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7월 10일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광장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선언한 뒤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며 웃고 있다.
박 전 위원장 경선 캠프 측에선 “박 전 위원장은 대통령이 되면 참 잘할 텐데 선거를 치르기에는 참으로 힘든 사람”이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한다. 한 캠프 관계자는 “박 전 위원장은 정치보다 통치를 먼저 배운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다”며 “언제나 통치 개념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표를 얻어야 하는 선거에서는 손해 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런 그지만 대권을 거머쥐기 위한 ‘권력의지’는 남다르다.
1등 프리미엄을 누려라
정치권 안팎의 많은 이가 ‘박근혜 대세론’을 우려한다. 미국이든 우리나라든 어느 대선에서든 늘 추격하는 도전자가 대세론에 안주한 1등 주자를 이겼다고 말한다. 2002년 대선 때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뒤집어보면 박 전 위원장의 최대 강점은 1등 프리미엄이며 이를 최대한 활용하는 게 첫 번째 대선 승리 비책이다.
박 전 위원장은 이번 대선 경선 캠프 홍보·미디어본부장으로 변추석 국민대 디자인대학원장을 영입했다. 변 본부장은 LG애드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20년 동안 실무경험을 쌓고 한일월드컵 공식 포스터 제작에 참여한 국내 최고의 광고디렉터 중 한 명이다. 4·11 총선 때는 “침대는 과학이다”는 카피를 만들어낸 광고 카피라이터 조동원 씨를 홍보기획본부장으로 영입했다. 조 본부장은 총선 때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꾸고 빨간색 로고를 만들어내 고루한 기존 한나라당의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 성공했다.
홍보 분야 최고 전문가를 영입할 수 있었던 건 박 전 위원장이 1등 후보이기 때문에 가능했다. 여야 모두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커 인재 영입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에서 박 전 위원장의 1등 프리미엄은 빛을 발할 수 있다. 박 전 위원장의 승부수는 ‘인물’이다. 야권이 9월 1차 민주당 경선, 11월 2차 안철수 원장, 통합진보당 후보와의 단일화 이벤트로 유권자의 시선을 끌 때 박 전 위원장은 새로운 인물을 영입해 차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그는 여야를 막론하고 민주당의 손학규 상임고문 정도를 제외하고는 그 어느 후보보다 압도적으로 오랜 기간 대선을 준비해왔다. 그러다보니 그동안 준비해 온 인물과 정책면에서 우위를 보일 수밖에 없다. 여론조사 결과 국정운영 능력 측면에서는 그가 다른 후보들을 압도하고 있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캠프 관계자는 “후보들 중에 대선 전에 자신 있게 ‘섀도 캐비닛(예비내각)’을 발표할 수 있는 후보는 박근혜밖에 없다”며 “정치판을 기웃거리는 인물이라면 모를까 유능한 인물이라면 다른 후보에게 가려 하겠나. 그런 프리미엄을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대세론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만만찮다. 대세론의 가장 큰 함정은 “나 혼자서도 이길 수 있다”는 지나친 자신감이다. 그러나 ‘51대 49’라고 점칠 정도로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이번 선거에서는 한 표가 아쉽다. 박 전 위원장이 지금처럼 본인의 소신을 강조하느라 포용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측근들에 둘러싸여 외연 확대에 실패한다면 이회창의 전철을 그대로 밟을 수밖에 없다.
주변의 숨통을 틔워줘라
박 전 위원장은 정무적인 사안에 있어 본인의 판단에 강한 신뢰를 갖는 듯하다. 그동안 정치적 고비마다 박 전 위원장이 스스로 선택한 정무적 판단이 지금의 ‘지지율 1위’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대표적 사례가 2009년 세종시 수정안 논란이다. 당시 지지층인 보수 세력과 수도권으로부터 비난이 쏟아졌지만 그는 이명박 대통령과 각을 세우며 세종시 원안을 고수했다. 이 덕분에 박 전 위원장은 ‘승부처’인 충청에서 가장 앞선 대선 주자가 됐고 이번 4·11 총선에서 충청 지역 1당을 이뤘다. 이명박 정부와의 차별화에도 성공하는 계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