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입춘(立春)에 오리알 얻고, 청명(淸明)에 화전 부치고

입춘(立春)에 오리알 얻고, 청명(淸明)에 화전 부치고

1/4
  • 이번 호부터 귀농인 장영란씨가 자연에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연재한다.
  • 장씨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말 그대로 자연의 숨소리요 속삭임이다.
  • 소중한 체험을 바탕으로 한 장씨의 귀농통신은 자연과 인간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얻는 지혜가 무엇인지를 실감나게 보여줄 것이다(편집자).
입춘(立春)에 오리알 얻고, 청명(淸明)에 화전 부치고

자급자족하는 시골살이에서는 가족의 협동이 매우 중요하다. 헛간 만드는 일을 거들고 있는 아이들.

마루문을 열고 마당에 내려서니 꽃다지꽃이 잔잔히 피어 있다. 작은 들꽃은 그저 거기 있다. 이런 들꽃 닮은 마음이 되어 다달이 자연에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쓰고자 한다. 나 자신이 자연에 더욱 다가가고, 그 과정을 이웃과 나누기 위해서다. 한 달씩 자연의 계절 흐름을 표시한 이십사절기가 양력과 맞아떨어지니 이십사절기 가운데 두 절기씩 써나가는 셈이다.

1996년 서울을 떠나 산골로 내려와 살기 시작했다. 산청에서 2년 살다가 지금은 이곳 무주에서 살고 있다. 서울에서 태어나 줄곧 살아왔기에 자연에서 사는 삶이 뭔지를 몰랐다. 부모님 고향이 평안도라 시골에 사는 친척도 없었다. 이런 사람이 자연에서 살아보니 얻는 게 많다. 그 중 하나를 꼽으라면 사람도 자연이라는 믿음이다.

한데 살아가다 보면 자꾸 자연을 잊고 살기 쉽다. 사는 곳이 산골로 옮겨져도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인간사에 휩쓸려 살아가기 십상이다. 그런 자신을 되돌아보며 자연에 가까이 가려 노력했다. 산에 자주 오르려 했고, 귀기울여 듣고 눈 뜨고 본 걸 달력에 빼곡이 적기도 했다.

남편은 찹쌀 방아, 딸은 조청 끓이고

우리 식구는 부부, 그리고 중3 나이 딸과 초등2학년 나이 아들 이렇게 네 식구다. 논밭 농사 골고루 하여 먹을거리 자급하고 집도 새로 지었다. 사는 데 자리가 잡히면서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지 않고 집에서 공부하기를 바랐다. 그래서 네 식구가 집에서 함께 일하고 공부하며 살고 있다.



올 봄에도 고추장을 담갔다. 고추장하는 날을 잡고 그 날에 맞춰 재료를 하나하나 꺼내 손질한다. 재작년 겨울에 키운 밀을 지난 겨울 싹 틔워 얼리면서 말린 엿기름, 오리 논에서 가꾼 찹쌀, 새들과 싸우며 키운 콩으로 쑨 메주, 손수 모종을 내 키운 고추…. 이 모두 우리 식구가 가꾸고 갈무리한 것들이다.

고추장 담그는 일도 식구들이 함께 해야겠지. “고추장을 함께 담그자”고 하니 다들 “좋다” 한다. “먼저 고추장 조청을 끓여야 하는데 집 안에서 가스불로 할까, 가마솥에 할까?” 물으니 딸애가 가마솥에 하잔다. 그래 가마솥에 찹쌀과 엿기름을 넣고 삭히기 시작했다. 남편은 찹쌀 방아를 새로 찧고, 중간중간 불을 보고.

딸애는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지듯 조청 끓이는 일을 맡았다. 조청을 끓이려면 불을 은근하게 때면서 가끔 저어주어야 한다. 딸애는 아궁이에서 나오는 매운 연기에 눈이 빨개져 나무주걱으로 가마솥을 저어주고 자기 볼일을 보다 다시 저어주곤 한다. 작은애는 집안일에 보탬이 되고자 노력했다. 그 덕에 나는 가끔 들여다보며 다른 일을 준비할 수 있었다.

드디어 조청이 붉은 빛을 띠기 시작했다. 조청을 만들려면 먼저 삭히고, 그 다음 거른 뒤 끓이고 다시 은근히 달여야 하니 일고 여덟 시간이 걸린다. 한 국자 떠서 맛을 본다. 달달하기가 정신이 아득할 정도다. 온 식구가 조청부터 맛보았다. 조청이 한 김 나간 후 거기에 메줏가루와 고춧가루, 그리고 소금을 넣고 저어주면 고추장이 된다. 온 식구가 나서준 덕분에 고추장뿐만 아니라 쌈장, 토마토 고추장, 거기에 단술, 엿까지 골고루 만들 수 있었다.

다음날 봄나물 몇 가지가 마련됐다. “어제 버무린 고추장을 넣고 비빔밥을 해먹자.” 싱싱한 봄나물을 씻고 밥을 하니 온 식구가 나선다. 큰애가 호두를 까서 잘게 부수고 작은애는 오리알을 네 개 꺼내 부친다. 식구마다 입맛까지 헤아려가며…. 누나는 노른자를 터뜨려서, 엄마는 노른자를 안 터뜨려서, 아버지는 아무래도 좋고.

1/4
글: 장영란 odong174@hanmail.net
목록 닫기

입춘(立春)에 오리알 얻고, 청명(淸明)에 화전 부치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