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전남 담양

원림 정자에 스민 풍류가객의 혼

전남 담양

1/3
  • 정자는 나와 달과 청풍과 강산이 하나 되는 매개체요 접점이다. 내가 곧 달이고 청풍이며 강산이니 도대체 한 점 꾸밈이 있을 리 없다. 사방에 보이는 것은 오직 강산의 형형색색, 마음이야 한껏 여유롭지 않겠는가.
전남  담양

‘그림자도 쉬어 가는 곳’, 식영정의 멀고 가까운 모습

함박눈이 펑펑 내리는 날 소쇄원(瀟灑園)에 가본 적이 있는가. 청죽의 기품에 놀란 백설이 내리다 말고 댓잎 위에 머물다, 제풀에 겨워 은빛 가루로 바스러져 날리며 객의 뺨을 애무한다. 이름마냥 ‘비 그친 뒤의 맑고 서늘함’을 자랑하는 소쇄원이 그런 백설과 청죽의 희롱에 몸이 다는지 계곡 물소리만 가쁘게 토해낸다.

강산을 품에 끼고 부르는 노래

원림(園林)과 정자의 고향. 한잔 술에 겨워 바람과 달과 강을 노래하는 땅. 대나무 소나무 배롱나무에 메타세쿼이아까지, 온갖 나무들이 세상의 번잡을 싱긋 웃으며 둘러쳐 앉히는 곳. 전남 담양의 겨울은 뭘로 감싸지 않더라도 그냥 푸근한 느낌을 준다. 그런 판에 함박눈까지 길손을 맞으니 뺨에 홍조가 도는 건 당연한 일이다.

사실 소쇄원을 찾기 전 식영정(息影亭)에서 우리는 이미 주눅들었다. ‘그림자도 쉬는 정자’라니, 그 멋들어진 이름에 기가 죽고 광주호를 내려보며 무등산을 건너 보는 절경에 넋을 잃었다. 한사코 자기를 쫓아다니는 그림자마저 예선 쉰다니…. 아, 옛 선비들은 몸을 쉰다 함은 명리까지 철저히 쉬는 것임을 어쩌면 이처럼 명쾌하게 밝혀놓았더란 말인가.

조선 명종 15년(1560년), 서하당 김성원은 장인이자 스승인 석천 임억령을 위해 무등산이 건너 보이는 별뫼(성산·星山)마을 산자락에 식영정을 지었다. 그 석천에게 시문을 배우던 제봉 고경명, 송강 정철 등도 여기서 함께 교유하며 이른바 ‘식영정 사선(四仙)’ ‘식영정 가단’을 형성하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절정의 가사문학 보따리를 풀어놓았다.



어떤 지날 손이 성산에 머물면서서하당 식영정 주인아 내 말 듣소인간 세상에 좋은 일이 많다마는어찌 한 강산을 그처럼 낮게 여겨적막 산중에 들고 아니 나시는고

1/3
글: 민병욱 사진: 박수룡
목록 닫기

전남 담양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