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기의 철녀들 ⑭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왕 선덕여왕

남자 후보 제치고 일찌감치 낙점, 여성의 당당한 승리!

  • 허문명│동아일보 국제부 차장 angelhuh@donga.com│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왕 선덕여왕

1/4
  • 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선덕여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 역사상 최초의 여왕이며 동양사적으로도 의미가 큰 선덕여왕이 새삼 관심을 끄는 것은 오늘날 여성의 높아진 위상과도 관련이 있다. 수세기 전, 남성 중심의 신분제 사회였던 신라에서 최초의 여왕이 탄생한 배경과 그녀에 대한 평가를 되짚어봤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왕 선덕여왕

인기 드라마 ‘선덕여왕’의 등장인물. 왼쪽에서 세 번째가 선덕여왕으로 분한 탤런트 이요원.

드라마 ‘선덕여왕’이 인기다. 드라마에는 선덕이 언니 천명공주와 쌍둥이였고 태어나자마자 궁녀가 데리고 도망쳐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나오는데, 이는 기록에 없는 허구라고 한다. 드라마의 허구와 사실은 늘 논란거리다. 극적인 구성을 위한 궁여지책일 수 있지만 역사를 잘 모르는 일반 시청자는 드라마를 사실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대사는 문헌도 별로 남아 있지 않아 더 그렇다. 선덕여왕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신라 연구자들이 펴낸 책들을 중심으로 선덕여왕의 실체를 재구성해보았다

선덕여왕(善德女王·재위 632~647년)은 우리 역사상 최초의 여왕이다.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女帝)인 측천무후도 선덕여왕보다 반세기 후에야 비로소 등장했다고 한다. 그런 만큼 선덕여왕 즉위는 동양사적으로도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신라는 지금보다 남녀평등이 더 잘 이뤄진 사회였을까? 이에 대해 한국 고문학계 원로이며 평생 신라사를 연구해온 이종욱 교수(서강대 총장)는 역사상 최초의 여왕이 탄생하게 된 데에는 그럴 만한 ‘시스템적 이유’가 있었다고 말한다. 바로 신라만이 갖고 있던 성골· 진골이라는 독특한 신분제도다.

현대사회인 지금도 흔히 조직 내 ‘주류’를 일컬을 때 곧잘 비유적으로 쓰이는 ‘성골’이란 말은 신라만이 가졌던 일종의 계급이다. 520년 법흥왕이 율령을 반포하면서 성골을 만들었다. 이전부터 존재했던 귀족계급 진골보다 상위 신분이다. 이 교수에 따르면 ‘성골은 왕과 그의 형제, 그들의 자녀로 이뤄진 혈족집단’을 가리킨다. 인류학에서 흔히 말하는 종족집단이며 핵가족보다 한 단계 확대된 집단이라고 보면 된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왕의 혈육이라고 해서 무조건 성골이 되는 것은 아니다. 후궁이 아닌 왕비(황후, 왕후 등으로 불렸다)가 낳은 자식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새 왕이 즉위하면 새로운 성골 집단이 만들어지는데 이 경우 이전 왕의 형제와 자녀들은 진골로 신분이 떨어졌다(족강·族降)고 한다. 새롭게 편입된 성골 중에서 재위 중인 왕의 다음 대(代), 곧 그의 아들이나 형제의 아들은 모두 왕위 계승자로 선택될 수 있었다.



법흥왕에 이어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이 재위했을 때도 각각의 왕을 중심으로 한 성골 집단이 있었다. 진흥왕에게는 아들이 둘 있었다. 장남 동륜태자가 개에 물려 죽는 바람에 차남이 왕위에 오르니 바로 진지왕이다. 진지왕 다음 대는 다시 장남 직계로 동륜태자의 장남이 왕위에 오른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왕 선덕여왕

선덕여왕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 ‘삼국사기’

성골 남자가 없다

문제는 진평왕 대에 이르러 발생했다. 왕위를 계승할 아들이 나오지 않은 것이다. 물론 선덕여왕의 작은아버지인 진지왕에게 아들(김춘추 29대 태종무열왕의 아버지 용수)이 있었지만, 그보다 형인 진평왕이 즉위하면서 진평왕의 직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성골 집단이 만들어졌고, 따라서 진지왕 직계들은 진골로 신분이 강등됐다(조범환 ‘우리 역사의 여왕들’). 왕족이지만 아예 왕궁을 떠나 성골 거주 구역이 아닌 곳에 살아 공간적으로도 왕실과 멀어졌다. 더구나 진지왕은 즉위 4년도 안 돼 폐위되고 만다. ‘화랑세기’에 따르면 진지왕은 색을 밝혀 방탕했다. 폐위된 왕이 왕궁에서 살 수 없었으니 아들 용수도 자연히 왕궁과 멀어진 것이다. 급기야 진지왕은 폐위 3년 뒤 죽음에 이른다.

