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김경재 선배, 노무현에게 크게 배팅 한번 하시죠”

“김경재 선배, 노무현에게 크게 배팅 한번 하시죠”

1/3
  • 김대중 정권이 민심의 외면을 당한 것은 ‘인사 정책의 실패’와 ‘싫은 소리를 듣지 않는 그의 고집’ 때문이었다. 임기 말 DJ 곁에 남은 건 ‘예스맨’ 뿐. 민주화 운동, 원칙과 소신이 강한 지도자라는 점에서 DJ와 노무현 대통령은 비슷한 측면이 많다. 일각에서는 노대통령이 DJ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 걱정하는데….
“김경재 선배, 노무현에게 크게 배팅 한번 하시죠”

“비방 마세요.” 2002년 11월12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민주당 한화갑 대표 초청 의원 오찬 도중, 한대표가 노무현후보를 비방하자 김경재 의원이 반발하며 자리를 뜨고 있다.

지난해 제16대 대통령선거 직후 인터넷엔 ‘민주당 살생부’가 나돌았다. 여기에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대선 승리 기여도에 따라 ‘특1등 공신’부터 ‘역적 중의 역적’까지가 분류돼 있었다.

민주당 선대위 홍보본부장을 맡았던 김경재(金景梓·61) 의원은 ‘특1등 공신’으로 분류됐다. 한나라당과의 대선 홍보전에서 완승을 거둔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그는 지금 민주당 신주류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다.

기자는 2001년 10월25일부터 민주당을 출입하면서 김의원과 같은 동네(여의도)에 산다는 이유로 그를 담당하게 됐다. 정당 출입기자는 대개 주요 당직자나 중진을 전담 취재한다. 이를 흔히 ‘마크맨’이라고 부른다.

민주당 경선 기간에는 지금은 대통령이 된 노무현 후보가 내 담당이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지난 1년여간 김의원의 눈을 통해 노대통령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선 그 얘기를 소개할까 한다. 물론 이것은 16대 대선이란 큰 그림의 한 편린에 불과할 것이다.



노대통령의 ‘386 측근들’ 중에는 “민주당 의원이 민주당 대선 후보를 돕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며 10년 이상 노대통령을 모신 자신들의 경력과 은근히 비교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그 ‘당연한 일’의 뒤편에도 적지 않은 땀방울이 맺혀 있다는 것을 김의원을 취재하며 알게 됐다.

”노무현 후보가 호남 표를 얻을 수 있을까”

김의원을 처음 만난 것은 2001년 10월28일 오후 11시경 그의 여의도 K아파트 자택에서였다. 민주당이 ‘10·25 재·보선’에서 참패한 지 나흘째 되는 날이었다. 당시 청와대와 민주당은 초상집이었다.

그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 대한 한탄과 아쉬움을 2시간 이상 토로했다. 그는 1980년대 DJ의 미국 망명 시절을 같이 보냈고, DJ 관련 저서도 여러권 펴낸 ‘DJ맨’이다. ‘DJ의 독서일기’란 저서 서문에 “나는 ‘후광(後光·DJ의 호) 연구가’이다”고 적혀 있을 정도다.

“DJ는 분명 천재고, 아주 훌륭한 사람이다. 그런데 이렇게 죽을 쑤고 있으니 참….”

미국 망명 시절 DJ는 외로웠다고 한다. 서슬 퍼런 전두환(全斗煥) 정권의 눈이 무서워 찾아오는 사람도 거의 없었다. 그때 DJ는 자신을 위로하는 김의원에게 이렇게 말했다.

“사람은 맨 밑바닥에 있을 때 긍지와 위엄이 있어야 하네. 그들이 날 필요로 하지 않으니 날 만나러 오지 않는 걸세. 요즘 난 ‘내가 어떻게 하면 그들에게 필요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를 생각하고 있네.”

김의원은 그때 DJ가 그토록 위대하게 보일 수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그런 DJ가 이끄는 정부와 민주당이 국민으로부터 싸늘하게 외면당하고 있는 것이었다.

김의원은 그 이유를 ‘인사 정책의 실패’와 ‘싫은 소리를 듣지 않는 DJ의 고집’에서 찾았다. DJ는 자신의 사고와 논리를 비판하거나 부정하는 ‘쓴 소리’를 하는 사람들을 곁에 두기 싫어했고, 그래서 청와대에는 온통 ‘예스 맨’으로만 채워져 있다는 것이다.

“나는 대통령을 오래 모셔 그를 너무 잘 안다. 그 점 때문에 대통령은 나를 곁에 두려 하지 않았다. 내가 대통령에게 ‘그러시면 안 됩니다’라고 조언하면, 대통령은 늘 ‘당신이 날 이해해야지, 그런 소리 하면 되나’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자연스럽게 이야기는 ‘어떻게 이 난국을 극복할 것인가’로 이어졌다. 김의원은 “국정을 쇄신하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그러나 세상에 완전히 늦은 때라는 것은 없는 법이다. 새 정부를 구성하는 마음으로, 그리고 자해하는 심정으로 국정을 쇄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권 재창출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정부’가 비교적 성공한 정부로 마무리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그 방법 중 하나로 “대선후보 경선이 멋진 승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선 후보자들 중 누가 선출돼도 그의 당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시는 ‘이인제(李仁濟) 대세론’이 지배할 때였다.

“노무현 후보에겐 쉽지 않은 승부다. 영남 출신이란 이유만으로 민주당 대선후보의 영남 지지율이 크게 오르지 않는 게 엄연한 정치현실이다. 노후보가 호남에서 DJ의 지지표를 얼마나 흡수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지금 상황이면 이인제 후보는 DJ 지지표의 90% 이상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1/3
글: 부형권 bookum90@donga.com
목록 닫기

“김경재 선배, 노무현에게 크게 배팅 한번 하시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