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홀태 빗살에서 떨어지는 벼이삭은 돈이 되고 몸이 되고

홀태 빗살에서 떨어지는 벼이삭은 돈이 되고 몸이 되고

1/5
  • 월급날 잠깐 통장에 머물다 신기루처럼 사라지는 돈. 아내에게 ‘수고했다’는 말이라도 듣는 월급쟁이라면 그래도 성공한 삶이다. 현금으로 10억원쯤은 갖고 있어야 돈의 구속에서 해방된다고 하지만, 그게 쉬운 일인가. 많든 적든 내 호주머니에 들어왔다 나가는 돈, 어디에 써야 할까. 돈의 굴레에서 벗어나려고 시작한 산골생활, 그곳에서 깨닫는 돈과 몸의 상생 원리.
홀태 빗살에서 떨어지는 벼이삭은 돈이 되고 몸이 되고

뒷간 쪽창으로 바라본 마을 풍경.

이번달에는 돈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돈 없이 살기 어려운 세상이다. 돈이 많든 적든 돈 때문에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걸 자주 본다. 사람이 돈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돈이 많으면 자유로울까.

나는 서울 살 때 돈이 참 무서웠다. 직장에 다니는 동안 돈을 제대로 벌지도 못했지만 번 돈을 쓰는 데도 자유롭지 못했다. 성격이 소심해서 사업은 꿈도 꾸지 못했고 그렇다고 직장생활을 성실히 할 만큼 몸도 건강한 편이 아니었다. 게다가 비슷한 일을 반복하는 걸 누구보다 싫어해 직장을 자주 옮겼다.

반면에 아내는 돈벌이와 씀씀이에 대해서 지극히 ‘합리적’이었다. 절약하고 사는 삶에 익숙했다고나 할까. 그리고 아내는 육아기간을 빼고는 늘 나보다 돈도 잘 벌었다. 집안 경제는 서서히 아내 중심으로 굴러가기 시작했다. 이래저래 나는 돈에 대해 소외감과 스트레스가 많았다. 점점 돈에 주눅이 들었고 자신이 초라해지기 시작했다.

아내는 돈밖에 모르는 수전노?

아내가 가끔 식구끼리 외식이라도 하자고 하면 나는 주머니 생각을 먼저 했다. 아내 눈치를 보며 거절도 못하고 마지못해 따라나선다. 아내는 먹고 싶은 음식을 줄줄이 꿰면서 근사한 식당을 찾아 발품을 판다. 내 얼굴은 나도 모르게 굳어만 간다. 아내가 원하는 식당에 문을 열고 들어가면 먼저 차림표부터 슬쩍 본다. 값이 얼마나 하는지. 값이 싼 음식에 눈길이 머문다. 식당 주인이 물컵을 들고 주문하러 오기 전에 얼른 결정해둔다. 값이 싸서 먹는 게 아니라 그걸 좋아한다는 확신을 식구들에게 심어주기 위해서다. 친구들과 어울려도 술값 한번 호기 있게 내 본 기억이 없다.



먹는 게 그러하니 다른 일은 더 심했다. 친지 결혼식이나 회갑 잔치도 돈에 짓눌려 축하보다 돈 걱정을 먼저 했다. ‘부조금을 얼마 하지?’ 몸이 아파도 견딜 만하면 병원에 갈 생각을 못했다.

가장 견딜 수 없는 날은 월급 탄 바로 다음날이었다. 월급봉투를 아내에게 갖다주면 “수고했다”는 인사 한마디뿐이다. 그리고 가계부를 열심히 적고는 그 다음날이면 “쓸 돈이 없다” 했다. 아내가 돈밖에 모르는 수전노로 보였다. 어이없어 하는 내 얼굴을 보면서 아내는 한 달 동안 써야 할 공과금과 생활비, 그리고 부어야 할 적금 등 항목을 조목조목 늘어놓는다. 물론 아내는 ‘합리적’인 경제행위자로 최소한의 돈으로 최대 만족을 누리는 소비를 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나는 시골에서 자라서인지 소비나 저축에 익숙하지 않았다. 돈 없이는 하루도 살아가기 어려운 도시 환경. 한두 해도 아니고 20년 가까이 그렇게 살다 보니 돈에 대한 억압과 두려움이 누구보다 많았다.

그러다가 시골로 왔다. 어차피 큰돈을 만질 팔자가 못될 바에는 몸으로 때우며 살고 싶었다. 하지만 시골도 돈에서 자유롭지는 않았다. 도시보다 씀씀이가 한결 적기는 하다. 그렇지만 적은 돈이나마 버는 것이 농촌 경제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나를 돈의 억압에서 풀어준 뒷간

그래도 첫 해 농사를 결산하면서 생각지 못했던 소득이 있었다. 곡간에 차곡차곡 쌓이는 곡식. 그냥 보기만 해도 든든했다. 농산물이 ‘빽’이 될 줄이야! 그 뒤에는 내 몸이 있지 않나. 돈으로 쪼그라들었던 내 자존심이 조금씩 회복되기 시작했다. ‘몸만 건강하다면 먹고 사는 건 가능하겠구나!’ 소비는 하기 나름 아닌가. 돈 씀씀이에 대해서는 늘 아내가 중심이다가 처음으로 내가 주체가 되었다. 꼭 필요하다 싶은 최소한의 씀씀이를 ‘내 손’으로 꼽아보니 공과금과 의료보험 정도였다. 그 정도라면 농사로도 어렵지는 않으리라. 나머지는 씀씀이를 줄이면서 손수 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싶었다.

돈 대신 몸으로 때우는 첫 실험으로 뒷간을 손수 짓기로 했다. 집터를 닦고 나서 살림집을 짓기 전에 뒷간부터 지었다. 나무는 집터 닦을 때 나온 낙엽송으로 하고, 흙은 뒷간 둘레에 널려 있었다. 지붕 재료는 이 지역에서 잘 자라는 갈대와 억새로, 문은 오고가는 길에 버려진 것들을 주워다 놓았다.

그런데 돈 들이지 않고 짓자니 시간이 문제가 됐다. 자연에는 모두 때가 있다. 갈대나 억새를 베자면 가을에 줄기가 마른 다음이어야 했다. 또 용마름(지붕마루에 덮는 ‘ㅅ’자형으로 엮은 이엉)은 볏짚으로 해야 한다. 볏짚을 미리 챙겨두지 않았기에 가을에 갚기로 하고 아랫마을 아저씨한테 빌렸다. 그리고 이엉 엮는 법도 배웠다.

1/5
김광화 농부 flowingsky@naver.com
목록 닫기

홀태 빗살에서 떨어지는 벼이삭은 돈이 되고 몸이 되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