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촬영 결과 따돌림을 당하면 두뇌의 전방대상피질이 육체적 고통을 느낄 때와 같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왕따를 당하면 무릎을 찧었을 때나 정강이를 채였을 때와 똑같은 고통을 두뇌가 느낀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왕따가 단순히 정신적 고통의 문제가 아닐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UCLA)의 나오미 아이젠버거 박사팀은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10월10일자에 주위 사람들에게서 따돌림이나 거절을 당하면 두뇌에서 육체적 고통을 느낄 때와 똑같은 부위가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아이젠버거 박사팀은 비디오게임을 하는 자원자들의 두뇌 상태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fMRI)로 촬영했다.
비디오게임은 3명이 서로 볼을 패스하는 게임이었다. 실험대상자에게는 다른 2명과 게임을 즐길 때 두뇌 반응을 촬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실제 비디오게임은 실험대상자에게 공을 건네는 횟수를 점차 줄여가다가 결국 완전히 배제시키도록 프로그램 돼 있었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대상자들 중에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공을 건네지 않아 제대로 게임을 하지 못했다”고 흥분하는 사람도 있었다.
게임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두뇌 영상은 육체적 고통을 느낄 때와 같은 형태였다.
육체적인 고통은 대뇌의 전방대상피질에서 느끼는데 게임에서 더 많이 소외될수록, 즉 따돌림당하는 강도가 커질수록 그 부분에서 더 강한 반응이 나타났다.
또 전방대상피질에 이어 전두엽 대뇌피질의 활동도 활발해졌다. 이 부분은 육체적인 고통을 줄이기 위해 감정을 조절하는 곳이다. 두뇌는 소외를 당하면 육체적 고통을 감지하고는 그것을 줄이기 위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아이젠버거 박사는 “연인과의 이별이나 데이트 신청의 거절, 모임에 초대받지 못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인 따돌림이 이같은 육체적 고통을 유발한다”며 “결국 사회에 속하려는 인간의 본능은 우리의 두뇌가 이같은 육체적 고통을 피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했다.
길거리에 내몰린 실직자들도 사회의 따가운 시선이 경제적인 문제보다 더 고통스럽다고들 한다. 사회의 따돌림에 어쩌면 그들의 두뇌가 몸이 아픈 것과 같은 고통을 느끼기 때문은 아닐까. 따뜻한 말 한마디가 약이란 말이 새삼 실감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