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산정(山精)으로 불리는 신선의 약초 하수오

산정(山精)으로 불리는 신선의 약초 하수오

1/3
산정(山精)으로 불리는 신선의 약초 하수오

하수오의 꽃과 줄기, 백하수오, 적하수오 뿌리(왼쪽부터).

중국 기환무협의 원조로 불리는 ‘촉산기협전’은 기기묘묘한 법술과 신비한 비검술을 쓰는 아미산 도사들의 활약을 그린 동아시아의 판타지소설이다. 1930년대 무명의 서생 이민수가 쓴 이 소설은 일약 당대의 독서계를 풍미해 낙양의 지가를 천정부지로 올렸다고 한다. 도불(道佛)의 전통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꿈을 꾸듯 몰입시키는 환상의 세계가 얼마나 흥미로운지 솔직히 톨킨의 ‘반지의 제왕’같은 서구의 판타지는 내공이 떨어진다 싶을 정도다.

이 소설에는 도가의 내단술을 통해, 또는 선초 영약을 먹게 되는 기연으로 정신과 신체가 변화하는 이야기가 숱하게 나온다. 예를 들면 아미파의 주요 검선 중 하나인 영경이라는 여선(女仙)은 망창산에서 강시와 요괴 같은 흉물들에게 쫓기다가 어린아이(童子) 모양을 한 수백 년 묵은 하수오(何首烏)를 먹게 된 후 몸이 제비처럼 가벼워져 평지에서도 별 힘을 안 들이고 수십 장(丈)을 솟아오를 수 있게 된다.

하수오라는 약물은 영지나 삼왕(蔘王), 주과(朱果) 등과 함께 촉산기협전에 자주 등장하는데 아미의 도인들이 이를 먹고 곧 탈진한 내력이 회복되거나 심지어 반로동환까지 한다. 명나라 때 의가인 이시진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50년 된 하수오 뿌리는 주먹 크기만한데 이름을 산로(山老)라고 한다. 1년쯤 먹으면 수염과 머리칼이 청흑(靑黑)색이 된다. 150년 된 것은 크기가 물 긷는 항아리만한데 산가(山哥)라 한다. 1년쯤 먹으면 안색이 붉고 부드러워져 젊은이처럼 된다. 200년 된 것은 고리짝만큼 큰데 산옹(山翁)이라 부른다. 먹으면 안색이 어린애와 같고 걸음걸이가 달리는 말과 같아진다. 300년 된 것은 크기가 서 말들이 고리짝만하다. 이름을 산정(山精)이라 하는데 순수한 양기(純陽) 자체여서 구복하면 지선(地仙)이 된다”고 적고 있다.

서 말들이 고리짝이면 얼마나 클까. 1말이면 쌀이 8㎏쯤 되니까 힘없는 사람은 들어올리기 어렵다. 이걸 먹으면 지상의 선계에 살면서 불로장생하는 신선인 지선이 된다는 것이다. 이럴 수만 있다면 우리나라 사람들 중 천금을 아끼지 않을 이가 적지 않을 것이다. 보신용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곳이 대한민국 아닌가.

여담이지만 요사이 국내 아마추어 약초꾼들도 고리짝만한 하수오를 캐는 일이 종종 있다. 하지만 이시진이 말하는 명산심곡에서 난 하수오는 아니다. 얘기를 들어보면 밭두렁이나 농가 돌담 주변, 촌락과 인접한 산기슭 등지에서 많이 캔다. 필자도 전북 정읍의 농가 밭두렁에서 어린애 머리통만한 것을 캔 적이 있는데, 아무래도 1960~70년대 촌부들이 수익약재로 밭이나 공터에 심었다가 내버려둔 것들이 아니냐는 게 중론이었다.



뒤에 자세히 이야기하겠지만 이 하수오는 뿌리가 고구마처럼 생기고 색깔이 붉은 적(赤)하수오이며 우리나라 자생종이 아니다. 민가 부근의 것은 대부분 중국 수입종일 공산이 크다. 이것말고 백(白)하수오가 또 있는데 뿌리 생김새가 길쭉하니 다르고 색깔도 흰색이다. 백하수오는 자생종이어서 우리나라 산야 전역에서 자란다. 그래서 우리 산에서 캐는 것은 대개 백하수오다. 이시진의 적하수오를 캐려고 국내에서 명산심곡을 헤매는 것은 좀 가망 없는 일처럼 보인다.

하수오로 약초 이야기를 시작하게 된 것은 까닭이 있다. 요즘 하수오 캐기가 국내 아마추어 심마니들의 ‘로망’처럼 됐기 때문이다. 사실 산삼 같은 약초는 전문적인 심마니들도 캐기 어렵다. 하수오는 그렇지 않다. 초짜도 잘만 하면 대물을 캔다. 오랫동안 전문 약초꾼의 관심밖에 있어선지 산삼보다는 훨씬 흔하다.

아마추어 심마니들의 ‘로망’

등산도 하면서 약초도 캐는 약초산행 동호회가 많이 생겨나면서 아예 ‘하수오 사랑하는 모임(하사모)’같은 전문 카페도 등장했다. 하사모 식구는 1만여 명에 육박해 지난해 다음의 우수카페로 선정될 정도로 성황을 이루고 있다. 자신이 캔 하수오의 채취과정을 일일이 디카에 담아 올리는 이른바 ‘꾼’이 수두룩하다.

얼마 전부터 건강에 관심이 좀 있다 싶은 이면 어디서 저걸 다 캤는지 싶게 다양한 약초를 술에 담가 거실에 진열하곤 한다. 장뇌삼, 진삼, 노루궁둥이버섯, 영지, 상황버섯, 봉황삼(백선), 천문동, 천마, 오가피, 적백하수오 등이 기본품목인데, 아무래도 눈길을 끄는 것이 백하수오다. 약효도 삼(蔘) 못지않은데다 술을 담그면 병에 담긴 기다란 괴경의 귀족적인 품위가 그럴싸하다. 술맛도 여느 고급술보다 좋다. 간에 해로운 게 술인데 하수오술은 간을 더 좋게 한다는 것이 호사가들의 지론이다.

1/3
목록 닫기

산정(山精)으로 불리는 신선의 약초 하수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