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명사의 웰빙

요리연구가 이종임 - 건강 식단

“부부 백년해로, 밥상머리에서 결정됩니다”

  • 글·구미화 기자 mhkoo@donga.com / 사진·지재만 기자 jikija@donga.com

요리연구가 이종임 - 건강 식단

2/3
요리연구가 이종임 - 건강 식단

노화 방지, 각종 성인병과 암 예방법이 따로 있나. 부부가 신선한 제철 과일을 나눠 먹고,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웃는 게 최고의 방법이다. 이종임·박영요 부부는 1년 전부터 매일 아침 토마토주스를 꼭 챙겨 먹는다.

세월에 장사 없다고, 이 원장의 표현대로 ‘몸에 나쁘다는 음식만’ 좋아하는 박 교수의 고집이 누그러진 건 5년 전쯤이다. 이미 담배는 끊은 상태였지만 술과 스트레스에선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병원 진료와 학교 강의로 바쁘게 지내던 박 교수는 부쩍 자주 피로를 느꼈다. 급기야 주위 동료들로부터 “중년 남성에게 피곤은 건강의 시한폭탄”이란 말을 듣고 바짝 긴장했다. 의사가 그것도 몰랐을까 싶지만, 알면서도 자신에게 닥치지 않으면 절실하지 않은 건 의사나 환자나 마찬가지다.

“암 환자나 성인병 환자를 자주 접하는데, 진찰을 받고 돌아서면서 ‘뭘 먹으면 좋을까요? 가려야 할 음식은 없습니까?’ 하고 묻는 환자가 많아요.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야 하는데, 건강한 사람이 잘못된 식습관을 고치기란 쉽지 않죠.”

박 교수 스스로 위기감을 가지니 이 원장이 공략하기가 훨씬 수월해졌다. 외식 횟수를 줄이고, 외식을 하더라도 고깃집 대신 일식집을 찾는다. 밥상에 육류보다 조개류나 생선류가 오르는 날이 많아졌고, 육류를 먹더라도 반드시 양념하지 않고 불에 구워 기름을 쫙 뺀 다음 각종 쌈, 채소와 함께 먹는다. 육식 비중을 줄였지만 단백질 섭취 걱정은 없다. 두부를 부치거나 전날 불려놓은 검은콩을 믹서에 갈아 비지찌개를 끓이는 등 끼니마다 반드시 콩요리를 밥상에 올리기 때문이다.

요리연구가 이종임 - 건강 식단

이대목동병원장을 지낸 박영요 교수는 고전음악 마니아다. 거실에 자리잡은 육중한 탄노이 웨스트민스터 로열 스피커와 1940~50년대에 만들어진 진공관앰프, 그리고 방 한쪽 벽을 가득 메운 LP판과 CD, 공연 실황을 담은 DVD가 박 교수의 오랜 취미를 짐작케 한다.



2/3
글·구미화 기자 mhkoo@donga.com / 사진·지재만 기자 jikija@donga.com
목록 닫기

요리연구가 이종임 - 건강 식단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