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유통점 판매고 세계기록 수립의 선봉장

삼성테스코 이승한 사장

유통점 판매고 세계기록 수립의 선봉장

1/4
  • 삼성이 영국의 다국적 할인점 테스코와 손잡고 유통업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지방에서 먼저 개장한 유통점 ‘홈플러스’가 단위면적당 세계 최고 매출 기록을 세우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이승한 사장은 “할인점보다 낮은 가격, 백화점보다 높은 품질을 지향한 결과”라고 자평한다.
삼성테스코는 그리 잘 알려진 회사가 아니다. 기업에 대해 좀 아는 사람이라고 해도 “무슨 화학회사냐?”고 되묻는다. 이름만 삼성이지 삼성그룹과 관련이 있는 회사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드물다. “그러면 홈플러스는 아십니까?” 하고 물어봐도 돌아오는 대답은 별로 신통치 않다. 이러니 이 회사의 CEO에 대해선들 관심이 있을 리 없다.

하지만 최근 미국 하버드대가 삼성테스코의 유통점인 ‘홈플러스’를 성공 비즈니스 모델로 선정했다는 얘기를 들으면 사정이 달라진다. 게다가 홈플러스가 2005년이면 국내 55개 점포와 종업원 2만 명을 확보한 매출 10조 원의 초대형 유통점으로 성장할 전망인데다, 현재 한국을 비롯 전세계 유통시장에서 혁명을 몰고 오는 기업이라면 눈이 번쩍 뜨인다. ‘아니, 그런 회사가 있었나?’ 하고.

삼성테스코는 99년 5월 영국 최고의 다국적 할인점인 테스코(TESCO)와 삼성물산이 합작, 자본금 3200억 원으로 설립한 유통회사. 홈플러스(Home plus)라는 브랜드로 ‘할인점보다 낮은 가격, 백화점보다 높은 품질’이란 캐치프레이즈 아래 새로운 개념의 유통업태인 ‘가치점’을 지향하고 있다.

현재 대구점을 비롯, 서부산점 안산점 북수원점 영통점 김해점 창원점 등 7개점을 운영중이며, 올 연말까지 서울 영등포(12월 예정)를 비롯 6개점을 더 만들 예정이다.

97년 최초로 개점한 대구점은 유통점 단위면적당 세계 최고 매출액(도이치방크 보고서)을 기록하고 있으며, 7개점 하루 평균 매출액은 5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105%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총액은 6300억 원으로 5.9%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해, 업계 4위로 올라섰다. 종업원 수는 3470명.



삼성테스코는 외국 투자은행 분석가들로부터 가장 유망한 기업으로 평가되기도 했고, 그간 ‘고객만족경영대상’, ‘산업협력대상’, ‘한국유통대상’ 등 8개의 권위 있는 상을 받았다. 그럼에도 이 회사가 지금껏 그처럼 ‘조용’했던 이유는 뭘까.

바둑과 오목의 차이

“저는 바둑을 두지, 오목은 두지 않습니다.”

이승한(李承漢·55) 사장은 홈플러스를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부터 개장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일단 리스크가 적은 지방도시를 거점으로 성공한 후 이를 기반으로 ‘중원’에 진출하겠다는 것. 서울 시내 한복판에 ‘안테나 숍’을 세운 후 지방으로 세를 확장해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유통시장에서는 보기 드문 전략이다. 이는 삼성테스코가 추구하는 경영이념인 ‘글로컬 스탠더드(Glocal standard)’와 이사장의 경영철학인 ‘착안대국 착수소국(着眼大局 着手小局)’의 절묘한 조화에서 비롯된다.

‘글로컬’은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의 합성어.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다국적 합작기업이므로 글로벌을 추구하지만, 유통점이라는 특성상 그 나라, 그 지역의 특징을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이는 미국 최대 할인점인 월마트가 한국에서 고전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월마트는 창고형 할인점의 효시로 생활필수품보다는 공산품을 주로 취급하며, 미국적인 쾌적한 쇼핑을 즐기도록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 하지만 한국의 실정에서 월마트는 다소 이질적인 느낌으로 다가왔다. 한국 사람들은 북적거리는 쇼핑을 좋아하며, 쇼핑의 주품목은 생활필수품이기 때문이다.

홈플러스는 생산지와 직거래를 통해 신선식품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고, 지역주민의 문화생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마련해 지역 커뮤니티화함으로써 글로컬 스탠더드를 시도했다. 또한 직원 채용시 지역인력을 우선 채용하고, 협력업체도 지역 위주로 이용토록 해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전략을 펴고 있다. 특히 ‘e파란’이란 환경캐릭터를 창조해 꾸준히 환경친화 운동을 벌인 것도 지역주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착안대국 착수소국’은 계획할 때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하되 실행할 때는 세밀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겠다는 뜻. 이런 경영철학에 따라 새로운 유통업태인 가치점을 창출했으며, 이는 결국 홈플러스의 성공요인이 됐다.

“가치점이란 단순히 물건을 싸게 파는 할인점과는 격이 다릅니다. 소비자에게 품질과 가격 면에서 모두 메리트를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통입니다.”

이승한 사장은 가치점이란 용어는 단순히 홍보를 위해 만들어낸 말이 아니라 ‘유통은 과학’이라는 신념에서 창안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좋은 품질을 싸게 제공한다는 일차원적 상술에서 탈피, 소비자가 구매하는 과정에서 편리하고 좋은 서비스를 받고, 쾌적한 쇼핑환경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이다. 삼성테스코는 홈플러스를 개점하기 전에 지역주민들에게 의견을 물은 결과 그들이 ‘원 스톱 라이프 서비스(One stop life service)’를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됐으며, 이를 매장에 최대한 반영했다고 한다.

즉 상품구매뿐 아니라 민원업무 은행 세탁 사진 약국 미용실 클리닉 카드서비스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쇼핑센터 안에서 해결하게 했다. 또한 교육 문화 오락 등을 위한 문화센터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문화활동을 위해 다른 장소를 오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앴다. 할인점과 백화점의 장점을 고루 취해 새로운 생활공간을 제공한 것이다.

1/4
장인석 < CEO 전문리포터 >
목록 닫기

유통점 판매고 세계기록 수립의 선봉장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