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LL(북방한계선) 공방이 사초 실종 논란으로 번지자 문 의원은 ‘NLL 정쟁 중단’을 제안했다. 그러나 ‘사초 실종 국면을 초래한 장본인이 이제 와서 덮자는 게 말이 되느냐’며 문재인 책임론을 제기하는 목소리는 더 커졌다. 조경태 민주당 최고위원은 7월 25일 기자회견을 자청, 문 의원의 ‘무책임함’을 성토했다. 8월 14일 조 의원을 국회에서 만났다. NLL과 사초 증발, 그리고 민주당의 장외투쟁 등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 국가정보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면서 불붙은 NLL 정국이 사초 실종 논란으로 번졌다.
“NLL 논란은 국가 이익에 도움이 안 된다. 여당은 여당대로, 야당은 야당대로 해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국회에서 대화록 원본 공개를 결의한 뒤 사초 실종 논란으로 변질됐다.
“문재인 의원이 (대화록) 원본을 공개하자고 해서 (사초 실종) 빌미를 제공했다. 나는 ‘(대화록) 원본 공개는 안 된다,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얘기해왔다.”
▼ 국회에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 공개를 의결할 때도 반대했나.
“찬성했다. 강제 당론이었다.”
‘문재인 저격수’
▼ 사초 실종 논란을 초래한 문 의원 책임론을 제기했는데.
“문 의원이 ‘정계 은퇴’ 운운하며 대화록 원본 공개를 주장하면서 NLL 정국에 불을 지폈다. 그런데 원본이 실종되니까 바로 덮자고 한다. 무책임한 행위 아닌가. 원본 공개를 주장했던 사람이 실종 사태로 바뀌니까 덮자고 얘기하는 것을 국민이 납득하겠나.”
▼ NLL 논쟁은 주춤해졌지만, 사초 실종 논란은 검찰 수사로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사초 실종도 국정원 댓글 사건과 마찬가지로 또 하나의 국기문란 사건이다. 정확하게 진상을 밝혀 누가 사초를 없앴는지 파악해서 확실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 당내에서 조 의원을 두고 ‘문재인 저격수’라고 한다.
“(5월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이 됐을 때 ‘정파적 이해관계를 떠나 할 말을 하는 최고위원이 되겠다’고 했다. 17대, 18대 국회의원 때도 당이 잘못 가고 있을 때에는 늘 쓴소리를 했다. 정치인들이 당리당략이나 계파적 이해관계에서 발언하고 서로를 감싸니까 정치가 지금 이 모양 이 꼴이다. 부당하고 잘못한 것에 대해 쓴소리를 하고 바른 소리를 한 것이지, 특정인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 당내에서는 ‘아군 등에 칼 꽂는 행위’ ‘민주당 뒤통수 때리기’라는 비판도 있다.
“국민과 우리 당의 뒤통수를 친 사람은 내가 아니라 문 의원이다. NLL 국면을 끌고 가서 사초 증발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만든 장본인이 문 의원 아닌가. 그리고 자기 말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민주당의 이미지를 실추시켰다. 문 의원이 아니라 어느 누가 그런 발언을 했더라도 지도부의 한 사람으로서 분명히 짚고 넘어갔을 것이다. 홍익표 의원이 ‘귀태(鬼胎)’ 발언을 했을 때나 이해찬 의원이 (대선 불복) 막말을 했을 때에도 ‘쪽박 깨는 얘기하지 말라’ ‘막말 플레이 자제하고 자중하라’고 얘기했다.”
▼ 민주당에선 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해 NLL 정국을 촉발시킨 남재준 국정원장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더 크다.
“문 의원이 원본을 공개하자고 해서 사초 증발 논란의 빌미를 제공하기는 했지만, NLL 정국의 근본적인 책임은 남재준 국정원장에게 있다. (대화록 공개로) 정권의 하수인 노릇을 한 남 원장은 해임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 당에서 NLL 발언과 관련해 고발한 서상기, 정문헌 두 새누리당 의원도 책임을 져야 한다.”
패권주의가 낳은 병폐
▼ 내년 지방선거 때 부산시장에 출마하려고 ‘문재인 때리기’를 하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부산에서는 내가 (문 의원보다) 더 많이 알려져 있다(웃음). 부산 3선(選) 아닌가. 부산시장 후보로는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나 노재철 교수처럼 훌륭한 분이 많이 있다. 그런 분들을 도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