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허만섭 기자의 아규먼트

한류 드라마의 문화제국주의

  • 허만섭│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

한류 드라마의 문화제국주의

1/2
  • 최근 TV드라마 등 한류(韓流)는 약간의 부침은 있지만 아시아에서 인기를 확산시켜가고 있다. ‘선덕여왕’ 같은 프로그램이 한국에서 인기를 끌면 시차를 두고 아시아에서도 뜬다. 그런데 우리는 미국의 문화제국주의는 비난하지만 한류의 문화제국주의 속성에 대해선 말하지 않는다.
한류 드라마의 문화제국주의
미국 할리우드 영화는 세계 영화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미국 드라마는 전세계적으로 뿌려지는 TV프로그램 물량 중 부동의 1위다.

미국 드라마는 미국의 이익과 이데올로기를 일방적으로 다른 나라에 주입해 미국의 하부체계에 편입하려는 ‘문화제국주의’ 수단이다. 문화제국주의(cultural imperialism)란 정치 경제적 중심 국가가 문화까지 하위 국가에 강요하는 현상이다.

세계화는 ‘초국적 자본’과 ‘초국적 문화’라는 두 바퀴에 의해 굴러간다. 세계 도처의 전통문화는 미국에서 밀려오는 경박한 상품들과 매스미디어 생산물들에 의해 소멸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 교류는 문화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미국 드라마는 제3세계 국민들에게 값싸고 훌륭한 오락 수단이기도 하다. 한국의 청장년층은 ‘600만불의 사나이’ ‘맥가이버’ ‘초원의 집’과 같은 미국 드라마를 보면서 성장기를 보냈다. 1974년 배리스(Varis)의 조사에 따르면 당시 미국 TV프로그램은 전세계 수출 프로그램의 40%를 점유했다. 지금의 한국 시청자는 ‘CSI’ ‘그레이 아나토미’ ‘프리즌브레이크’ ‘24’와 같은 미국 드라마를 공중파TV나 케이블TV에서 즐긴다.

이종수씨가 2008년 미국 드라마 ‘프리즌브레이크’를 시청한 한국 시청자들을 조사한 결과 미국 드라마의 즐거움은 ‘감정적 몰입’ ‘지적 긴장감’ ‘호기심의 충족’이었다.



미국 드라마 뒤집어보기

그런데 우리는 미국 드라마에 내재된 오락적 측면뿐 아니라 교양적 측면도 함께 받아들인다. 미국 드라마는 일종의 ‘자본주의 윤리’를 담고 있다. 물질적 풍요, 세속적 성공, 개인의 자유, 기회의 균등, 애정과 로맨스, 사회규범의 준수, 품위와 예절, 전 지구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라는 ‘좋은 가치’가 담겨 있다. 미국 드라마는 ‘근대화’를 ‘학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국은 ‘친미적 제3세계 국가’로서 미국 드라마 수용에 인색하지 않았다. 미국 드라마 ‘전투(Combat)’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꽤 인기가 있었다. 박용규씨가 2005년 연구한 바에 따르면 다행스럽게도 한국은 이런 미국 드라마를 즐기면서 자국 방송의 질적 성장을 이뤘다. ‘문화제국주의의 상징’ 미국 드라마를 뒤집어보면, 역설적으로 미국 드라마는 한국 드라마가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준 벤치마킹 대상이자 기반이었다.

1997년 ‘역사적 사건’이 터졌다. MBC TV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를 조심스럽게 아시아로 수출해봤다. 결과는 대박이었다. 중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한류(韓流)’가 태동하는 순간이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2002년 2월1일 “한국은 아시아 미디어산업의 중심”이라고 보도했다.

2009년 현재 한류는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세계적 경제위기의 영향을 받은 이후에도 한류 TV프로그램의 아시아 판매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었다. 아시아 각국에서 이제 한류 TV프로그램은 일상적 대중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아시아의 일상 대중문화

2008년 TV프로그램의 해외수출은 1억8016만8000달러로, 2007년도 1억6258만4000달러에 비해 10.82% 늘었다. 이중 드라마 수출액은 1억536만9000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91.1%를 차지했다. 2008년 한류 드라마를 구매한 아시아 국가는 일본, 중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이었다. 그 외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에도 한류 드라마가 팔렸다.

반면 ‘1박2일’ ‘무한도전’ ‘패밀리가 떴다’와 같은 TV오락프로그램은 국내에선 인기이지만 수출실적은 그리 좋지 않다. 왜 강호동, 유재석, 이효리를 안 보는 걸까. 한국과는 ‘재미 코드’ ‘웃음 코드’가 다르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인종이나 문화의 차이에 관계없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장르다. 한류 드라마는 진화를 거듭해왔다. 아시아 시청자들은 10여 년의 장기간에 걸쳐 한류 드라마의 변천을 함께 경험해왔다. 한류 드라마에 대한 친밀도, 충성도가 자연히 높아졌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최근 수출금액이나 현지 시청률에서 좋은 성과를 낸 한류 드라마는 ‘주몽’ ‘태왕사신기’ ‘내 사랑 김삼순’(이상 MBC TV), ‘소문난 칠 공주’ ‘남자 이야기’ ‘꽃보다 남자’(이상 KBS TV), ‘아내의 유혹’, ‘찬란한 유산’(이상 SBS TV) 등이었다. 소재(사극 판타지 멜로), 형식(기획극 일일극)에서 다양한 드라마가 아시아권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한류 드라마가 아시아에서 현재의 높은 위상을 확보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킬러드라마(Killer Drama)’의 등장에 있다. 킬러 드라마란 다른 드라마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는 드라마를 의미한다.

한 편의 킬러드라마는 몇 년에 걸쳐 해외에서 영향을 끼친다. 수십 편의 다른 한류 드라마가 덩달아 잘 팔리게 한다. TV드라마 제작자들이 꼽는 킬러드라마는 KBS TV의 ‘겨울연가’, MBC TV의 ‘대장금’ 두 편이었다.

중동-이슬람권역은 한류 드라마의 블루오션으로 뜨고 있다. 2007년 MBC는 드라마 ‘슬픈 연가’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무상 제공했다. 이슬람권으로의 첫 진출이었다. 시청자의 반응이 괜찮았다. 그러자 두바이는 2008년 MBC TV 드라마 ‘대장금’, KBS TV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도 달라고 했다. 이번에는 유상구매였다. 두바이에서 한류 드라마의 시청률이 높아 드라마에 붙는 광고단가는 다른 시간대보다 20% 높다고 한다. 이라크 아르빌에서 방영된 MBC TV 드라마 ‘슬픈 연가’는 시청률이 60%를 넘었다.

1/2
허만섭│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
목록 닫기

한류 드라마의 문화제국주의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