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북한 잠수함 위협의 실체

군 지휘구조 개편보다 시급한 건 정보능력과 대잠능력 강화

북한 잠수함 위협의 실체

1/3
  • 현대전에서 잠수함 위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천안함 사건에서 드러났듯 잠수함의 은밀한 공격에는 어떠한 군함도 당해낼 수 없다.
  • 이는 한미연합 잠수함 훈련에서도 입증됐다. 지금과 같은 안일한 대응태세로는 북 잠수함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가능성이 높다.
1996년 9월 동해에 북한 상어급 잠수함 1척이 침투했으나 암초에 걸려 좌초돼 나포됐다. 1998년 6월엔 정치망에 걸린 유고급 잠수정 1척을 우리 해군이 나포했다. 그리고 지난해 3월23일에는 백령도 근해 경비 중이던 천안함을 북한의 연어급 잠수정이 기습 공격해 46명이 전사했다. 상어급 침투 시 유일하게 생포된 이광수씨는 북한 잠수함이 우리 남해까지 수없이 왔다가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돌아온 잠수함 승조원들을 표창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진술했다. 다만 세 번의 침투는 노출되어 확인된 것뿐이지 얼마나 많이 침투하는지 알 길이 없다. 더욱이 우리나라 해역은 해류의 흐름과 해저의 복잡성으로 잠수함 천국이라고 불려왔다.

최근 북한군이 남포와 비파곶 잠수함 기지 등에서 잠수함 5~6척을 동원해 기동훈련을 했다고 한다. 우리 군은 “봄에 잠수함 기동훈련을 강화한 것은 이례적이어서 정밀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특히 그간 운용해온 길이 35m 상어급 잠수함 외에 최근 작전 배치한 길이 40m 규모의 신형 상어급 잠수함(K-300)도 훈련에 동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버트 윌라드(Robert F. Willard) 미 태평양사령관과 월터 샤프(Walter L. Sharp) 주한미군사령관도 청문회에서 북한의 추가도발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냈으며, 윌라드 사령관은 한국 해군이 대잠수함 작전능력을 높이도록 돕고 있다며 그것이 미 7함대의 장기적인 목표라고 밝혔다.

잠수함 탐지는 불가능에 가깝다

현대과학의 발달로 수백 마일 떨어진 곳에 있는 표적을 정확히 맞힐 수 있지만 단 50m 물속에 있는 잠수함은 탐지하기가 어렵다. 수중에는 전자파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레이더 탐지가 불가능하고 오직 음파로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음파도 음향 특성상 많은 제약이 있어 수중의 잠수함을 탐지하기가 쉽지 않다. 천안함 사건 발생 이후 국회 국방위 모 의원이 잠수함 탐지 확률이 50%도 안 된다고 했지만, 잠수함을 운용해본 필자의 경험으로는 그것도 후하게 평가한 것이다. 수중 잠수함을 탐지하는 것은 사막에서 바늘을 찾는 것보다 더 어렵고 큰 호수에서 송사리 한 마리를 찾는 것보다 더 힘들다고 말한다. 잠수함 건조기술의 발달로 스텔스 기능 강화를 위한 노력과 비용은 잠수함 탐지 능력보다 훨씬 더 적게 든다.



잠수함의 스텔스는 첫째, 잠수함에서 나오는 모든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잠수함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프로펠러에서 나는 추진소음(Propeller Noise), 수중 항해 시 해수가 선체를 타고 흐르는 유체소음(Flow Noise), 함 내에 설치된 각종 장비에서 나는 기계류 소음(Machin- ery Noise), 승조원에 의해 발생되는(화장실 사용 등) 순간소음(Transient Noise)이 있다.

우선 추진 소음을 줄이기 위해 추진축을 수상함과 달리 2개에서 1개로 바꾸고, 고감쇄 재질 프로펠러, 그리고 프로펠러 끝이 회전방향과 반대로 구부러진 프로펠러(Back Skewed Propeller)를 사용한다. 타기(Rudder)도 수상함과 반대로 프로펠러보다 앞에 설치해 해수가 타기에 부딪힐 때 나는 소리를 없앴다. 유체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해수가 선체 면을 타고 흐를 때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선체를 유선형으로 하고 외부에 돌출물이 없도록 한다. 기계류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장비 설치 때 방진 마운트(Shock Mount)를 설치하고 자재의 연결 부분에 감쇄재(Damping Material)를 사용하며, 장비 전체를 덮어씌우는 음향차폐장치(Acoustic Enclosure)와 선체 내부에 코팅하는 흡음재(Absorption Material) 사용 등을 통해 외부로 소음이 방사되는 것을 최대한 막고 있다. 순간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화장실 사용 시 물소리도 크게 전달되므로 상황을 고려해 사용하며, 공구를 떨어뜨리거나 승조원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하며, 구두를 신지 않고 운동화를 신고 근무한다. 그리고 잠수함 정비 시 각종 볼트 너트도 꽉 조여서 소음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둘째, 탐지세력의 소나로부터 송신된 음파 에너지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수상함의 소나나 대잠헬기의 디핑 소나(Dipping Sonar)에서 송신되는 음파가 잠수함에 부딪혀 반사되는 음파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잠수함 외부에 고무타일을 입힌다. 잠수함 크기와 예비부력을 고려해 고무판을 붙이는데 주로 미국, 러시아, 영국 등 대형 잠수함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메타물질을 잠수함에 씌워 음파가 통과해버리는 투명잠수함도 실용화될 날이 머지않았다.

1/3
김혁수│예비역 해군제독, 초대 잠수함 전단장
목록 닫기

북한 잠수함 위협의 실체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