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책이 시키는 대로 사는 어떤 인생

책이 시키는 대로 사는 어떤 인생

2/2
그런데 일단 사업을 시작하고 나니 오히려 책을 읽을 시간이 줄어들었다. 관심도 경영으로 집중됐다. 그로부터 지금까지 수년간은 오로지 경영에 도움되는 책들만 보고 있다. 피터 드러커의 ‘변화 리더의 조건’은 나에게 경영 바이블이다. 병원의 존재목적이 의사와 간호사에게 일자리를 주기 위함이 아니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함이듯, 기업의 존재목적은 이윤추구나 ‘철밥통’ 만들기가 아니라 사회에 꼭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단다.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은 사업이나 장사를 하면 입에 풀칠하기도 힘들지만, 사회에 꼭 필요한 기업이 되면 사회는 반드시 그 기업에 보답한다. 논어의 정신이나 피터 드러커의 명제는 사회를 선한 순환의 고리로 파악하는 점에서 동일하다. 나는 이런 정신이 좋다.

경영서적에 대한 천착

병목이론을 소개한 ‘The Goal’도 유익했다. 열 명이 등산하면 목적지에 도달하는 속도는 열 명의 평균속도가 아니라 가장 느린 사람의 속도와 일치한다는 예화를 통해, 업무처리에서도 병목을 찾아 그 해결에 집중해야만 결과가 개선됨을 잘 설득하는 책이다. 병목 해결의 방법론은 ‘6시그마 기업혁명’에서 해답을 찾았다. 병목을 해결하되 인해전술이나 돈을 쏟아붓는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자원을 절약하며 더 좋은 결과를 낸다는 ‘이상주의’라 역시 마음에 들었다.

게임이론을 소개한 ‘전략적 사고’도 흥미로운 책이었다. 게임이론에 의하면 인류역사는 곧 게임의 역사요, 인간은 게임하는 존재다. 게임은 항상 독립자존하는 상대방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상대의 의중을 읽고 상대의 수를 예상하여 수를 써야만 게임에 이길 수 있다. 나는 이 책에 나오는 게임이론의 사례 하나를 마케팅에 직접 활용해보기도 했다.

내가 활용한 대목은 ‘합법적으로 카르텔 만드는 법’이다. 예들 들면 어느 공급자가 ‘최저가격보상제’를 내걸었다고 하자. 나보다 더 싸게 파는 자가 나오면 그 차액만큼, 혹은 그 두 배를 보상해주겠다는 정책이다. 이보다 더 강력한 가격경쟁전략은 없어 보인다. 그러나 결과는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100만원으로 형성된 PC시장에서 A라는 공급자가 어느날 90만원으로 공급가를 낮췄다. B는 이에 대응하려 최저가격 2배 보상제를 내걸었다. 고객 입장에서는 B에게 가서 PC를 사고 200% 보상상품권을 받는 편이 훨씬 이익이므로, 가격을 내린 A가 아니라 오히려 B에게로 간다. 이러면 가격인하로 시장점유율 확대를 노린 A의 시도는 실패하고 고객은 B에게로 몰린다. 그러나 B도 앉아서 PC 한 대당 20만원씩 더 손해보므로 결국 자기도 가격을 90만원으로 낮추게 된다. 이렇게 되면 A·B 공히 수익성만 악화될 뿐이다. 때문에 B가 최저가격 2배 보상을 내걸고 있으면 A는 가격인하를 시도하지 못한다. 따라서 최저가격 2배 보상제는 소비자에게 싸다는 인식을 주고 카르텔 금지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강력한 가격카르텔을 형성하는 방법이 된다. 출혈적 가격경쟁에 대한 이상적인 해법으로 보인다.

목적의식보다 樂을 위한 책읽기를

나는 이 이론이 정말 현실에서 구현될지 궁금해서 얼마동안 최저가격 2배 보상제를 실시한 적이 있다. 결과는? 이론과 현실은 달랐다.

사업을 하면서 정신없을 때 ‘나는 달린다’를 읽었다. 현직 독일 외무부장관이 엄격한 자기성찰 끝에 자기개조를 위해 달리기에 나서고, 1년 만에 몸무게 37kg을 빼면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는 이야기다. 이 책을 읽기 전 나는 7년간 하루 30분씩 달렸다. 30분씩 달린 이유는 30분만 달려도 숨이 차고 땀이 났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업 시작 후 3년간은 하루도 달려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은 다음날부터 하루 한 시간씩 뛰기 시작해 열달 만에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했다. 저자가 몸으로 보여주기를, 100kg이 넘는 거구도 마음만 다잡으면 하루 한 시간씩 뛸 수 있고, 1년이면 마라톤도 뛸 수 있다고 했기 때문이다. 사십이 돼서도 나는 여전히 책이 시키는 대로 살고 있는 셈이다.

돌이켜 보건대, 20대 이후 나의 책읽기는 철저히 실용적 목적에 집중됐다. 언젠가 지도교수님은 이런 나에게 ‘재미로 책을 읽어보라’고 충고해주신 적이 있다. 책읽기를 ‘낙(樂)’으로 삼는 것은 참 좋은 일이다. 나는 괜시리 마음이 바빠서 한가한 책읽기를 즐기지 못했다. 심지어 20대 이후론 소설책 하나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다. 마음의 병이다. 이런 생각이 들어서 최근 ‘궁궐의 우리 나무’란 책을 읽었다. 길을 갈 때는 항상 목적지를 향해 뚜벅뚜벅 걸어야 하지만 길가의 나무와 꽃들에도 눈길을 주면서 이름도 불러주고 아는 척해주면 걸음도 가벼워질 것 같아서다.

신동아 2003년 2월호

2/2
글: 조유식 인터넷서점 알라딘 대표 sindbad@aladdin.co.kr
목록 닫기

책이 시키는 대로 사는 어떤 인생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