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나는 수사 실무 책임자일 뿐이다. 검찰 조직이 하는 일을 개인이 하는 걸로 보지 말아달라. 개인적으로 주목받는 게 상당히 부담스럽다”고 입을 열었다.
“그동안 서민의 편에 서서 수사를 해왔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저질연탄 사건을 비롯해 학원비리 사건, 시내버스 비리 사건, 바다모래 불법채취 사건 등에 대한 수사가 다 그런 것이었습니다.”
빨리 몇 마디 하고 끝낼 요량인 듯 그는 전혀 다른 성격의 얘기를 끄집어냈다.
“과거에 두 차례 (검사장) 승진에서 탈락했지만 불만은 없었습니다. 외부에 그런 표시를 한 적도 없고. 지금은 이 자리에 있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공정하게 수사하고 있다, 우리는 나오는 대로 다 한다, 이걸 꼭 써 주십시오.”
무슨 선언문을 듣는 듯한 기분이다. 이제 질문을 던질 차례다.
-주변에서 이 질문을 꼭 던지라고 하더군요. 도대체 안대희는 무슨 배짱으로 그토록 마구 일을 벌이냐고요.
“사심이 없기 때문에. 욕심이 없기 때문이에요. 이 자리 끝난 다음엔 뭘 하겠다든지 하는. (서울지검) 특수부장 할 때도 그랬습니다. 그리고 제발 ‘서민’이라고 쓰지 마세요. 난 잘 살아요. 부자입니다. 53평짜리 아파트에 살아요.”
일부 언론의 오보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들렸다. 그의 말마따나 그가 살고 있는 서울 홍은동의 S아파트는 53평형이다. 하지만 서울의 다른 지역을 생각하면 평수에 비해 값이 많이 싼 편이다.
-시세는 낮잖아요?
“시세는 2억8000 정도 하지.”
-강남에 산 적은 없습니까.
“아주 오래 전에.”
그가 틈을 봐 또 한 마디 했다.
“덧붙여 얘기하면 총장님이 검찰을 바로세우려는 바른 마음을 갖고 바른 길로 이끌어주니 그게 큰 힘이 되고 있죠. 보호막이 돼 주니 검사들도 종전과 달리 굉장히 원칙적으로 수사하고 있습니다. 그 중간에 내가 있습니다. 내가 잘나서가 아니라 조직 분위기가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하는 겁니다.”
-정권 초기엔 대통령과 검찰간에 갈등이 심하지 않았습니까. 대통령이 검찰을 공격하고, 검사들도 반발하고.
“지금도 갈등 양상 아닙니까. 정치적으로 이상하게 해석해서 그렇지. 대통령 측근들 수사를 계속하는데 갈등이 없을 수가 없죠. 그런데 측근수사를 하는 것에 대해 대통령이 좋다 나쁘다 입장을 표명할 수도 없지 않습니까. 우리는 우리대로 일하는 거고.”
-검찰이 진정 정치적으로 독립했다고 볼 수 있습니까.
“그럼. 그건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