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He&She

‘디지털 에이징(인터넷자료 영구삭제방법)’ 개발한 송명빈·이경아 부부

  • 글·허만섭 기자 mshue@donga.com 사진·지호영 기자

‘디지털 에이징(인터넷자료 영구삭제방법)’ 개발한 송명빈·이경아 부부

‘디지털 에이징(인터넷자료 영구삭제방법)’ 개발한 송명빈·이경아 부부
우리는 가끔 잘못된 판단으로 악성 글이나 자신의 민망한 사진을 인터넷에 올리곤 한다. 이 글이나 사진이 포털, 페이스북, 트위터 등 여러 계정으로 이미 퍼진 상태라면 나중에 후회하면서 없애려고 해도 없앨 수 없다.

그런데 앞으로는 지우고 싶은 정보를 완전히 삭제할 수단을 갖게 될지 모르겠다. 국내 대형 통신회사 간부인 송명빈(45) 씨와 초등학교 교사인 이경아(42) 씨 부부는 최근 ‘디지털 에이징 시스템(digital aging system)’을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

송 씨는 “이 시스템은 디지털 자료에 일종의 타이머를 장착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사용자가 글이나 사진을 인터넷에 올릴 때 타이머로 특정 시점을 설정해놓으면 해당 시점이 될 때 글이나 사진이 시한폭탄처럼 소멸한다”는 것이다. 송 씨에 따르면 자기 계정뿐만 아니라 다른 계정으로 퍼진 자료들까지 함께 없어진다는 게 특징이다.

지난해 12월 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창조경제박람회에 디지털 에이징 시스템이 소개됐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특허 출원자인 이경아 씨로부터 작동 원리에 대해 한동안 설명을 듣는 장면이 눈길을 끌었다.

송 씨는 “단순히 인터넷에서 개인 데이터를 없애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버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해줄 수 있어 향후 관련 시장 규모가 1조 원을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는 지난해 8월 부산 국제학술대회에서 ‘디지털 소멸’에 대해 발표했다.



삶이 있으면 죽음도 있는 법이다. ‘잊힐 권리’는 인터넷의 새로운 화두이기도 하다.

신동아 2014년 2월호

글·허만섭 기자 mshue@donga.com 사진·지호영 기자
목록 닫기

‘디지털 에이징(인터넷자료 영구삭제방법)’ 개발한 송명빈·이경아 부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