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의원의 이런 태도는 가정생활로 연결된다. 유의원과 부인 김성수씨는 1994년 ‘여성신문’이 선정한 ‘평등부부상’을 받은 적이 있다. ‘평등부부상’은 민주적인 그의 가정 분위기를 감안하면 당연한 일이다.
“민주적 가정에선 가족 구성원들이 민주적으로 가정 일에 참여하고 책임을 집니다. 구성원의 인격을 존중하고 재주와 취미를 인정하며 가족 공동체 의식을 갖는 가정이 민주 가정입니다. “
유재건 의원 부부의 평등 문화는 내력이 있다. 두 사람은 1968년 3월7일 서울 명동 YMCA 강당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이때 두 사람은 부부 동시 입장을 결행했다. 신랑은 주례를 맡았던 당시 연세대 총장 박대선 목사의 손을 잡고 옆문으로 입장했고, 신부는 친정 아버지 손을 잡고 입장했다. 당시로서는 엄청난 파격인 이 결혼식에서 많은 하객들은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유재건 의원은 가정에서 시작된 민주주의가 사회와 국가로 연결된다고 생각한다. 그가 강조하는 것은 대화와 토론,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행동, 타협 등 세 가지다. 따라서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족의 계획을 서로 의논하고 토론하고 절충한다. 이렇게 살다보니 이 부부는 신혼시절부터 대화가 많아 새벽 3시, 4시를 넘기기 일쑤였다.
유의원은 집안 일에서 어느 남편보다 솜씨가 좋다. 그의 주특기는 다림질. 집에 들어오면 TV를 켜놓고 땀을 뻘뻘 흘리며 다림질을 한다. 자신의 와이셔츠는 물론이고 부인 블라우스까지 내놓으라고 성화를 낸다.
이 가사노동은 결혼 초기의 소신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지만 미국 생활 20년이 큰 몫을 했다. 미국 가정에서는 진공청소기 돌리기가 남자 몫이다. 한국과는 사뭇 양상이 다른 미국에서 그는 요리와 설거지, 정원손질 등 집안 일이 몸에 배었다. 1990년 귀국했지만, 오랜 버릇 덕분에 부부는 집안 일을 나누어서 하고 있다. 집에 손님을 초청하면 유의원은 태연하게 앞치마를 맨다. 유의원 집은 최근 손님이 찾아올 때를 대비해 고정 메뉴를 개발했다. 이름하여 도토리묵밥인데 누구라도 서울 성북구 돈암동 한신아파트 109동 1702호 유재건 의원집에 가면 이 음식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