진평왕에게 직계 아들이 없었지만, 선덕여왕에겐 남편(음갈문왕)이 있었다. 실제로 선덕여왕 전후에 사위가 왕위를 잇는 경우가 있었다. 4대왕 석탈해는 처남 유리왕의 유언에 따라 즉위했고, 13대 미추왕은 11대 조분왕의 사위로 처삼촌인 12대 점해왕을 이어 왕위에 올랐다. 선덕여왕 이후 한참 뒤인 48대 경문왕은 47대 헌안왕 사위였고, 53대 신덕왕은 49대 헌강왕 사위였다고도 한다.

조범환 박사는 선덕여왕이 왕위에 올랐을 즈음이면 남편 음갈문왕이 이미 죽어버린 뒤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여왕의 경우 생몰연대가 없지만 생몰연대가 밝혀진 조카 김춘추를 중심으로 나이를 역산해보건대, 선덕여왕은 50세가 넘은 나이에 즉위했고 이 나이라면 남편이 이미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김춘추가 59세로 사망했다는 점을 들면 당시 남성의 평균 연령이 대략 추정된다). 따라서 진평왕이 사망했을 당시 성골 남자가 없었던 게 분명하다는 것이 학자들의 중론이다. 남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도 남자가 없었던 탓에 선덕여왕이 성골 신분으로 남녀불문 왕위를 잇게 된 것이다.

선덕여왕이 왕위를 이어받은 데는 신라 특유의 여성 배려(?) 제도 덕분도 있다. 다름 아닌 여자도 한 대에 한해서이긴 하나 가계 혈통을 이을 수 있는 ‘부계성원권’이라는 제도가 있었다. 선덕은 여자였지만 부계성원권에 의해 성골 신분이었던 것이다.

한편 진평왕에게는 선덕뿐만 아니라 천명이라는 딸도 있었다. 이종욱 교수는 ‘‘삼국사기’선덕여왕 즉위 조에는 선덕이 진평왕의 장녀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천명을 먼저 결혼시킨 것으로 보아 천명이 장녀였음을 알 수 있다’(‘춘추’)고 전한다. 진평왕은 당초 맏딸 천명의 남편인 용수를 왕위 계승자로 점찍었으나 선덕의 자질이 점차 빛을 발하자 그런 생각을 버리고 천명공주와 더불어 출궁토록 했다고 한다. 천명은 출궁 즉시 성골에서 진골로 족강되어 왕위 계승 자격을 잃었다. 하지만 훗날 그의 아들 춘추가 왕이 되니 억울해 할 일은 아니라고 보아야 하나.

이종욱 교수는 “이처럼 선덕여왕의 즉위는 계급제도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어서 따로 신비화할 필요는 없다”며 “선덕이 여자라는 것을 강조하기보다 그가 왕위에 올랐다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 교수의 얘기는 당시 고구려 백제는 물론이고 중국에서도 여자 왕이 배출된 일이 없기에 선덕여왕 즉위는 ‘비정상적’이었던 게 사실이지만, 당시 제도에 의한 산물이었기에 선덕을 ‘여자 왕’으로 보지 말고 ‘왕으로 보아야 한다’는 강조다.

한편 조범환 박사는 선덕여왕 즉위 당시의 국제 정세도 최초의 여왕을 배출하는 데 한몫했다고 분석한다. 바로 일본의 정치상황이다. 선덕여왕이 왕위에 오르기 39년 전인 593년에 이미 일본에서는 최초의 여성 천황인 스이코(推古) 천황이 등극했다. 당시 신라는 진평왕 15년이었으며 일본과 교류가 활발했다. 진평왕은 사신들에 의해 일본에 여자 천황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을 것이고 이런 배경이 유례없는 여성의 왕위계승을 염두에 두도록 했을 거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1/4
허문명│동아일보 국제부 차장 angelhuh@donga.com│
목록 닫기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왕 선덕여왕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