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설의 핵심이 무엇이었나요.
“김대중 지지자 중 중도보수 성향 사람들에게 ‘여러분의 초이스가 문재인이어선 안 된다’고만 했어요. 박 후보의 전국 유세 때도 항상 후보 도착 20분 전엔 내가 연설했어요. 이때도 같은 메시지였습니다. 수도권에서 150만 표 차 열세가 15만 표 차 열세로 좁혀졌어요. 야권이 우세하던 제주도는 뒤집혔고요. 공교로운 게 대선 때 박근혜를 도운 나와 한광옥, 한화갑, 김중태, 김지하가 모두 1960년대 서울대 문리대 출신입니다. 우리끼리 대선 때 한번 만난 적도 없는데…시대적 상황이 이런 우연을 만든 것 같아요.”
▼ 돌이켜보면 야당 후보 측의 선거 전략에도 문제가 있었죠.
“박지원 의원이 ‘도저히 질 수 없는 선거를 졌다’고 말했죠. 그러나 박 의원 책임도 큽니다. 물러나라고 했을 때 이해찬, 박지원은 같이 물러났어야죠. 삐죽삐죽 앉아 있었잖아요. 그러니 사람들이 얄미워하죠. 15만 표는 날아갔어요. 문재인 후보가 의원직 안 버린 건 50만 표 감표 요인이고요. 안철수 씨가 진심으로 문재인 후보 밀었다면 문 후보가 됐을 텐데 이마저 안 됐죠.”
김 전 의원의 지난 대선 이야기엔 사람의 이목을 끄는 자기만의 논리와 그럴듯함이 있어 보였다. 그러나 ‘이러다 박근혜 정부 6개월 평가는 언제 하나’라는 걱정도 들었다. 지난 대선에서 최근 이슈로 화제를 돌려봤다.
▼ 현재 야권은 ‘대선 때 경찰이 국정원 댓글 허위 수사 발표만 안 했다면 문재인 후보가 됐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국정원 댓글 73개 가지고는 선거 결과에 영향 안 줬고요. 경찰 수사 발표의 경우 영향이 있었다고 인정합니다. 그러나 100만 표 차이를 뒤집을 정도는 아니고 상당히 제한적으로 영향을 줬겠죠.”
‘넘사벽’ 북핵 문제는…
▼ 지난 6개월을 지켜보니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을 잘 운영하는 것 같나요.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 그렇게 보는 근거는.
“현재까지 대북정책이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고 할 정도로 좋습니다. 결정적인 대목은 당당하게 재발방지 약속 받아내고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한 점이죠. 우리 측이 적정선에서 양보한 점도 좋았습니다. 금강산 관광, 상시 이산가족 상봉 같은 후속적인 남북교류가 기대돼요. 미·중 순방으로 대미관계, 대중관계도 잘 만들었습니다. DMZ평화공원 등 중장기적 비전도 내놓고 있고요. 국민이 안심할 만하고 미래를 기대할 만합니다. ‘박근혜가 위대한 통일의 길로 들어가는 것 같다’는 느낌까지 듭니다.”
▼ 북측이 핵실험이나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재개하거나 김정일 위원장 시절처럼 NLL 문제를 들고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NLL(북방한계선)이 워낙 북쪽으로 올라가 있으니…. 그렇다고 우리가 백령도를 양보할 순 없고 인천 앞바다에서 낚시질하라고 하는 것도 말이 안 되고. 지금은 우리 정치권에서 NLL 문제에 강경한 분위기지만 앞으로 북측과 패키지로 합의할 때 토론해볼 여지가 아예 없는 건 아닐 겁니다.”
▼ 노무현 전 대통령도 2007년 남북정상회담 때 그런 스탠스 아니었을까요.
“노 전 대통령은 정상회담 하고 싶어 너무 서둘다보니 실수한 거고요. 우리의 정통성을 확실히 하는 바탕 위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 ‘박근혜 정부의 안보라인이 너무 우파 보수 성향이다’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중국의 ‘죽의 장막’을 연 쪽은 미국 민주당이 아니라 공화당입니다. 소련을 개혁·개방으로 이끌고 냉전을 종식시킨 쪽도 미국 공화당의 레이건 대통령이고요. 적과 적은 통합니다. 서로 깨끗하게 거래하니까. 박 대통령은 지금 ‘레이건의 길’을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 그러나 박근혜 정부도 언젠간 ‘넘사벽(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인 북핵 문제에 가로막힐 것이라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은데요.
“그 질문이 남북 문제의 핵심입니다. 내가 방송에서 ‘김정은 위원장, 우리는 당신이 결코 핵무기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소. 핵으로 위협하지 마시오. 같이 삽시다’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김 위원장이 이 말을 들었으면 좋겠어요.”
▼ 핵과 체제보장을 딜(deal)한다는?
“북핵 문제를 전투적 방법으로 처리하려면 우리 측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요. 감당이 안 돼요. 내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를 잘 아는데, 이 정부는 북한 체제를 인정할 겁니다. 북한 급변사태? 이 정부는 그런 거 원하지 않아요. 김일성 일가에겐 나름대로 민족주의적 각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외세 개입 없이 남북이 좋게 푸는 게 상책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북한 당국의 의식부터 바꿔줘야 하는데 박 대통령이 이걸 잘하고 있어요. 북한 당국은 자기들 선전을 진짜 사실로 믿어요. 남측이 조공 바친다고 봐요. 이런 의식을 바꿔줘야 하는데 야당이 집권했다면 절대로 못 해요, 겁이 나서.”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