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후배들이여, 소심하게 벤처하라”

이포넷(E4NET)

“후배들이여, 소심하게 벤처하라”

2/2
이 사건으로 이포넷은 휘청했다. 매출 70%를 차지하던 MS 관련 사업을 못하게 됐고, MS 협력사와의 거래도 끊겼다. 직원 20%가 회사를 떠났고, 이 대표는 스트레스로 근육마비까지 겪었다. 그는 “꼭 영화 속 장면처럼, 사업 망하고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엄마 혼자 어린 자식 5명을 키워야 하는 상황 같았다”며 “내 자식 같은 직원들을 위해 회사를 살려야 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파트너를 찾았다. 사건을 해명했고 신규 거래를 부탁했다. 그는 “MS와 거래하며 콧대 높던 이포넷은 잊었다. 단가도 낮추고 저자세로 나갔다”고 말했다. 또한 같은 시기 신규 인터넷 업무 협력사를 찾던 BC카드가 이포넷에 사업을 맡기면서 수익은 금방 회복됐다. 그는 “MS는 우리와 업무를 끊은 지 2년 후 정책을 바꿔 지역 파트너가 아닌 글로벌 업체에 일괄적으로 일을 맡겼다”며 “오히려 우리 업체는 MS 계약 해지 2년 전에 저자세로 파트너를 만들면서 시장에 적응했다. 지나고 보니 님다 바이러스 사건은 오히려 회사에 도움이 됐다”며 웃었다.

정부도 소프트웨어 제값 주고 안 산다

“후배들이여, 소심하게 벤처하라”

10월5일 2011 대한민국 벤처·창업대전에서 이포넷은 소프트웨어 업체로는 유일하게 산업 훈장을 받았다.

왜 한국에는 구글, 오라클 같은 일류 소프트웨어업체가 없을까? 이 대표는 한국 소프트웨어 시장의 침체 원인을 두 가지로 분석했다. 첫째, 열악한 업무 환경이다. 그는 “소프트웨어업계 초봉은 사무직 중 최하위다. 인턴사원들도 업무 강도가 너무 세다며 회사에 안 남으려고 한다. 게다가 IT는 끊임없이 새로운 게 나오기 때문에 스트레스도 크다”고 말했다. 업무 환경이 열악한 근본적인 이유는 아무리 우수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도 제값을 받고 팔지 못하는 데 있다.

“IT거버넌스가 법제화됐으면 각 기관이 우수 벤처에서 IT거버넌스 프로그램을 구매하면 되잖아요. 그런데 당시 행정안전부가 무료 IT거버넌스 프로그램을 만들어 각 기관에 배포했어요. 예산 절감 효과는 있겠지만 소프트웨어 벤처는 죽으라는 거죠.



당시 정부에 우리 제품을 팔러 가면 ‘공짜 있는데 왜 사느냐’고 하거나, ‘성능이 우수한 건 알지만 어차피 공짜도 있으니 20% 가격에 판매하라’고 얘기했어요. 결국 애써 만든 소프트웨어를 제값 못 받고 팔았죠. 그러다보면 회사도 직원 2명 쓸 걸 1명만 쓰게 되고, 월급도 제대로 못 주고요. 소프트웨어 시장에 악순환이 생기는 거예요.”

‘벤처’라는 말도 익숙지 않을 때 회사를 창업한 그는 최근 ‘제2의 벤처붐’을 보며 벤처 후배에게 당부하고픈 점이 많다. 그는 “부채는 최소화하고, 현금은 충분히 보유하고, 투자나 융자받은 돈은 ‘내 돈’이 아니라 ‘남의 돈’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또 “IT회사는 영업력이 아닌 기술력으로 승부를 내야 한다. IT업계는 끊임없이 공부하지 않으면 금방 도태된다”고 덧붙였다.

“후배들이여, 소심하게 벤처하라”
“열정도 패기도 좋지만 벤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소신(所信)’ 그리고 ‘소심(小心)경영’입니다. 1999년 첫 번째 벤처붐이 불 때 인터넷 고스톱 사이트, 인터넷 토정비결 사이트 같은 단순한 아이디어를 가진 IT업체도 제안서만 잘 쓰면 몇 십억씩 투자를 받았어요. 우리 회사도 두 번이나 투자 제의를 받았으나 다 거절했죠. 당시 50억, 100억씩 투자받아서 화려하게 인테리어하고 기사 딸린 차 타던 사람들 지금 이 바닥을 다 떠났어요. 오히려 당시 경험 때문에 투자자들이 벤처를 불신해서 지금은 정작 필요한 벤처가들도 투자를 못 받고 있죠. 벤처는 기회지만 동시에 위기라는 걸 꼭 명심해야 합니다.”

신동아 2011년 11월호

2/2
김유림 기자│rim@donga.com
목록 닫기

“후배들이여, 소심하게 벤처하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