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질랜드 크라이스트 처치 도심에 있는 고급주택. 시가는 24억원 정도다.
그러나 ‘외환위기 때를 제외하곤 한 번도 실패를 안겨주지 않은’ 한국의 부동산 시장처럼 검증된 곳이 아니라 그런지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는 한때 비약적인 상승세를 보인 뒤부터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 2005년 900만달러에 그친 개인의 해외 부동산 취득금액은 2006년에 5억1400만달러로 57배나 증가했다. 하지만 월별 취득금액은 몇 개월 새 6000만달러 언저리에 머물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올해 1월 중 개인들의 해외 부동산 취득금액을 6400만달러, 2월은 5900만달러로 추산했다. 지난해 10, 11, 12월 역시 각각 6000만, 7200만, 5600만달러로 올 상반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반기부터는 좀더 액수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 최근 국내 건설사나 시행사가 국내 건설사업에 산적한 규제를 피해 직접적인 사업 목적으로 해외 부동산(주로 토지)을 계약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사이 실수요자들은 소극적이지만 안전한 투자라 할 수 있는 해외 부동산 펀드에 자금을 넣어두기도 한다. 해외 부동산 펀드는 비과세 방침이 정해지며 2월 한 달 동안만 2조원가량이 몰리며 중국 펀드와 같은 인기 펀드들보다 훨씬 높은 수탁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해외 부동산 구입의 목적이나 지역 선정에는 아직도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다. 지역으로 보면 미국과 캐나다가 약 60%를 차지하며, 호주 뉴질랜드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30%, 기타 지역이 10%를 차지한다. 두 자리수 수익률을 노리고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몽골 같은 개발 초기단계 국가들로 진출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투자자 몰리는 뉴질랜드
해외 부동산을 취급하는 국내 에이전트들에 따르면 일반적인 실수요층은 유학이나 노후주택에 투자하는 게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평소에는 임대하다가 휴가 때는 장기 체류를 할 수 있는 ‘세컨드 하우스’ 용도의 주택을 찾는 사례도 늘어났다. 미화 300만달러 이상의 ‘명품주택’에 대한 실거래도 늘고 있는 추세다. 적극적 투자층은 세금이 거의 없는 지역이나 신흥 개발지역 주변으로 임차수요가 많은 곳을 선호한다.
얼마 전 한 뉴스가 뉴질랜드 언론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뉴질랜드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에서 한 주부가 5년 전 현지 화폐 20만달러(한화 약 1억3000만원)를 투자해 지금까지 20만달러짜리 주택 120채를 샀고, 최근 들어 보유한 집마다 투자액의 몇 배에 이르는 이익을 실현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20만달러짜리 집을 사면서 시가산정(valuation) 작업을 새로 해 25만~30만달러짜리 집으로 둔갑시킨 다음 집값의 90%까지 융자를 받았다. 이 때문에 집 한 채를 사면서 필요한 돈은 1만달러 미만이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