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산어보를 찾아서(전5권)/ 이태원 지음/ 청어람미디어/ 각 400여쪽/ 각 2만3000원
이렇게 ‘송정사의’를 통해 이태원씨를 알게 됐다. 이 대단한 발견을 한 사람이 어떤 이일까 궁금해 직접 만나본 것이다. 나는 그때 그가 서른을 갓 넘긴 고등학교 생물교사라는 사실에 놀랐다. 그리고 그 뒤 다시 한번 놀랄 일이 생겼다. 지난해 말 출간된 ‘현산어보를 찾아서’를 보고 아마추어답지 않은 필력과 상세한 고증, 흥미로운 서술, 풍부하고 섬세한 도판에 벌어진 입을 다물 수가 없었던 것이다. 무려 3권 1200쪽에 달하는 양으로도 모자라 이번에 다시 2권을 보태 5권을 완성했다. ‘현산어보’ 번역본이 겨우 문고판 1권 분량임을 생각하면 ‘현산어보를 찾아서’가 얼마나 대단한 노력의 결실인지 알 수 있다.
이 책은 한마디로 흥미와 지식을 동시에 만족시킨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새로 제작한 도판의 수준도 높아서 만든 이들의 정성이 느껴진다. 이 책은 1차본이 간행된 후 언론의 호평을 받았고 일반 독자들도 꽤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기억한다. 나 역시 주위 사람들에게 읽어보기를 권했다. 결코 가볍지 않은 내용과 부담스러운 분량에도 독자들의 반응이 좋은 이유는 책이 발산하는 매력이 작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흑산도 물고기 이야기에 반한 이유
이 책은 ‘현산어보’의 저자와 그 속에 나오는 물고기를 추적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보고한 글이다. ‘현산어보’는 정약전이 흑산도의 물고기를 조사해 기록한 어류학 서적으로 한문으로 쓰였다. 기왕에 ‘자산어보’라는 이름으로 두 차례 번역되기도 했다. 하지만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지 못했다. 이유야 당연하다. 물고기의 생태를 꼼꼼히 기록한 학술적인 글에 눈길을 줄 독자가 많지 않았던 것이다.
내 서가에도 1977년에 나온 ‘현산어보’ 번역본이 꽂혀 있지만 모르는 물고기 이름이 너무 많았다는 것만 떠오른다. 전문가가 아니라면 정약전의 설명은 단순히 물고기에 관한 기호에 불과하다. 그 점에서 이태원씨의 저술은 ‘현산어보’에 대한 나의 생각을 완전히 바꾸어놓았다. 흑산도를 직접 찾아가 정약전이 문자로 옮겨놓은 물고기와 현장에 있는 물고기를 대조하는 작업을 통해 자연과학서 ‘현산어보’를 새로운 인문서로 변신시켰다. 솔직히 ‘현산어보’의 저자 정약전이나 주석을 단 이청은 그들이 견문한 사실을 최대한 정확하게 전달했을 뿐인데, 200년이란 시차를 두고 이태원의 손에서 흥미진진하고 신비로운 이야기로 재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 책은 탐문과정에서 만난 다양한 이들의 목소리를 전라도 사투리 그대로 옮겨놓았고, 우연히 만난 어린아이들의 말과 표정까지도 놓치지 않았다. 현지에서 생활하는 어부들의 입을 통해 ‘현산어보’의 물고기 기호가 재현되고, 어부의 아련한 기억을 일깨운다. 아울러 저자의 추론을 통해 뒤엉킨 서술의 문제점들이 해명된다.
말미잘의 어원은 말의 항문
생소한 기호를 해독해나가는 과정도 흥미롭다. 그 가운데 백미는 말미잘의 기원. 저자는 ‘말의 항문’이란 뜻에서 말미잘이 나왔다는 것을 차근차근 추적해간다. ‘현산어보’에서 말미잘에 해당하는 어류는 ‘석항호(石肛?) 속명 홍말주알(紅末周軋)’이다. 정약전의 설명은 이렇다. “모양은 오랫동안 이질을 앓은 사람이 탈항한 것 같고 빛깔은 검푸르다. 조수가 미치는 곳의 돌 틈에서 산다. 모양은 둥글고 길쭉하게 생겼다. 그러나 붙어 있는 돌에 따라서 그 모양이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