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새 연재 | 세기의 라이벌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VS 리오넬 메시

천부적인 슛의 달인

  • 장원재 축구평론가|drjang12@gmail.com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VS 리오넬 메시

1/3
  • 그 선수가 얼마나 대단했느냐면 말야, 코너킥을 차고 나서 공이 날아오는 동안에 막 뛰어와 가지고 그걸 자기가 헤딩으로 골도 넣고 그랬다니까. 아 진짜야. 이 사람아, 내가 그 경기를 직접 뛰었는데…. 아 내 눈으로 직접 봤다니까 그러네…. 1954년 월드컵에 참가했던 한 원로 축구인에게서 들은 이야기다. 신생국 한국은 사상 처음 진출한 월드컵 본선 첫 경기에서 세계 최강 헝가리에 0-9로 참패했다. ‘그 선수’란 1950년대 당대 제일의 공격수 푸스카스를 말한다. 헝가리는 당시 자타공인 우승후보 0순위였고, 1954년 월드컵 결승 대 서독전 2-3 패배가 3년 반 만에 당한 첫 번째 패전이었을 만큼 무적의 팀이었다. 14일 전 벌어진 예선에서는 헝가리가 서독을 8-3으로 꺾었었다.
2012년 봄, 당대 최고의 축구선수가 누구냐를 두고 전 세계 축구팬들 사이에서 논쟁이 한창이다. 메시냐, 호날두냐. 어떤 이들은 이 둘이 당대를 넘어서는 역대 최고의 축구선수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과연 그럴까? 이들이 수많은 영웅을 확실히 넘어섰을까? 올드팬들은 푸스카스와 펠레, 베켄바우어와 마라도나를 당대 최고로 기억한다. 간혹 야신이나 보비 찰턴을 말하는 사람도 있다. 연령대를 낮추면 플라티니나 호마리우, 지단의 이름이 튀어나온다. 그렇다면 진정한 황제는 과연 누굴까?

기억은 편집이다. 자신이 객관적 사실이라고 믿는 주관적 선택의 결과물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젊은 시절의 사건 혹은 자신이 직접 겪은 일에 대해 섬세하게 반응한다. 축구팬들도 마찬가지다. 각자 자신이 젊은 시절 보고 듣고 응원했던 선수들에게 후한 점수를 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눈앞에서 보고 있는 당대의 선수가 늘 가산점을 받는다. 평가의 왜곡이 일어난다는 이야기다. 메시와 호날두가 위대한 선수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역대 최고라는 주장에는 선뜻 동의하기 어려운 이유다.

‘역대 최고의 축구선수’를 선정하는 종합적 역사적 판단이 어려운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다. 1960년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영상자료를 구하기 어렵다는 현실적 제약이 사람들을 가로막는다. 그래서 옛 선수들의 플레이는 사실의 영역에서 신화와 전설의 영역으로 진화한다. 심지어는 카메라에 잡히지 않은 특별한 무언가를 자기 눈으로 직접 보았다며 회고담을 펼쳐놓는 팬들도 있다. 하기야 나폴리 시절의 마라도나에게 바치는 응원가 제목이 오 비스토 마라도나(나는 마라도나 봤다)가 아니었던가. 가사 내용도 ‘나는 봤다, 나는 봤다, 마라도나 봤다, 내 눈으로 봤다, 내 두 눈으로 봤다’ 였다.

공 움직임 예측 불가능한 메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VS  리오넬 메시
2012년 4월 현재, 메시는 2011~12 시즌 49경기에 출전해서 58골을 넣었다. 호날두도 메시와 엎치락뒤치락하며 스페인리그 프리메라 리가 득점왕 타이틀을 놓고 경쟁 중이다. 경기당 한 골 이상을 득점하는 경이로운 결정력은 게임 속 가상현실인 위닝일레븐이나 피파 2011에서라면 몰라도 현실 세계에서는 어떤 경우에든 실현 불가능한 꿈같은 일이었다. 단 한 번, 브라질의 호나우두가 극성기 스페인리그에서 거두었던 근접성적을 제외하면. 메시와 호날두의 득점왕 경쟁은 말하자면 타격왕 타이틀을 놓고 그것도 두 선수가 타율 0.450 언저리에서 경쟁을 펼치는 말도 안 되는 일이 지금 우리 눈앞에서 실시간으로 펼쳐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메시의 드리블은 특별하다. 황선홍 포항 감독은 “메시는 달려가면서 스피드를 줄이지 않고 발목을 이용해 공의 방향을 바꾼다. 그래서 수시로 예측이 불가능한 움직임이 나온다. 막으려야 막을 방법이 없는 것”이라고 평했다. 뛰어가는 방향과 상관없이 공중에서 발목을 비틀어 공을 제어하기가 얼마나 어려운 동작인지는 독자 여러분께서 직접 실험해보시기를. 그건 마치 한 손으로는 탁구를 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배드민턴 셔틀콕을 날리는 것과 마찬가지다. 수비수들이 잔뜩 모여 있는 우거진 밀림, 슛은 고사하고 패스하기도 여의치 않은 지점에서 메시가 빠른 슛을 날리고 득점에 성공하는 배경이 여기에 있다. 발목과 부드러운 허벅지 근육. 아주 미세한 틈만 보이면 메시는 자기 혼자만의 힘으로 공간을 창조한다. 백스윙 없이도 공에 엄청난 힘을 실어 보내는 건 아무나 구사할 수 있는 테크닉이 아니다.

그리고 칩 슛. 골키퍼의 머리 위를 넘겨 부드럽게 날아가는 칩 슛은 축구의 역설이다. ‘빠르고 강한 것이 우월한 것이다’라는 일반론을 넘어 ‘느리게 그러나 정확하게’ 들이대는 우아한 비수. 그래서 팬들은 칩 슛이 포물선을 그리며 둥실 떠오를 때마다 숨이 멎는다. 메시가 날리는 칩 슛은 그가 쏘아대는 전체 슛 가운데 일부분에 불과하지만, 어쩌면 메시는 축구 역사상 칩 슛의 구사빈도가 가장 높은 선수일는지 모른다. 그래서 골키퍼가 괴로운 것이다. 좌우뿐 아니라 머리 위도 방어해야 하기 때문이다. 주의력은 분산되고 빈틈은 더 커진다.

하나가 더 있다. 메시의 칩 슛은 품질이 다르다. 일반적인 경우 다른 선수들의 칩 슛 포물선이 그리는 정점은 골키퍼의 뒤쪽 상공이다. 골키퍼의 키를 넘은 뒤 낙하 각도를 그다지 꺾지 않고 골로 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메시의 칩 슛은 정점을 골키퍼의 머리 위 90도 지점에 둔다. 그래서 메시의 칩 슛은 골대 앞에서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폭포수처럼 직각에 가깝게 낙하하던 전성기 시절 최동원의 드롭커브! 그것은 정말로 독특한 재능이다. 그래서 말한다. 극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발목을 이용해 공을 감아올려 손으로 던져 넣는 듯한 구질의 칩 슛을 구사한 사람은 지구상에서 단둘, 메시와 마라도나뿐이라고.

1/3
장원재 축구평론가|drjang12@gmail.com
목록 닫기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VS 리오넬 메시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