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작부터 책을 말하는 책은 꾸준히 출간돼왔지만, 최근에는 위와 같이 다양한 목소리와 제 나름의 분위기로 책을 말하는 책들이 전례 없이 쏟아지고 있다. 우선 회사원이자 철학박사 강유원의 ‘책’(야간비행)이 있다. 저자가 굳이 자신을 ‘회사원이자 철학박사’라고 한 것에는 이유가 있다. ‘공부하길 좋아하지만 공부로 돈을 벌자고 하면 자존심이 다칠세라 줄곧 공부와 돈벌이를 따로 해왔다’는 것이다. 자기소개에서부터 시대와 불화하는 지식인의 강기(剛氣)가 느껴진다.
할말은 다 하는 서평
아니나다를까. ‘책 사서 읽고 서평 쓰기’라는 서문에서부터 이유 있는 딴죽이 시작된다. 책과 관련한 강유원의 원칙은, 자신이 셈을 치르고 구입한 책이 아니면 그 책에 관해 왈가왈부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 강유원의 ‘책’에는 바로 위와 같은 범상치 않은 원칙에서 나온 범상치 않은 서평들이 실려 있다. 무엇보다도 책에 관해 ‘할 말은 하는’ 서평이다. 박노해의 ‘오늘은 다르게-박노해의 희망 찾기’(해냄)에 대한 서평의 일부를 보자.
“셋째는 저자가 추구하는 ‘가치로서의 사회주의’이다. ‘노동가치의 중시, 평등과 공동선에 대한 지향, 돈보다 사람을 우선시하고 사회적 약자를 옹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에는 굳이 사회주의라는 말을 붙이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인간주의적 윤리덕목이라 해도 충분하다. 사회주의가 아니라도 그걸 주장하는 교설은 많이 있다는 말이다. 저자가 말하는 사회주의는 탈정치화된 사회주의일 뿐이다. ‘박노해라 불리던 전직 혁명가 박기평’이 앞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은 무엇일까? 달리기 정도가 아닐까?”
위의 인용에서도 볼 수 있지만 저자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에 대해 무척이나 솔직하다. 표현 수위의 가감을 재지 않고 가장 효과적인 표현에 충실할 뿐이다. 때문에 서평의 대상이 되는 책을 읽고 뭔가 찜찜한 구석이 있던 독자라면, 강유원의 서평에서 찜찜함의 정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장정일의 독서일기2’(미학사)에 대한 서평 중 다음 부분에서 그런 기분을 느꼈다.
“두 번째 독서일기 75쪽에 ‘젊은 소설가들에게서……읽고 싶어하는 나는’이라는 구절이 있다. 이 구절에서 말하는 젊은 소설가들이란 아마도 20대 소설가들일 게다. 그럼 스스로는 ‘늙은’ 소설가라는 말인데, 이게 영 맘에 들지 않았다. 장정일은 1962년생으로 나와 동갑내기인데, 난 아직 철이 안 든 탓에 아직도 스스로를 젊다고 생각하는데, 게다가 동년배나 40대보다는 20대에게서 배울 게 많다고 생각하는데 그는 이제 늙은이 행세를 할 모양이다. 늙은이 행세를 하는 구절이 여기저기서 눈에 띈다. 이건 그가 맛이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조라 할 수 있다.”
책과 혼연일체가 되는 체험
강유원의 ‘책’에서 고추냉이의 알싸한 맛을 느낄 수 있다면 최근 출간된 장석주의 ‘강철로 된 책’(바움)에서는 일종의 공감의 책읽기, 그러니까 저자의 생활과 생각과 느낌 깊숙한 곳으로 서평의 대상이 되는 책을 밀착시키는 글을 만날 수 있다. 첫머리에서 언급한 에세이풍의 서평에 해당하는 셈이다. 예컨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재즈 에세이’(열림원)에 대해 장석주는 이렇게 말한다.
“새벽에 깨어나 창문을 여니 차가운 공기가 이마에 와 닿는다. 황사바람과 태풍에도 끄떡하지 않고 버티며 잘 훈련된 병사들처럼 군락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서 있는 밤나무들은 녹색의 무성한 잎을 매달았는데, 어쩐지 오랫동안 고수해온 신앙을 갑자기 잃어버린 냉담자와 같이 느슨하고 방심한 표정이다. 그 아래 광활한 호수의 물은 새벽의 청신한 공기 아래에 서 깊은 명상에라도 빠진 듯 고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