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유찬 대표는 인터뷰 도중 이명박 전 시장 측에 공격과 접근을 반복한 자신의 행보를 그림을 그려가며 ‘변증법적’으로 설명했다.
“그렇게 성급하게 발표하면 나중에 감당이 안 될 텐데…. 나는 중도보수 성향이다. 한나라당을 적극 지지하지도 않지만 적극 반대하지도 않는다. 후보검증기구가 20일 만에 발표한 것은 졸속이다. 중차대한 검증이 제 식구 감싸기로 흐른 것이다. 검증기구는 이 전 시장에게 유리한 말을 할 사람들만 증인으로 채택했다. 예를 들어 최영 서울시 국장은 이 전 시장의 오른팔 아닌가. 권영옥씨는 이 전 시장의 친척이자 선거 참모이면서 검증기구 이사철 대변인의 고교 동문이고.
한나라당 검증기구에 자료를 제공하고 협조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 아니 후회라기보다는…. 향후 한나라당은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될 것이다.”
▼ 한나라당은 ‘객관적 근거 제시 없이 이 전 시장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혹을 제기한 것은 명예훼손 문제와 관련이 된다’고 했다.
“내가 ‘이명박 리포트’를 발간하면 형사고발할 수도 있다고 엄포도 놓더라. 그러나 우리나라는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가 보장되는 나라다. ‘주장’(이 단어를 큰 소리로 강조)은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것 아니냐. 한나라당이 나를 압박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김유찬씨는 1996년 9월10일 국민회의 당사에서 자신이 보좌하던 이명박 당시 신한국당 의원의 선거법 위반을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그러나 기자회견 며칠 뒤 김씨는 폭로 내용을 전면 부인하는 편지를 이 전 시장 측에 써줬다. 이어 이 전 시장 측이 제공한 1만8000달러를 받고 해외로 도피했다.
다음달 귀국한 김씨는 검찰에서 이 전 시장에게 불리한 증언을 했다. 이 전 시장 선거참모 2명이 구속됐고 이 전 시장은 불구속 기소됐다. 하지만 그 후 법정에 선 김씨는 이 전 시장 편에 섰다고 한다. 그러나 김씨의 폭로로 촉발된 이 사건으로 이 전 시장은 의원직 상실에 해당하는 벌금형을 확정받았다. 그런데 10여 년이 지난 지금 김씨는 “당시 법정에서 이 전 시장 편에 선 것은 위증교사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폭로하면서 다시 ‘이명박 죽이기’에 나선 것이다.
▼ 이 전 시장에 대한 공격과 접근을 반복해왔는데, 왜 그처럼 자꾸 왔다갔다하는가. 또한 집요하게 특정인 한 사람을 공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손으로 갈 지(之) 자를 그어 보이면서) 나도 그 점이 안타깝다. 국민회의와 손을 잡았으면 끝까지 국민회의와 함께 갔어야 했다. 그런데 회군(回軍)을 하고 말았으니…. 그 때문에 나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생겼다. 세상을 살면서 특정인과 척을 지는 것도 좋은 일이 아니다. 그러나 내가 이렇게 된 것은 이 전 시장의 박덕(薄德)이 1차 원인이다. 그를 모시면서 정이 다 떨어졌다. 이 전 시장을 공격했다가 그를 다시 돕게 된 것은 이 전 시장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 측근들과의 인간적 관계를 차마 떨쳐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어 김씨는 메모지에 그림을 그려가면서 자신의 ‘갈 지(之) 자 행동’을 변증법의 정(正)과 반(反) 논리로 설명했다. 이 전 시장에 대해 폭로한 행위들은 진실을 추구한 정(正)이었으며, 이 전 시장을 도와준 행위들은 사(私)적인 관계로 인해 진실에 역행한 반(反)이었다는 것. 김씨는 “2007년의 폭로는 반(反)에서 ‘최후의 정(正)’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