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나의 삶 나의 아버지

“백번 참으면 집안에 큰 평화가 있다” : 안병욱

  • 글: 안병욱 숭실대 명예교수

“백번 참으면 집안에 큰 평화가 있다” : 안병욱

1/3
  • 배재학당을 마치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아버지, 초등학교도 졸업하지 못한 4살 연상의 어머니. 두 분 사이에 금실이란 애초부터 존재하기 어려웠다.
  • 어머니는 장남인 나에게 모든 사랑을 쏟아부었다.
  • 일본 유학시절 어머니의 편지를 받을 때마다 나는 눈물을 흘렸다.
“백번 참으면 집안에 큰 평화가 있다” : 안병욱

1956년 부인과 딸 정남양, 아들 동명·동일군 등과 함께 찍은 사진. 안병욱 교수는 전쟁과 월남으로 인해 아버지의 사진을 한 장도 갖고 있지 않다.

인생은 너와 나와의 만남이다. 인간은 만남의 존재다. 인간의 만남 중에서 자식과 부모의 만남처럼 중요한 만남은 없다. 어떤 가정에 태어나 어떤 부모를 만나 어떤 교육과 어떤 영향을 받고 어떻게 자라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인생이 크게 좌우된다. 나는 내 운명의 신(神)에 대하여 깊은 감사를 느낀다. 내 운명의 신은 바로 내게 훌륭한 아버지를 만나도록 해주었기 때문이다.

나는 유복한 가정에 태어나 좋은 부모를 만나 흡족한 사랑과 교육을 받으면서 순탄하고 행복하게 자랐다. 인간은 자기의 부모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없고 부모 역시 자기의 자녀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없다. 부모와 자식의 만남은 운명적인 만남이요, 운명적인 관계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 바로 나는 부모의 소중한 유체(遺體)다. 유체란 무엇인가. 부모가 나에게 물려주신 한량없이 귀중한 생명체다. 나의 몸속에는 내 아버지의 고귀(高貴)한 영(寧)이 숨쉬고 있고 내 어머니의 맑은 혼(魂)이 깃들여 있다. 또 나의 조상의 얼이 흐르고 있다.

17살에 나를 낳은 ‘큰형 같은’ 아버지

부모자식의 관계는 이처럼 하나의 핏줄기로 얽힌 운명적이고 천륜적(天倫的) 관계이므로 끊을래야 끊을 수가 없다. 세상에 피처럼 진하고 피처럼 뜨겁고, 피처럼 강하고, 피처럼 신비한 것은 없다. 운명애(運命愛). 우리는 자기의 운명을 사랑해야 한다. 운명은 인력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평안남도 진남포(鎭南浦)에서 북쪽으로 약 30리쯤 가면 백여 호가 넘는 안씨의 넉넉한 집성촌(集姓村)이 있다. 용강군 삼화면 율상리(龍岡郡 三和面 栗上里)이다. 초가집보다 기와집이 많은 것만 보더라도 부촌(富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의 아버지 안성원(安性源, 1903년생)은 외아들로 태어났다. 위로는 누님만이 두 분 계셨다. 그러나 나는 5남3녀의 맏아들로 태어나 부모의 큰 기대와 큰 희망 속에 성장했다. 나의 아버지는 고독한 외아들의 몸에서 8남매가 태어난 것을 대단히 기뻐하고 흡족하게 생각했다. 8남매를 잘 키워서 번영하고 행복한 가정을 만드는 것이 아버지의 가장 큰 소원이었다.

나의 아버지는 열세 살 때 결혼했다.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4년 연상이었다. 왜 그런 부조리(不條理)한 결혼을 했을까. 그것은 그 시대의 한 풍속이었다. 나의 조부와 외조부는 그리 멀지 않은 마을에 사는 동리의 큰 어른들이었다. 술좌석에서 서로 혼인하는 게 좋겠다는 얘기가 나와 선도 보지 않고 본인들의 의사도 묻지 않은 채 약혼을 결정했다.

나의 부모는 결혼식날 처음으로 서로 대면(對面)했다. 양가의 신의(信義)가 서로 두터운 사이니까 그런 결혼이 가능했을 것이다. 아버지는 체격이 작은 편이고 어머니는 체격이 큰 편이었다. 그러다가 아버지가 17세, 어머니가 21세에 첫아들인 나를 낳았다. 결국 내 아버지와 나는 연령차가 17살밖에 안 되었다. 때문에 사람들은 부자지간이 아닌 형제지간으로 착각하기도 했다.

아버지는 청운의 뜻을 품고 서울 배재(培材)학당에 입학했다. 배재학당을 졸업한 후에는 공부를 더 하고 싶어서 도쿄의 메이지(明治) 대학으로 유학의 길을 떠났다. 사법고시에도 도전하였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아버지는 귀국후 고향인 용강에서 수십 년 동안 용강온천 우편국장(郵便局長)을 지내셨다. 이 자리는 일제 치하였던 당시만 해도 한국 사람들이 오르기는 대단히 어려운 직위였다. 한국인이 우편국장 직위에 오르기 위해서는 상당한 재산과 신용도가 뒷받침되어야만 했다.

1/3
글: 안병욱 숭실대 명예교수
목록 닫기

“백번 참으면 집안에 큰 평화가 있다” : 안병욱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