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김정일-후진타오 정상회담과 北中경협 향방

중국 해군 동해 진출이 북중 경협 종착점

김정일-후진타오 정상회담과 北中경협 향방

1/5
  • ● 박철수 대풍그룹 총재, “한국 자본에 관심 없다”<신동아 인터뷰>
  • ● 백두산에선 중국 최대 관광 투자 사업 진행 중
  • ● 나진항을 동북3성 상하이 잇는 중국 內港으로 확보하는 게 목표
  • ● 북중경협 확대는 한국에 득일까, 실일까
#chapter 1 도시

북한과 중국이 신(新)밀월 시대를 맞았다. 중국은 후견인을 자처했다. 북한은 지원을 요청했다. 북한과 중국의 도시는 분주했다.

베이징

김정일-후진타오(胡錦濤) 상봉과 회담은 5월5, 6일 베이징(北京)에서 이뤄졌다.

“천안함 침몰이 김정일에게 도움을 줬다. 지원만 부탁하는 건 자존심 상한다. 미제와 남조선이 공화국을 윽박지른다는 식으로 국제문제를 거론하면서 지원을 요구하는 게 모양이 좋다.”



1992년부터 북한을 들여다본 수출입은행 배종렬 선임연구위원(국제경영학 박사) 분석이다.

조선노동당 총비서와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덕담을 주고받았다.

“양국의 우의는 공산당과 노동당, 양국 인민의 귀중한 재산이다.”(후진타오)

“양국의 선대 지도자들이 이뤄놓은 우의는 시대의 비바람으로 시련을 거쳤지만 시간이 흐른다고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다.”(김정일)



다롄

김정일은 방중 첫날밤을 다롄(大連)의 푸리화(富麗華)호텔에서 묵었다. 다롄은 랴오닝(遼寧)성 랴오둥(遼東)반도 남단 항구도시. 김정일은 다롄항을 시찰했고, 수산물가공회사를 견학했다. 다롄경제기술개발구도 둘러봤다.

함경북도 나선특별시 항만 개발의 모범으로 삼으려는 행보라는 관측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다롄을 추천했으리라고 본다. 시곗바늘을 1년 전으로 돌려보자.

2009년 7월1일 중국 국무원은 랴오닝연해경제대발전규획(遼寧沿海經濟帶發展規劃·랴오닝연해경제벨트)을 국가전략으로 비준한다. 이 전략의 골자는 1핵 1축 양익모델. 1핵이 다롄, 다롄-잉커우(營口)-판진(盤錦)이 1축. 점·선·면 발전전략에서 ‘면’은 발해익(발해연안) 황해익(황해연안)이다. 발해익은 판진~후루다오(葫蘆島), 황해익은 다롄~단둥(丹東)을 잇는다.

랴오닝연해경제대발전규획의 목표는 셋이다. ①북방연해지역 발전 ②동북3성과 환발해 지역 융합 ③국가 간 경제협력(북중경협). 김정일이 이 전략의 중심도시에 선 것이다.

신의주

다롄~단둥을 잇는 황해익은 신의주에서 북한을 만난다.

중국은 2005년 동북개발 계획을 수립했다. “10년간 투입 총액이 한화 기준으로 200조원에 달한다. 동북3성-북한 연계개발 의지가 숨어 있다”고 한 외교소식통은 전한다. 요미우리신문은 “북한과 중국이 압록강 하류 위화도를 자유무역지구로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신의주는 북중경협의 출입구, 동북3성은 북한경제의 배후지. 중국은 북중경협을 통해 유통과 기술, 생산과 교류를 일체화하고자 한다. “북한 경제를 중국 경제에 예속시키겠다는 뜻”이라고 조봉현 기업은행경제연구소 연구위원(경제학박사)은 말했다.

시곗바늘을 석 달 전으로 되돌려보자.

북한과 중국은 2월25일 단둥-신의주를 잇는 압록강대교 신설을 약속했다. ‘조선 정부와 중국 정부 사이의 압록강 국경다리 공동건설과 관리에 관한 협정’이 체결된 것. 신의주에선 옛 건물을 헐고, 새 건물을 짓는 공사가 한창이다.

황해익은 신의주를 출입구로 한반도를 지향한다.

1/5
송홍근│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carrot@donga.com│
목록 닫기

김정일-후진타오 정상회담과 北中경협 향방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