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07년 10월, 미국 순방길에 나선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테마파크 유니버설스튜디오 할리우드(Universal Studio Hollywood)를 찾아 슈렉4D 상영관, 워터월드 쇼 등을 체험했다. 그는 피터 왕 유니버설파크앤리조트(UPR) 부사장을 만나 “경기도에 유니버설스튜디오를 유치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한 달 뒤, 서울 삼성동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는 유니버설스튜디오 코리아리조트 양해각서(MOU) 서명식이 성대하게 열렸다. 유니버설스튜디오 한국 독점사업권을 가진 USK프로퍼티홀딩스(주)와 포스코건설, 신한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투자증권 등이 사업자 컨소시엄을 구성했고 경기도와 수자원공사가 파트너로 나섰다. 김 지사 등은 “2012년 완전 개장을 목표로 경기 화성시 송산그린시티 내 약 470만㎡(약 140만 평)에 테마파크, 쇼핑타운, 워터파크, 호텔 등을 조성하겠다”고 청사진을 밝혔다. 총 사업비는 3조 원 규모로 컨소시엄 구성원들의 출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통해 조달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2 그로부터 6년이 지난 2013년 7월, 김 지사는 ‘유니버설스튜디오 유치가 무산되기 일보 직전’이라는 내용의 칼럼을 중앙 일간지에 기고했다. 칼럼에는 미국 밖에서는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유니버설스튜디오를 개장한 싱가포르에 대한 부러움이 뚝뚝 묻어났다.
경기도는 화성 시화호 매립지에 5조 원 이상이 들어가는 글로벌 테마파크이자, 고용 효과가 총 15만 명에 이르는 유니버설스튜디오를 유치하려 했으나 무산되기 일보 직전이다. 반면 우리와 같이 유치를 시작했던 싱가포르는 이미 2년 전에 완공, 관광객을 연간 350만 명 끌어 모으고 있다. 수자원공사가 국유지인 시화호 매립지 땅값을 조금이라도 더 받으려고 지루한 줄다리기를 하는 동안, 싱가포르는 센토사 섬 내 대지를 60년간 무상 제공했다. 상하이는 디즈니랜드에 100년간 땅을 무상 임대해주고 현금 1조 원을 지원했다. 결국 유니버설스튜디오는 화성이 아닌 베이징으로 목적지를 바꾸려 하고 있다. (…)
-7월 26일자 조선일보 기고 ‘일자리 만들게 제발 방해는 말아주십시오’
세계 2위 글로벌 테마파크
경기도는 김 지사의 칼럼에 대해 “우려하는 마음에서 쓴 것이지, 프로젝트가 좌초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다만 토지가격이나 정부 지원이 미약하다보니 지금 어려운 상황인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고, 지방공약가계부 167개 공약사업 중 하나인 이 프로젝트와 관련해 지난 6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유니버설스튜디오는 월트디즈니사의 디즈니랜드에 이은 세계 2위의 테마파크다. 미국의 거대 미디어 기업 NBC Universal이 보유한 여러 사업부문 중 하나가 유니버설스튜디오 테마파크로, 이 부문 매출은 케이블 네트워크, TV방송, 영화 부문의 뒤를 이어 네 번째로 규모가 크다. 2012년 NBC Universal 총 매출액 240억 달러 중 약 9%에 해당하는 21억 달러(약 2조3000억 원)가 테마파크 사업부문에서 나왔다. NBC Univeral은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와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유니버설스튜디오를 직접 운영하며, 해외사업은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2001년 일본, 2011년 싱가포르에 진출했다. 브랜드 및 지적재산권 사용권한과 운영 노하우를 제공하고 라이선스 수수료를 받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국내 컨소시엄은 2008년 12월 (주)유니버설스튜디오코리아리조트개발(이하 USKR)을 설립했다. 그리고 이듬해 이 프로젝트에 롯데그룹이 뛰어든다. 롯데그룹은 에버랜드에 이어 국내 2위 테마파크인 롯데월드를 운영하는 (주)호텔롯데와 그룹 내 쇼핑몰, 리조트 등의 개발·운영을 맡고 있는 (주)롯데자산개발을 통해 USKR에 지분을 출자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USKR의 자본금은 388억 원이고 지분 구조는 △호텔롯데 45.1% △롯데자산개발 19.7% △포스코건설 11.2% △쌍용건설 5.6% △USK프로퍼티홀딩스 5.2% △한국투자증권 3.9% 등이다. 1대 주주는 호텔롯데이지만 롯데자산개발이 주무를 맡고 있다. MOU 서명 당시 참여했던 산업은행과 신한은행은 현재 빠져 있다.
토지價 갈등, 임대로 못 풀까
이 프로젝트가 그간 난항을 겪어온 것은 프로젝트를 띄운 이후 빠르게 진행된 글로벌 금융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여느 부동산개발사업과 마찬가지로 이 프로젝트 역시 PF와 부동산 분양으로 자금을 확보하려 했지만, 시장 여건상 둘 다 어렵게 됐다.
경기 침체 여파로 현재 국내 콘도 및 골프장 분양시장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콘도의 경우 2008년 11월 관광진흥법 개정으로 객실당 2명 이상의 회원을 모집해야 분양 허가가 나던 것이 5명 이상으로 강화됐다. 부부가 각자 회원권을 구입해 객실 1개를 사실상 개별 소유하던 것도 금지됐다. 이처럼 콘도 분양 규제가 강화된 것은 당시 콘도로 허가받아 아파트로 분양하는 편법 행위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시장 침체와 규제 강화로 USKR 측은 지난 3월에 분양을 아예 포기하는 쪽으로 사업계획을 변경했다. 30만 평(약 99만㎡) 규모의 골프장은 퍼블릭골프장으로 짓고, 콘도 대신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오토캠핑장과 청소년 수련시설, 그리고 영화촬영소를 넣기로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현재 시장 여건에서는 콘도를 분양해봤자 건축비도 못 뽑는다”며 “분양할 아이템이 제로가 되면서 5조 원의 사업비 마련이 더욱 요원해졌다”고 전했다.
유니버설스튜디오는 수자원공사가 시화호를 매립하면서 생긴 송산그린시티 내에 들어설 예정이다. 송산그린시티는 총 55.9㎢(약 1690만 평) 규모의 자원순환형 생태도시로 개발될 예정인데, 수자원공사는 그 일부에 글로벌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한 관광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으로 USKR 측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