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대구사회연구소는 ‘노무현 정권’ 비밀 싱크탱크?

대구사회연구소는 ‘노무현 정권’ 비밀 싱크탱크?

1/5
  • 지난해 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대구에 있는 한 연구소가 주목받고 있다. 대구사회연구소가 그 주인공.
  • 이 연구소 소속 연구위원 3명이 인수위원으로 전격 발탁되자 세간에는 대구사회연구소가 ‘노무현 정권’의 숨겨진 싱크탱크라는 설이 나돌고 있다. 아직 일반에 생소한 대구사회연구소의 실체는 무엇인가. 그 17년의 ‘역사’를 더듬어보았다.
대구사회연구소는 ‘노무현 정권’ 비밀 싱크탱크?

이종오 국민 참여센터 본부장,권기홍 사회·문화·여성분과 위원장,이정우 경제1분과위 간사(맨위부터 시계방향)

노무현 당선자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가 인선을 마무리한 뒤 대구사회연구소(약칭 대사연)는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대구사회연구소, 盧의 싱크탱크로’ ‘노무현 싱크탱크로 부상한 대구사회연구소’ 같은 제목의 기사들이 쏟아졌다.

주지하듯, 이는 인수위 사회·문화·여성분과 위원장 권기홍 교수(53·영남대 경제금융학부), 경제1분과위 간사 이정우 교수(52·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국민참여센터 본부장 이종오 교수(계명대 사회학과) 등 3명의 위원이 공히 대사연에 적(籍)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됐다. 실제 이들은 대사연의 6개 연구부 중 하나인 경제연구부 소속 연구위원들이다.

게다가 출신지역을 보면 권교수가 대구, 이정우 교수도 대구다. 이종오 교수는 서울 출생이지만, 20년 가까이 계명대(대구)에 봉직해 넓게 해석하면 반쯤은 ‘대구인’이다. 때문에 일부 언론은 이들에다 경북 출신인 경제2분과위 간사 김대환 교수(53·인하대 경제학부)까지 포함해 인수위의 ‘신(新)TK 4인방’이라 지칭하기도 했다.

어쨌든 이번 대통령선거에서 노당선자에 대한 지지도가 전국에서 가장 낮았던 대구지역에 기반을 둔 연구소가 무려 3명의 인수위원을 한꺼번에 배출한 것은 뜻밖의 ‘사건’임에 틀림없다.

과연 대구사회연구소는 ‘대구사회’를 연구하는 단체인가? 아니면 대구에 소재한 ‘사회연구소’인가? 대사연은 그 자체로 의문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대구 시민조차 잘 모르는 ‘대사연’

1월7일 대사연 사무실을 찾았다. 대사연은 대구시 북구 산격3동 산격종합시장 인근에 자리한 대구은행 복현동지점 건물 4층에 세들어 있다. 건물 1층 입구에 붙은, ‘사단법인 대구사회연구소’라고 쓴 나무 현판만 아니라면 초행(初行)의 방문자가 대사연을 찾기란 쉽잖아 보였다.

대구 시민들조차 대사연을 잘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세상 돌아가는 움직임에 민감하다는 택시운전사에게 물어봐도 대사연 명칭을 들어본 적이 없긴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대구지역 학계에선 “대사연 멤버십이 있어야 대구의 진보적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는 말이 통용될 정도로 이름이 높다.

40여 평. 사무실 규모는 예상외로 크지 않다. 사무실은 크게 두 쪽으로 나뉘어 한 켠은 상근 직원들의 사무공간으로, 다른 한 켠은 자료실 겸 회의실로 쓰이고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실내구조다. 대사연엔 현재 사무국 직원 2명과 프로젝트 상근 연구위원 2명이 활동비만 받으며 일하고 있다.

“대사연은 결코 ‘노무현 사단’의 산실이 아닙니다.”

기자를 만난 대사연 이창용 사무국장(37)은 대뜸 손사래부터 쳤다. 그는 “대사연은 정치성이 전혀 없는 연구단체일 뿐, 노당선자의 싱크탱크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대사연은 오로지 지방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대안을 연구·제시하는 일을 주목적으로 하는 순수 연구단체라는 것. 때문에 이번 인수위원 참여와 관련해서도, 그저 “일부 회원들에게 생긴 뜻밖의 경사일 뿐”이라며 무덤덤한 반응을 보인다.

더욱이 대사연은 지난 1월초 한 중앙일간지가 대사연을 ‘민주당의 섬’이라고 표현한 기사를 인터넷에 띄우자 이에 강력히 항의, 해당 표현을 삭제하게끔 했다.

그렇다면 ‘한 지붕 세 (인수)위원’의 주역이 된 대사연의 저력은 어디서 비롯한 것일까. 그 해답을 찾으려면 대사연의 태동 배경부터 알 필요가 있다.

1/5
글: 김진수 jockey@donga.com
목록 닫기

대구사회연구소는 ‘노무현 정권’ 비밀 싱크탱크?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