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나라 유학자 장횡거(1020∼1077)는 젊어서부터 기개와 포부가 남달라 병사(兵事)에도 뜻을 두었다. 그는 대신이자 유학자인 범중엄을 찾아가 병사를 논하고자 했지만, 범중엄은 장횡거를 꾸짖었다. “유학자라면 인륜의 가르침을 즐겨야 하는데 어찌 병사를 일삼겠는가.” 그리고 범중엄은 장횡거에게 ‘중용’을 직접 가르쳤다. ‘중용’을 접한 장횡거는 자성하고 진정한 도를 추구할 뜻을 품게 됐다.
부끄럼 없는 부모가 당당하다
대입 수능시험을 끝낸 청소년들의 방황은 최근 들어 해마다 되풀이되는 뉴스다. 합격한 학생은 합격한 학생대로, 그렇지 못한 학생은 또 그들대로 마음을 가라앉히기 힘든 시기다. 위기가 곧 기회란 말도 있지만, 마음이 흔들리는 시기일수록 그 시기에 읽은 좋은 책 한 권이 미래의 삶에 미치는 영향도 크기 마련. 앞서 거론한 두 인물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희비가 엇갈려 마음이 흔들리는 요즘 청소년들에게 어떤 책을 권할까? 물론 처한 상황이 각기 다르다 보니 각자 적합한 책도 다르다. 하지만 드물게나마 일반적으로 적합한 책도 있다. 대표적으로, 18세기 영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인 필립 체스터필드(1694∼1773)의 저서 ‘내 아들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을유문화사)를 들 수 있다. 네덜란드 주재 영국대사로 근무하던 시절 아들에게 보낸 편지글을 모은 책인데, 영미권에선 고전으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이 책의 특징은 소제목 하나하나가 훌륭한 격언이란 점. 그 가운데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의 향상에 지나친 노력이란 없다’ ‘작은 일을 소홀히 하지 않는 사람은 크게 뻗어 나간다’ ‘자신의 가치관만으로 세상을 헤아리지 말라’ ‘인생 최대의 교훈은, 언행은 부드럽게 의지는 굳게’.
이 정도 충고의 말을 자신 있게 자녀에게 들려줄 수 있는 부모라면, 세속적 출세와는 별도로 성공한 삶을 산 사람이 아닐 수 없다. 스스로 돌이켜 부끄럼 없이 산 사람만이 자녀에게 당당하게 충고하고 준엄히 꾸짖을 수 있다.
최근 청소년 문제의 주된 원인으로 사회환경을 지목한다. 사회환경이 감수성 예민한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물론 크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부모들 각자가 스스로를 돌이켜보는 게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부모가 스스로를 돌아보는 거울로 삼기에 충분하다.
창조적 예술 꿈꾸는 젊은 세대
청소년뿐만 아니라 20∼30대 젊은층의 삶에서 게임은 빼놓을 수 없는 일부다. 프로게이머를 지망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게임 개발 관련업종에 종사하길 원하는 청소년도 많다. 사회 전체 차원에서도 게임은 디지털시대의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간주된다. 이런 사회 분위기에서 일본 게임계의 우상 이노 겐지의 자서전 ‘게임’(뜨인돌)이 지니는 의미는 각별하다.
이노 겐지는 이른바 롤플레잉 게임인 ‘D의 식탁’(1995), ‘에너미 제로’(1996), 시각장애인을 위해 소리로만 즐길 수 있게 만든 ‘리얼사운드: 바람의 리그렛’(1997) 등을 발표, 일본 게임계에서 늘 태풍의 눈이었다. 한국 못잖은 학력위주사회인 일본에서 이노 겐지는 고교 중퇴 학력으로 워프라는 무명의 소프트웨어 개발사를 일약 정상급 회사로 성장시켰다.
이 책을 보면, 어릴 적 이노 겐지는 컴퓨터나 전자오락과 거리가 멀었다. 초등학교때 비틀스에 심취하는가 하면 신서사이저 음악의 매력에 빠져 ‘예술적 테크놀로지’의 세계를 꿈꾸기도 했다. 중·고교 시절 억압적 교육환경에서 반항아가 된 그는 여행, 독서, 클래식 음악감상 등에 빠져 지냈다. 그 때문인지 그가 만든 게임은 탄탄한 인문학적 소양과 창조적 발상으로 가득하다. 게임CD 케이스에 허브씨를 넣어 구매자에게 새로운 사랑을 싹틔워볼 것을 권한다든가 하는 발상도 그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