨져 있는 순수한 사랑과 우정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든 오랫만에 만난 얼굴이 아무리 변했더라도, 서로 과거의 아름다운 모습보다 시간의 힘에 외상(外傷) 입은 모습에 애정의 눈길을 주어야만 한다. 눈을 뜨고 바라보는 순간 그리워했던 사람의 일그러진 모습 아래 순수한 옛 모습의 그림자가 조용히 숨을 쉬며 잠을 깨고 있기 때문이다. 아일랜드의 민족시인 예이츠는 결코 맺을 수 없었던 그의 애인, 모드곤의 ‘변한 얼굴의 슬픔’을 사랑하며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그대 늙어서 머리 희어지고 잠이 많아져, 난로 옆에서 꾸벅일 때, 이 책을 꺼내서 천천히 읽으라.그리고 한때 그대가 지녔던 부드러운 눈매와깊은 그늘을 꿈꾸어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대의 기쁨에 찬 우아한 순간을 사랑했으며, 거짓된 혹은 참된 사랑으로 그대의 아름다움을 사랑했는지를, 그러나 단 한 사람 그대의 순례(巡禮)하는 영혼을사랑했고, 그대 변한 얼굴의 슬픔을 사랑했음을.

    W.B. 예이츠의 ‘그대 늙거든’ 일부

    별리(別離)의 슬픔을 나눈 사람들이 수많은 시간이 흐른 후 신의 축복으로 잃어버렸던 사람을 만나서 너무나 ‘변한 얼굴의 슬픔’을 사랑하게 되면, 발터 벤야민의 말처럼 그는 시간의 바닷속에 묻혀서 “바다 작용에 의한 변화를 겪고”도 환경의 변화에 정복당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진주(眞珠)가 된 순수한 사랑의 결정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랜 이별 끝에 이루어진 해후의 순간이나 재회의 순간, 그 찰나적인 기쁨 뒤에 절망이 찾아오면 어디라도 좋으니 어둠 속 빗길을 자동차로 함께 달려보라. 운전을 하며 달리는 차 속에서는 서로가 얼굴을 바라볼 수 없기 때문에, 차창을 때리며 흘러내리는 빗물만 보게 되기 때문에, 옆에서 가랑비처럼 찾아오는 부드러운 손길과 함께 잊었던 옛 목소리를 가까이에서 다시 느끼게 될 것이다. 실로 그것은 오랜 세월의 바닷속에 깊숙이 묻혀 있다 해변으로 밀려온 성숙한 우정인 사랑의 진주와도 같은 것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