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경선 주자와는 화합 안철수는 지금부터 공격”

“불통 이미지 깨라” 정치 외연 넓히기 박근혜

“경선 주자와는 화합 안철수는 지금부터 공격”

2/3
“경선 주자와는 화합 안철수는 지금부터 공격”

4월 11일 제19대 국회의원선거 개표 방송을 보며 웃고 있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측근에선 비대위원장 수락을 반대했지만 예상외의 승리로 1등 대선 주자의 이미지를 굳혔다.

지난해 12월 측근들이 “총선 패배 책임을 뒤집어씌우기 위한 친이(親李)계의 계략”이라며 비대위원장직 수락에 반대했지만 “박 전 위원장이 당을 맡아야만 당도 살고 본인도 산다. 총선에서 참패하면 대선 기회도 사라진다”는 유승민 의원의 뜻을 따랐다. 결국 총선에서 예상외의 승리로 박 전 위원장은 손쉽게 경선을 치르고 본선을 대비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총선 기간에 당에서는 국회의원 쇄신안을 비롯해 다양한 공약을 준비했지만 박 전 위원장은 “메시지에 혼선이 생긴다”며 민생 공약인 ‘가족 행복 5대 약속’만을 반복해 홍보하도록 지시했다. 그는 선거 유세 때 ‘100% 대한민국’과 ‘우리의 이념은 민생’이라는 모토를 반복해 전달하며 국민 통합과 민생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했다.

하지만 박 전 위원장이 강조하는 원칙이나 소신이 ‘표’를 얻기 위한 정무적인 판단과 부딪칠 경우 정무적 판단에 귀 기울일 수 있게 주변에서 도와줘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박 전 위원장의 ‘불통’ 이미지를 확산시킨 경선 룰 논란이 대표적이다. 한 친박 인사는 “경선 룰과 같은 원칙의 문제는 박 전 위원장으로서는 중이 제 머리를 못 깎는 지점”이라며 “당 지도부가 일찌감치 경선 룰 논의 기구를 만들고 논의를 마치는 모양새로 경선 룰 국면에서 벗어났어야 했는데 당 지도부가 박 전 위원장 눈치를 보느라 오히려 결과적으로 손해를 봤다”고 말했다.

정두언 의원의 체포동의안 부결 건도 마찬가지다. 박 전 위원장은 의원총회에 참석하기 전 △대국민 사과 △정 의원 스스로의 해결 △이한구 원내대표 7월 임시국회 이후 사퇴라는 3가지 해법을 내놨다. 박 전 위원장은 당장 원내대표를 교체하면 7월 임시국회에서 총선 때 내걸었던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공약 후속 법안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이미 사퇴를 선언한 이 원내대표의 한시적 복귀는 ‘여론을 피해가기 위한 쇼’라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많은 의원이 의총에서 “원내대표를 당장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지만 당 지도부는 박 전 위원장의 뜻대로 결정했다.

한 캠프 관계자는 “박 전 위원장이 큰 틀에서 탁월한 정무 감각을 보이지만 간혹 지나치게 본인의 원칙, 소신의 굴레에 빠져 헛디디는 행보를 하는 경우가 있다”며 “당 지도부나 주변 측근이 잘 판단해 박 전 위원장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정리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야권과 차별화된 경제민주화

박 전 위원장은 2007년 대선 출마선언문에서 ‘줄푸세’를 주장했다. 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질서를 세우자는 이 공약은 시장경제주의에 입각한 내용이었다. 그랬던 그가 5년 뒤 대선 출마선언문에서는 그와 정반대의 결을 가진 경제민주화를 공약으로 들고 나왔다. 그는 2007년 대선 경선 패배 이후 5년 동안 꾸준히 자기 변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금융권의 탐욕에 대해 천착했고, 2009년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원칙이 바로 선 자본주의’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후 박 전 위원장은 지난해 2월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 법안을 발의해 복지 이슈를 선점했다. 실제 전반적인 사회 흐름은 ‘비즈니스 프렌들리’를 강조해온 이명박 정부의 경제기조에 염증을 나타내며 ‘양극화 해소’ ‘공정사회’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의 화두와 맞아떨어진다.

한 캠프 핵심 인사는 “2009년 스탠퍼드대 강연 이후 2010년 ‘정의란 무엇인가’ 책 열풍, 2011년 자본주의 4.0, 2012년 경제민주화 논란으로 이어지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박 전 위원장이 이슈를 선점했다”며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의 보수적인 이미지를 복지와 경제민주화로 돌려놓은 것이 5년 내내 지지율 1위를 달릴 수 있는 비결”이라고 자평했다.

박 전 위원장은 향후 대선 본선 때도 30, 40대와 수도권 표심을 잡기 위해 경제 분야에서 더 ‘좌클릭’ 행보를 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국민은 아직도 그를 ‘가장 보수적인 후보’로 인식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그가 말하는 경제민주화와 야권에서 말하는 경제민주화의 차이점을 정확히 설명해내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국가 재정을 파탄하는 포퓰리즘에 편승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안철수 지지율 떨어뜨려라”

경제 전문가들은 이미 경제민주화의 구체적인 해법들이 다 제시돼 있기 때문에 야권과 차별화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게다가 재벌 지배구조 개선에 손을 대지 못할 경우 반쪽 경제민주화가 될 수밖에 없고 그 부분을 손댈 경우 보수진영의 역풍도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운신의 폭도 넓지 않다는 지적이다.

2/3
동정민│동아일보 정치부 기자 ditto@donga.com
목록 닫기

“경선 주자와는 화합 안철수는 지금부터 공격”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