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슈 취재

도심 가로수·아파트 조경수로 이식…“좋은 나무 가져와 죽이는 꼴”

명품 소나무 수난시대

  • 송화선|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pring@donga.com

도심 가로수·아파트 조경수로 이식…“좋은 나무 가져와 죽이는 꼴”

1/2
  • 강원도 경상북도 등 이름난 소나무 서식지에서 소나무가 사라지고 있다.
  • 수형 좋고 건강한 나무들이 앞 다퉈 서울 등 대도시로 실려 나가는 까닭이다.
  • 도심 가로수와 고급 아파트 조경수로 소나무가 인기를 끌면서 최근 명품 소나무는 부르는 게 값일 만큼 비싸게 팔리고 있다.
  • 지방에서는 불법 굴취로, 서울에서는 고사(枯死)와 병충해로 신음하는 ‘국가목’ 소나무 실태를 취재했다.
도심 가로수·아파트 조경수로 이식…“좋은 나무 가져와  죽이는 꼴”

소나무는 병충해에 약하고 비바람에 쓰러질 위험이 있어 가로수로 적합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4월 경북 영양군 영양읍 한 야산에서 수령 30~50년 된 소나무 50여 그루가 한꺼번에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일원면과 청기면 등 관내 마을에 있던 수령 100년 이상의 명품 소나무들도 잇따라 사라졌다. 경찰은 전문 나무 절도범의 소행으로 보고 수사 중이지만 아직 범인을 잡지 못했다.

최근 전국적으로 소나무 절도범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강원도 춘천에서는 공무원까지 낀 소나무 불법 굴취단이 적발됐다. 강원도 강릉에서도 지난달 정동진리 임야에서 수령 40~50년 된 소나무 130여 그루를 뽑아 반출하려던 일당이 경찰에 잡혔다. 충북 제천에서는 국유림에 들어가 소나무를 훔친 절도범이 구속되기도 했다. 강릉시 관계자는 “지난해 1년 동안 적발한 소나무 불법 굴취 건수가 7건이었는데, 올해는 벌써 5건”이라고 밝혔다. 소나무 굴취가 대부분 밤 시간대 깊숙한 산지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적발되지 않은 사례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국립공원 비법정 탐방로상의 소나무를 주로 노리는 조직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나무 전문 사진작가인 장국현씨는 “요즘 지방 야산에는 소나무 있던 자리에 구덩이만 파여 있는 경우가 많다. 지역의 명목들이 사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소나무 불법 굴취가 이처럼 성행하는 것은 최근 조경용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이 예년에 비해 2배 이상 올랐기 때문. 특히 골프장, 아파트 단지들이 앞 다퉈 소나무를 조경수로 심으면서 소나무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게 영향을 미쳤다.

명품 소나무의 종말

지난해 8월 입주를 시작한 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한 아파트의 경우 수령 100년이 넘는 대적송 1500그루를 비롯해 그루당 수천만원을 호가하는 명품 소나무 2200여 그루를 심었다. 서울 서초구 한 아파트 단지도 1200여 그루에 달하는 고송(古松) 조경으로 유명하다. 한 건설사 조경 담당자는 “요즘은 소나무를 심지 않으면 싸구려 아파트 취급을 받기 때문에 조경 담당자들 사이에서 수형 좋은 고급 소나무 구하기 전쟁이 벌어진다”고 전했다. 농경지나 임야 조성 등의 필요성이 있을 때 가능한 합법적인 소나무 굴취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불법 굴취, 유통이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건설사들이 이처럼 조경에 열을 올리는 것은 브랜드 아파트가 많아지고 내부 마감재와 인테리어, 평면 구조 등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단지 조경이 아파트 수준을 가늠하는 판단 기준이 됐기 때문. 특히 생김새가 수려한 고송은 단지 조경의 품격을 높이는 구실을 한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소나무가 수백만원대에 거래되는 반면 수령이 많고 수형이 아름다워 랜드마크 역할을 할 수 있는 소나무는 수천만원대에서 억대 가격에 거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조경업자는 “2~3년 전만 해도 고급 아파트나 관공서, 골프장, 클럽하우스 주변의 독립수로 쓰이는 근원경(根元徑) 1m 이상의 소나무는 1000만원대, 근원경 60㎝ 정도로 일반 아파트에 심을 만한 나무는 400만~500만원대에 거래됐는데, 요새는 수요가 더 늘어 이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거래된다”고 밝혔다.

문제는 조경수로 이식된 소나무가 오래 살지 못한다는 점. 이경준 서울대 명예교수는 “세계적으로 우리처럼 대경목(大莖木)을 많이 옮겨 심는 나라가 없다”며 “특히 다 자란 소나무를 옮겨 심는 것은 전문가 입장에서 볼 때 무모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큰 나무는 옮길수록 모양이 망가진다. 나무 크기에 맞게 구덩이를 파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뿌리가 많이 잘려나가고, 가지도 죽는다. 소나무는 토양에 민감해 옮겨 심으면 잘 자라지 못한다. 소나무 조경수를 즐기고 싶다면 작은 나무를 심은 뒤 길러야 한다”는 게 이 명예교수의 설명이다.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도 “수령이 100년 이상 된 큰 나무를 옮길 때는 뿌리돌림(수목을 이식하는 경우 활착을 돕기 위해 사전에 뿌리를 잘라 실뿌리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데 대부분 그런 노력 없이 옮겨 심는다. 이런 나무들은 새 땅에 적응하지 못하고 곧 죽게 된다”고 했다.

취재과정에서 만난 한 조경업자는 “준공한 지 1년도 안 된 아파트에서 죽은 소나무 제거 공사를 한 적이 있다”며 “26그루가 죽어 있었고, 다른 나무들도 오래 살기는 어려워보였다”고 전했다.

1/2
송화선|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pring@donga.com
목록 닫기

도심 가로수·아파트 조경수로 이식…“좋은 나무 가져와 죽이는 꼴”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